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조지 5세급 전함

(KGV에서 넘어옴)

1 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전함

제1차 세계대전기의 영국 해군 군함
건보트어피스급
구축함스위프트급
잠수함X1급, M급
모니터함마샬 네이급, 애버크롬비급, 로드 클라이브급, 험버급, 고르곤급, M15급, M29급
정찰순양함어드벤처급, 포워드급, 패스파인더급, 센티넬급, 블론드급, 액티브급
장갑순양함크레시급, 드래이크급, 몬모스급, 데본셔급, 듀크 오브 에든버러급, 워리어급, 미노터급
방호순양함아폴로급, 아스트라에아급, 이클립스급, 블래이크급, 펄급, 에드거급, 파워풀급, 다이아뎀급, 애로간트급, 펠로루스급, 하이플라이어급, 챌린저급, 토파즈급
중순양함호킨스급
경순양함브리스톨급, 웨이모스급, 채텀급, 버밍험급, 버켄헤드급, 아레투사급(1913), 캐롤라인급, |칼리오페급, 캄브리안급, 센타우르급, 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리슬급A, 다나에급, 에메랄드급A
순양전함인빈시블급 순양전함, 인디패티거블급, 라이온급, 퀸 메리급, 타이거급, 리나운급 순양전함, 어드미럴급 순양전함A, 인컴패러블급, 커레이저스급 순양전함
전함전드레드노트급로열 소버린급, 마제스틱급, 캐노퍼스급, 포미더블급, 뒤캔급, 킹 에드워드 7세급, 스윕셔급, 로드 넬슨급
드레드노트급드레드노트급,벨레로폰급, 세인트 빈센트급, 넵튠급, 오라이언급, 킹 조지 5세급, 에린급, 애진코트급, 아이언 듀크급 전함, 캐나다급,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리벤지급 전함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2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전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영국 해군 군함
구축함A급, B급, C. D급, E, F급, G, H급, I급, 트라이벌급, J, K, N급, 헌트급, L, M급, O, P급, Q, R급, S, T급, U, V급, W,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데어링급A
잠수함U급 잠수함, V급 잠수함, X급 잠수함, HMS X1, P611급, S급 잠수함, T급 잠수함,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L급 잠수함, A급 잠수함, B급 잠수함, C급 잠수함, D급 잠수함, E급 잠수함, M급 잠수함
경순양함C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 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드라군급, 크라운 콜로니급, 실론급,미노타우르스급
중순양함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순양전함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3급
전함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3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정규항공모함허미스,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급A, 하버쿡, 몰타급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hms-king-george-v-1941-battleship-2.png

King George V Class Battleship

2.1 개요

해가 지기 시작한 안습한 상황에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성능과 가격으로 건조 되어 적절하게 배치 되어 활동하다가 퇴역한 영국 해군전함. 흔히 앞글자만 따서 KGBKGV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킹 조지 5세라는 함명이 붙은 전함군은 두 번 건조되었는데, 첫번째는 1912년에서 1913년 사이에 4척이 취역했다가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결과 폐기되었다. 두번째는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에 5척이 취역하였다. 보통 KGV급이라고 하면 후자 쪽을 일컬으며 본 항목도 이쪽을 설명하고 있다.

...왜 이렇게 됐는가 하면 국왕 조지 5세의 이름을 따서 함명을 지었는데, 첫번째 건조 때는 조지 5세가 막 즉위했을 무렵이고, 두번째 건조 때는 막 건함계획이 시작되었을 무렵에 조지 5세가 사망했다. 몇 달만 늦게 시작됐으면 함명이 흑역사가 되었을지도 모를일.

실제로 조지 6세가 즉위한 후 함명을 바꾸는게 좋지않겠냐는 건의가 올라왔으나 부왕을 기념하고 싶다는 이유로 거절했다고 한다. 대신에 2번함 프린스 오브 웨일스가 형 에드워드 8세를, 3번함 듀크 오브 요크가 조지 6세를 가리킨다.[1][2]

