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가재

갯가재
Mantis shrimp이명 : 사마귀새우
Stomatopoda Latreille, 1817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갑각아문(Crustacea)
연갑강(Malacostraca)
구각목(Stomatopoda)
상과
본문 참조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는 공작갯가재(Peacock mantis shrimp, Odontodactylus scyllarus) 브루탈리스크?



우리나라에 사는 Oratosquilla oratoria 종. 출처는 위키미디어 공용.?

1 개요

구각목(Order Stomatopoda)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 사마귀를 연상케 하는 모양의 앞다리가 특징적이다. 앞 다리에 타원형 공을 지니고 있는 갯가재는 앞다리로 펀치도 날리는데, 이 때 속력이 매우 빠르고 강력해서 유리도 깰 수 있을 정도원펀맨?... 다만 강화유리나 산호를 깨부술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종은 한정되어 있다. 이름이나 생김새에서 왠지 가재새우의 친척뻘일 것 같지만, 사실 촌수가 상당히 멀다.[1]

Mantis shrimp 혹은 stomatopods, prawn killer[2], シャコ. 우리나라에서는 갯가재 외에 딱새, 털치, 설개 또는 설게, 설기(충청도 지방)라고도 부른다. 정약전자산어보에서 갯가재를 ‘백석해’[3]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 간혹 이랑 갯가재를 뭉뚱그려 부르는 사람들도 있긴 한데 둘은 엄연히 다른 종이니 주의하자.

Mantis shrimp라는 영명은 이 놈들의 생김새가 사마귀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인데... 실제로 사마귀 못지 않은 강력한 포식자이다.

또한 "갯-"이라는 접두어가 "바다의"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바닷가재와 헷갈릴 수도 있으나, 이 둘은 전혀 상관없다.

2 특징

갯가재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라면 입에 달려있는 앞다리이다. 괜히 구각(口脚)목이 아니다. 사마귀처럼 앞다리를 모으고 있다가 초속(秒速) 23m/s(시속 83km) + 순간가속도 10,400g의 강력한 일격[4]을 날려 먹이를 잡거나 천적에 대항한다. 이 순간적인 공격이 얼마나 빠른지 앞다리와 공격목표물 사이에 순간적으로 진공인 공간이 생기는데, 이 빈공간에 물이 빨려들어가면서 생기는 충격파가 2차 타격을 수행하므로 앞다리를 타격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목표를 장풍으로 가격할 수 있다. 심지어 이 2차 타격 시의 에너지가 빛을 만들어 자그마한 불빛이 번쩍이기도 한다. 힘은 빛을 만든다! 그리고 난 힘찬 기분이 든다! 순간온도로 따지면 태양표면 온도보다 높은 경우도 있다! 앞다리에는 권투글러브처럼 타격을 가하는 펀치형과 날카롭게 베는 스피어형이 있는데, 국내 갯가재는 대부분 스피어형이다. 이 앞다리살도 밥풀만하지만 꽤 진미라 하여 일본에서는 이 앞다리살만 발라내어 팔기도 한다. 명심할 점은 펀치형이 가격해서 죽음에 가깝게 기절시키는 용도로 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목표물을 동강내서 먹는게 목표다. 갯가재에 대한 정리. 관련 다큐에서 생물학자가 갯가재 연구 노트에는 갈색 얼룩이 기본적으로 묻어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원인이 실험하던 사람들의 손가락을 갯가재가 두들겨서 피가 나는 거라고.



큰푸른고리문어도 그냥 먹는다.

어느 정도 교감이 가능한듯 보인다.


하지만 남태평양의 어느 섬에서는 갯가재가 사람을 먹는다. 사실 헨더스 섬이 아니더라도, 연안 바다 생태계에서는 엄연히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다. 육식성에다가 성질 자체도 상당히 공격적이고, 몸을 감싸는 단단한 껍데기와 강화유리도 깨버리는 강력한 앞발로 무장한 갯가재를 상대할 수 있는 동물은 적다. 이런 해양 프레데터가 그렇듯, 바다에 빠진 인간 시체에도 몰려들기 때문에, 갯가재가 인간을 먹을 수도 있다!

