MAB 38

Beretta M1938
종류기관단총
국가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사용 역사
사용 년도1938년~1970년대
사용 국가왕국 / 사회 공화국공화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 일본군 해군
루마니아 왕국
사용된 전쟁제2차 세계대전
생산 및 제조 역사
개발툴리오 마렌고니
개발 년도1935년~1938년
생산베레타
생산 년도1938년~1961년
파생형MAB 38A, MAB 38/42
MAB 38/43, MAB 38/44
MAB 38/49, MAB 38/57
제원
구경9mm
탄약9x19mm 파라벨럼
급탄10/20/30/40발 박스탄창[1]
작동 방식블로우백
중량
(빈 탄창 기준)
4.2kg(MAB 38A)
2.27kg(MAB 38/42)
3.25kg(MAB 38/49)
전장946mm(MAB 38A)
800mm(MAB 38/42)
798mm(MAB 38/49)
총열 길이315mm(MAB 38A)
213mm(MAB 38/42)
210mm(MAB 38/49)
발사 속도600RPM
탄속390m/s
유효사거리5m
최대사거리250m

1 개요

Moschetto Automatico Beretta Mod.1938
이탈리아의 베레타사가 개발한 기관단총.

2 상세

MAB 18/30을 토대로 개량되었으며, 단순 블로우백 방식을 채용했다.

당시 기관단총들은 조정간으로 단발 사격을 설정하거나, 아니면 사수가 알아서 방아쇠를 당기는 식으로 단발 사격을 했는데, MAB 38의 경우 단발 사격용 방아쇠과 자동 사격용 방아쇠가 나뉘어있다. 앞쪽의 방아쇠를 당기면 단발 사격, 뒷쪽의 방아쇠를 당기면 자동 사격이 된다.


방끗
초기형의 경우 착검이 가능했고 탄창 5개를 휴대할 수 있는 조끼가 지급되었는데, 얼핏보면 옛날 일본 갑옷인 복당(하라아테)처럼 생겼기에 '사무라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32bedbdd3112866bf8aa003891c4a068.jpg
베레타 특유의 준수한 품질은 총열 덮개 등이 간략화되더라도 연합군에게 항복할 때까지 품질이 유지되고 계속되었다.[2] 다만 절삭가공에 의존하는지라 다들 기계로 쾅쾅 찍어대던 기관단총보다 비용이 높았던데다,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았다.

3 개량형

  • MAB 38A
군의 요구에 따라 총검 부착 기능이 제거되고 소염기 디자인이 개선되는 등 보다 효과적으로 개량되었다. 1941년부터 생산되었으며, 실질적으로 전장에서 대부분이 사용되었다.

  • MAB 38/42
단축형. 발사 속도가 분당 600발에서 550발로 줄어들었고,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총열 방열판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염기가 단순화되었다.
  • MAB 38/43
42와 44 사이의 과도기. 독일군이 MP738(i)로 채용했다.


  • MAB 38/44
MAB 38/43의 마이너 개량. 노리쇠가 짧아지고 가벼워졌으며, 나선형 스프링으로 통일되었다. 일부 모델은 MP40처럼 접이식 개머리판으로 되어있다.

  • MAB 38/49
MAB 38/44와 비슷하다. 안전장치가 누르는 방식[3]으로 변경되었다.
  • MAB 38/57
총기병대의 요청에 따라 제작된 모델. PM12로 교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4 기타

전쟁 초기에는 적은 생산량 탓에 이탈리아 왕국군에서 주로 공수부대가 사용했으며, 기계화부대, 차량화보병, 총기병대, 검은 셔츠단(국가 파시스트 당의 친위대)이 사용했다. 이외에 루마니아 왕국에서 도입했고 이탈리아에 주둔해있던 독일군이나 무장친위대에게도 공여되었다.
생산량이 많아질 시기는 1943년이었으나 이탈리아군이 연합군에게 항복하면서 대량으로 남겨졌는데, 이를 독일군이 빼돌리면서 준 제식급으로 사용했다. MAB 38/44로 개량까지 가해져 MP739(i)로 부여되어 무장친위대가 사용했다.

파르티지아노들이 애용했다고 한다. 영국의 스텐 기관단총보다 명중률이 더 좋고 강력했기 때문이라고. 또 1943년에 일본군 해군이 350정을 주문하여 50정을 받았다고 한다.

종전 후 PM12가 채용될 때까지 생산 및 운용이 계속되었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완전히 교체되었다.

5 미디어에서의 등장

주로 이탈리아 왕국군의 무장으로 나온다.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카르카노 M91/M38
반자동소총아르마구에라 M39, 브레다 M1935
기관단총MAB 18, MAB 38
권총이탈리아제보데오 M1889, 리센티 M1910, 베레타 M15/17, 베레타 M23/31/32, 베레타 M34/35
오스트리아제로트-슈타이어 M1907, 슈타이어 M1912
지원화기기관총피아트-레벨리 M1914/35, 브레다 M30, 브레다 M37/38, 브레다-SAFAT
대전차화기기병총/대전차용 총 "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화염방사기란차피암메 M35/40, 란차피암메 M41
박격포브릭시아 M35, 81mm 박격포 M35
제2차 세계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Kar98k, G24(t), G33/40(t), VK, G98/40
반자동소총G41/43, VG 1-5
자동소총FG42, MKb 42, MP43, StG44
기관단총MP18MP18의 파생형, MP38/40/41, EMP44, MP3008, ZK-383, MAB 38, KP/-31
권총루거 P08, 발터 P38, 발터 PPK, 마우저 C96, 마우저 M1934, 마우저 HSc, 드라이제 M1907
지원화기기관총MG07/12, MG08, MG13, MG30, MG26/30(t), MG34, MG35/36, MG37(t), MG42, MG131
대전차화기PzB 38/39, 졸로투른 S-18,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돌격권총, 흡착지뢰
화염방사기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8cm 그라나트베르퍼 34,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르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플리거파우스트
유탄막대형 수류탄,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시스베허)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저격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베식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중기관총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대전차화기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유탄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군도일본군도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1. 전장에서는 30발 탄창이 일반적이었다.
  2. 이는 다른 추축군과는 달리 전황이 심하게 막장이 아닌 점도 한 몫했다.
  3. 초기형 M1 카빈이나 FN MAG, AUG가 이러한 안전장치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