전장745 ft (227.1 m)
전폭103 ft (31.4 m)
흘수선32.6 ft(9.9 m)
기준배수량38,031톤
만재배수량1940년 42,237톤, 1944년 44,460톤
보일러Admiralty three-drum 8기
터빈Parsons기어드터빈 4기 4축
출력111,700 마력
최고속도28노트
주무장BL 14인치 Mk.VII 함포 10문
부무장QF 5.25인치 Mk.I 양용포 16문
기타무장QF 2파운드 폼폼 기관포 32문
현측장갑14.7인치
갑판장갑1.25인치+5.88인치
포탑장갑12.75인치
바벳장갑12.75인치
함재기수상기 4기
승무원1,631명
자매함프린스 오브 웨일스, 듀크 오브 요크, 앤슨, 하우

2.2 안습한 출발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1921년의 워싱턴 조약과 뒤이은 런던 조약으로 열강들의 건함경쟁은 "해군의 휴일(Naval Holiday)"라고 불리우는 휴지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워싱턴 조약의 유효기간이 끝나는 1936년이 다가오자 각국은 다가올 건함경쟁의 시대에 대비하여 강력한 신전함을 준비하기 시작했고, 더구나 아돌프 히틀러가 등장하면서 유럽에서는 전운이 감돌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영국은 이미 전성기를 지나 비틀거리는 상태였고, 더구나 대공황의 여파가 아직도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이런 새로운 건함경쟁에 뛰어드는 것은 무리였다. 그리하여 영국은 군축조약을 연장시키기 위한 제2차 런던 조약의 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일본이 반발해 뛰쳐나간 상태에서,[3] 남은 국가들 간에 신전함의 성능을 기준배수량 35,000톤에 주포구경은 14인치(356mm)로 제한하는 데 어느정도 합의가 이루어졌다.

일본의 조약 복귀를 기다리면서, 킹 조지 5세급 전함의 설계는 이 제2차 런던 조약이 성립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그에 맞춰서 이루어졌다. 조약 체결이 무산될 경우에 대비해 15인치(381mm)나 16인치(406mm) 주포의 탑재안도 고려되고 있었으나, 예정된 기한 내에 건조에 들어가려면 주포를 미리 발주해야만 했기 때문에 결국 14인치 주포를 탑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그런 관계로 화력과 배수량에서 처음부터 핸디캡을 안고 들어갈 수 밖에 없었던 비운의 전함이다. 정치적 고려로 인해 성능을 타협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은 전함이라는 것이 당시 얼마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전략무기였는지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결국 일본이 복귀하지 않음으로서 조약의 의미는 상실되어 버렸고, KGV급에는 최악의 결과가 되었다. 본래 제2차 런던조약에는 탈퇴한 국가가 있을 경우 정해진 기간후 배수량과 주포구경을 늘릴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조항이 있었으나, 당시 유럽의 정세는 매우 급박했고 독일비스마르크급 전함이나 이탈리아리토리오급 전함같은 빠르고 강력한 신전함이 건조되고 있는 상태에서, 1차대전 당시의 구식전함과 넬슨급 전함 같은 발이 느린 전함만 가지고 있는 영국으로서는 이에 대항할만한 신전함을 한시라도 빨리 확보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였다. 결국 제대로 된 신전함은 이후 건조될 예정이었던 라이온급 전함으로 넘어가게 되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건조에 역량이 집중되어 기공은 했지만 진척이 느린 상태로 있다가 중지 되었다.

2.3 문제점

넬슨급 전함 만큼 제한이 많지는 않았지만, 35,000톤이라는 배수량 내에 충분한 고속을 달성하기 위한 기관과 타국의 신전함에 대항할만큼의 충분한 방어력을 우겨넣어야 하는 과제를 공통으로 안고 있었던 조약형 전함이다 보니 이런저런 문제가 많을 수 밖에 없었다.

WNBR_14-45_mk7_KGV_pic.jpg
일단 14인치 Mark VII 주포를 탑재를 하였으나 이 주포의 위력은 전간기 전함들중 샤른호르스트의 11인치 주포 다음으로 바닥을 치는 위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현측관통력은 오히려 11인치한테도 약간 밀리는 수준이었다. 물론 갑판타격능력에 있어서는 우세했지만 3인치나 작은 주포와 비교당하는(...) 시점에서 이미 안습.[4] 후달리는 화력을 물량으로라도 메꾸기 위해 4연장 3기를 탑재할 예정이었지만 전방 4연장포 2기를 아래위로 올렸더니 구조상 문제로 인해 유폭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취약점이 발견되어, 결국 4연장 2기 + 연장 1기라는 괴악한 구성이 되어버렸다. 이 4연장포는 실전에서도 말썽을 부렸는데, 프린스 오브 웨일스가 비스마르크한테 뭇매를 맞은 원인도 이 포탑들이 기능 부전을 일으켰기 때문이다.[5] (그러니까 14인치 함포 10문 중에 8문이 사용 불능....)

원가절감을 위해 함수를 수직으로 설계한 탓에 능파성이 나쁜데다, 더구나 전방쪽으로 충분한 주포시계를 확보하려고 함수 높이를 낮춘 결과 파도를 쉴새없이 뒤집어쓰는 안습한 결과가... 그 외에도 경량화를 위해 최대한 우겨넣은 탓에 잔고장이 꽤 많았다고.

부포와 대공무장 또한 문제가 많았는데, 부포와 대공포 역할을 겸하도록 설계된 133mm 양용포는 최대양각이 낮아서 사실상 대공포로는 거의 쓸모가 없었고, 대공무장인 40mm 폼폼 포는 사거리가 짧은데다 툭하면 고장나는 신뢰성이 부족한 물건이었으며 결정적으로 숫자가 너무 부족했다. 같은 때 미국의 사우스다코타급 전함의 대공포 숫자와 비교해보면... 결국 부실한 대공화망은 35,000톤의 한계인 '예비 배수량의 부족'과 더불어 말레이 해전에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가 무기력하게 당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방어면에서는 타국의 전함에 맞추어 15인치에서 16인치에 상당하는 대응방어를 갖추고 있다. 자국 15인치 함포 기준으로 주포탑 측면, 갑판장갑 기준 13,500~33,500야드(12.3~30.6킬로), 기관부 측면, 갑판장갑 기준 15,600~29,500야드(14.2~26.9킬로)였다.[6] 다만 넬슨급과는 달리 경사장갑이 아닌 수직장갑을 채용했는데, 이 역시 제한된 배수량 내에서 방어능력을 맞추다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 다만 경사고 뭐고 그냥 떡장갑 발라버렸다고 보는 의견도 있는지라 이점에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비스마르크급 전함과 달리 수직장갑이라는 이유만으로 무조건 구식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금물. 수직장갑이라 해도 포탑 쪽 측면은 14.7인치로 거의 15인치에 가깝다. 단 함선 중앙부는 13.75인치이었다. 갑판장갑은 포탑 주변은 5.88인치이고 함선 중앙부는 4.88인치이었고 포탑과 중앙부 갑판장갑 위에 1.25인치 장갑이 있고 탄약고에 탄편방어용으로 1.5인치 장갑이 갑판장갑 하부에 위치해 있었다. 넬슨이 화력과 방어력에 중점을 두고 속도를 포기한 설계였다면 KGV급은 방어력과 속도를 잡은 대신 건조시기와 정치적인 문제로 화력이 낮아지게 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킹 조지 5세급 장갑 구조

그래도 전통의 해군강국 영국인데다 넬슨급을 건조하면서 생긴 노하우가 있었는지 많은 제한에도 불구 무난하게 뽑혀나왔다는 평가. 설계상 최고속도는 28노트이며 비공식이긴 하지만 경하 상태에서 30노트를 냈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대공 무장 증설로 인해 배수량이 늘어나게 되자 최종적으론 27노트까지 떨어졌다.

2.4 자매함 일람

  • 1번함 킹 조지 5세 (HMS King George V)
함명의 유래는 당연히 조지 5세.
1941년 비스마르크 추격전에 참가, 넬슨급 전함 로드니와 함께 마지막 일격을 날린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의 항복 조인식에 영국측 기함으로 참가했다.
함명의 유래는 영국의 왕세자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아버지 조지 5세를 이어 왕위에 오른 에드워드 8세를 가리킨다.
동형함중에는 가장 유명한데 안좋은 쪽으로 유명하다. 막 취역한 상태에서 비스마르크 추격전에 참여했으며, 비스마르크한테 얻어터지고 후퇴했으나 그 와중에도 한 방을 먹였다. 수리가 끝난 후 리펄스와 함께 태평양에 파견되었으나 말레이 해전에서...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 3번함 듀크 오브 요크 (HMS Duke of York)
함명의 유래는 영국 왕세자의 형제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요크 공작으로, 형 에드워드 8세를 이어 왕위에 오른 조지 6세를 가리킨다.
1943년 선단호위 도중 독일의 순양전함 샤른호르스트에게 포격을 퍼부어 격침시켰다.
  • 4번함 앤슨 (HMS Anson)
함명의 유래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당시의 해군제독 조지 앤슨(George Anson).
하우와 마찬가지로 주로 선단 호위 임무에 종사하였고 틸피츠를 격침 시키기 위해 출격한 항모 부대 호위를 맡기도 했다.
  • 5번함 하우 (HMS Howe)
함명의 유래는 7년 전쟁미국 독립전쟁 당시의 해군제독 리처드 하우(Richard Howe).
주로 북대서양 선단 호위 임무에 종사하다가 시칠리아 상륙작전을 지원하기도 했다.

원래 4번함과 5번함은 각각 유틀란트 해전의 지휘관이었던 젤리코와 비티의 이름이 붙을 예정이었으나, 당시 해군장관이던 윈스턴 처칠이 이 사람들을 싫어해서 바꿨다는 카더라 통신이 존재한다. 처칠 저 양반은 뭐 안끼는 데가 없어 물론 실제로 그런 이유 때문에 바꿨을 리야 없지만...

2.5 평가

야마토급 전함이나 아이오와급 전함, 비스마르크급 전함 같이 척 보기에도 크고 아름다운 타국 전함들에 비해 볼품이 없는데다, 프린스 오브 웨일스의 비극적 최후로 인해 무시당하기 십상이지만, KGV급의 가치는 고속전함으로서의 적당한 스펙의 전함이 적절한 수로 적절한 시기에 갖춰져 있었다는 점에 있고 독일 해군측의 고속전함 세력을 확실하게 제압하여 대서양에서의 영국 해군의 제해권을 확실하게 지켜낸 것에 있다.

1차대전기의 구식전함인 리벤지급 전함은 대전기 내내 부차적인 전력으로 취급받았고, 넬슨급은 16인치의 강펀치를 지녔지만 이 역시 속도가 너무 느린탓에 나설 기회가 거의 없었다. 영국 해군이 유효하게 활용한 전력은 그나마 빠른 속력의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과 한 척밖에 없었던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후드. 이런 상황에서 28노트급의 고속전함 5척의 전력은 굉장한 보탬이 되었다. 노르웨이 전역에서 수상함 세력이 크게 위축되고 이후 비스마르크를 어이없게 잃은 후, 구식의 퀸 엘리자베스급만 보여도 설설 기었던 독일 해군 수상함대는 KGV급의 지속적인 취역으로 통상파괴전 같은 적극적인 수상 활동은 아예 엄두도 못내게 되었다.

비스마르크 추격전에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가 비스마르크의 포격에 순식간에 전력을 상실하여 굴욕을 당하기는 했지만,[7] 한편으로는 PoW가 있었기에 순양전함 후드와 함께 발빠르게 비스마르크를 쫓아갈 수 있었던 것이 사실이며, 이 때 PoW에서 쏜 포탄이 비스마르크의 발을 묶음으로서(5,000톤은 될법한 바닷물이 밀려들어왔으며, 하필이면 연료까지 새게 만들었다) 최종적으로 격침이라는 전과로 이어진 것이다. 당시 갓 취역한 KGV급 두 척이 없었다면 비스마르크는 30노트로 도망가는데 후드는 다른 구식전함과 보조를 맞추느라 24노트로 쫒아가다가 추격을 포기하거나,[8] 후드 혼자만 비스마르크와 교전하다가 격침되고 비스마르크는 무사히 브레스트로 후퇴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은 실제로 이미 KGV급이 취역하기 전인 1940년의 캐터펄트 작전에서 영국 H부대의 포위망을 뚫고 됭케르크급 전함 스트라스부르가 도주했을 때 벌어졌다. 당시 H부대에는 후드 외에도 리졸루션(리벤지급), 밸리언트(QE급) 등 2척의 전함이 더 있었지만 지휘관인 서머빌 제독은 이들 구형함의 속도가 너무 느려서 스트라스부르를 도저히 쫓아갈 수 없고, 그렇다고 후드 한 척만 보내기에는 전력적으로 불안했기에 결국 추격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북대서양의 선단호위 임무에서도 노르웨이에 기지를 둔 독일 수상함대의 위협에서 바로바로 가용가능한 전력으로 유효하게 활용되었다. 샤른호르스트가 선단을 습격하러 나왔다가 바로 달려온 듀크 오브 요크에게 두들겨맞고 역관광당한 사례가 대표적인 예.

즉 KGV가 때에 맞춰 취역하지 않았을 경우 독일 해군의 30노트급 고속 전함군인 비스마르크급 두 척 + 샤른호스트 두 척이 온 대서양을 상대로 통상교란을 하는 동안 제대로 대응을 못하고 있었을 확률이 높다. 또한 태평양에 우선 배치되었던 미 해군의 함대 세력에 여유가 생기기 시작하여 대서양 투입이 가능해지는 43년도까지 대서양의 제해권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면서 자동적으로 당시까지 대영제국의 사활을 걸었던 대서양 잠수함전의 수행까지도 심각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2.6 기타

어쨌든 간에 동세대함들에 비해 딸리는 스펙과 아기자기한 외관, 마지막으로 딱히 돋보이지 않는 활약상과 안습하기 그지없는 패전 사례 탓에 밀덕후들 사이에서의 인기는 최악을 달린다. 특유의 캐슬형 함교 덕에[9] 장난감 같아보인다고 까이는 지경. 80-90년대만 해도 KGV급의 프라모델을 사는 이유는 거의 비스마르크 추격전이나 말레이 해전을 디오라마로 만들기 위해서라고 할 정도였다.

해군강국 영국의 마지막을 장식한 것 치고는 여러모로 아쉬운 전함인 탓에[10] 결국 완성되지 못한 라이온급 전함에 환상의 나래를 펼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보니 이런 합성짤이 나올 지경.

2.7 등장 매체

  • Naval Front-Line 영국 해군 수상함 트리에서 후반에 등장. 레벨50급의 전함이다. 킹 조지 5세급은 레벨 60에서 라이온급으로 업그레이드 된다. 킹 조지 5세급과 동티어는 레벨 46에 업그레이드 되는 어드미럴급. 어드미럴급은 이후 뱅가드가 되는데 이 쪽은 레벨 55만 되어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뱅가드 주포는 15인치고 라이온은 16인치이기 때문일 것이다.
King%20George%20V.gif
14인치 10문이라는 무장이 타국의 전함들에 밀리는 바람에 외면받았었다.
  1. 조지 6세는 차남이었기 때문에 즉위 전에는 요크 공작이었다.
  2. 사실, 건조 계획이 시작되었을 때는 에드워드 8세가 재위중이었고, 영국 전함의 명명 관례상 갓 등극한 국왕의 이름을 신전함의 네임쉽으로 할 수 있었는데, 결혼 문제로 분규중이던 에드워드 왕이 자신의 퇴위를 예감하고는 부왕의 이름을 네임쉽으로 지정했다고 한다. 그 바람에 원래 2번함의 이름이 되었을 듀크 오브 요크는 퇴위한 형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로 개명되고 앤슨이 되었을 3번함은 찰스 2세 시대의 대제독 요크 공작과 신왕이 된 자신을 이중으로 기념하는 차원에서 듀크 오브 요크로 개명되었다.
  3. 1935년 1월, 이때 아예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서도 탈퇴해버렸다.
  4. KGV를 위해서 약간 변명을 하자면 독일 전함들은 갑판타격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현측타격능력 만큼은 상당히 우수한 편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는 있다. 가령 비스마르크의 주포(15인치)는 넬슨급의 주포(16인치)보다 현측타격능력만큼은 더 우수했지만 갑판타격능력은 KGV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어찌되었든 다른 14인치와 비교해도 현측타격능력이 우수하다고 보기는 어렵고 그나마 독일 전함들의 성능이 시원찮았기에 그럭저럭 활약할 수 있었다.
  5. 이는 무게를 맞추기 위해서 이것저것 부품을 제거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43년 이후에는 그럭저럭 납득할만한 신뢰성을 확보했다고 하는데 확인바람.
  6. Naval Firepower: Battleship Guns and Gunnery in the Dreadnought Era, 페이지299.
  7. 다만 이때 PoW는 그야말로 갓 뽑혀나온 신조함이었다. 추격전 와중에도 기술자가 동승해서 장비 조정을 하고 있었을 정도.
  8. 물론 최고속도가 30노트라고 군함이 항상 그 속도로 질주하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예시.
  9. 원조인 넬슨급과 개장후의 QE급도 마찬가지다.
  10. KGV 이후로도 뱅가드가 있지만 이것도 역시 성에 안차긴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