이중 펀치형 갯가재(공작갯가재 포함)는 해수어항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겐 큰 골칫거리로 작용한다. 해수어항의 메인이 되는 라이브락에 펀치형 갯개자의 유생이나, 알이 붙어와서 부화하는 경우, 어항 벽을 매번 때려서 딱딱딱 하는 소리가 난다.

비교적 작은경우엔 소리만 나거나, 기스만 가고 끝이지만, 크기가 커지면, 어항을 때리는 순간 와장창!하면서 어항이 작살난다. 때문에 해수항은 강화유리 이상의 강도에, 이들을 빨리 걸러내는게 중요하다.[5]

그런데 무슨 갯가재 따위가 어항을 박살낼 수 있는가? 라고 당연한 의문이 들게 되는데... 갯가재의 앞발을 구성하는 물질은 그냥 평범한 상아질과 키틴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두 물질이 나선 구조를 취하고 있다! 분자배열이 나선이 되면서 강도가 급격히 상승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강도높은 앞발이 쓰다가 파손되어정도로 강한 펀치를 날린다 (...) 물론 이건 탈피하면 만사 해결(?!)

앞다리는 보통 가재처럼 먹이를 잡고 편하게 먹을 때도 쓰인다. 다만 앞다리의 모습이 모습인지라 마치 사람이 물건을 끌어안듯이 앞발로 끌어잡고 먹는다.[6]

갯가재는 지구상의 동물들 중 가장 넓은 범위의 을 감지할 수 있는 동물로, 갯가재 의 색 수용체는 무려 12~16종[7]이나 되기 때문에 적외선 영역에서부터 자외선 영역까지 감지[8]할 수 있다. 그리고 눈 하나당 3개의 이미지를 본다. 인간의 눈은 눈 하나당 하나의 이미지만 보며 따라서 합계 두개의 이미지를 보는 반면 갯가재는 6개의 이미지를 한번에 본다는 말.

공작갯가재(Peacock mantis shrimp, Odontodactylus scyllarus)처럼 관상용으로 쓰이는 종류도 있다.

우리나라에 사는 종은 Oratosquilla oratoria라는 종 단 하나이고 지역에 따라서 이라고도 불리는데, 둘은 친척뻘이긴 하지만 진짜 쏙은 전혀 다른 갑각류고 생김새도 가재와 더욱 흡사하다.[9] 더욱이 쏙은 죽은 동물이나 배다리로 물결을 일으켜 수중의 플랑크톤을 걸러먹고 살기에, 공격적인 프레데터인 갯가재와는 식성이 전혀 다르다.

혹은 갯바위에서 돌돔을 낚을때 미끼로 쓰기도 한다. 돌돔이 워낙에 고급어종인지라 이정도 미끼는 써 준다는 듯. 심지어 성게와 함께 낚싯바늘에 끼워서 쓰기도 한다. 돌돔은 강력한 턱과 단단한 이빨로 이런 단단한 생물들을 주로 깨먹고 산다.

3 종류

  • Bathysquilloidea
    • Bathysquillidae
    • Indosquillidae
  • 가위갯가재상과(Gonodactyloidea)
    • Alainosquillidae
    • Hemisquillidae
    • 가위갯가재과(Gonodactylidae)
    • Odontodactylidae
    • Protosquillidae
    • Pseudosquillidae
    • Takuidae
  • Erythrosquilloidea
    • Erythrosquillidae
  • Lysiosquilloidea
    • Coronididae
    • Lysiosquillidae
    • Nannosquillidae
    • Tetrasquillidae
  • 갯가재상과(Squilloidea)
    • 갯가재과(Squillidae)
  • Eurysquilloidea
    • Eurysquillidae
  • 다섯돌기갯가재상과(Parasquilloidea)
    • 다섯돌기갯가재과(Parasquillidae)

4

새우의 중간같은 맛을 내는 무척 맛좋은 해산물이고, 조리법도 새우, 가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갯가재는 주로 해물탕 같은 데 넣어 끓이거나 처럼 쪄먹는 경우가 많고, 된장국에 다른 해물과 함께 넣어먹으면 맛이 좋다. <현산어보를 찾아서>의 저자 역시 이를 예찬한 바 있다. 마산 어시장에 가 보면 한 광주리에 3천원에 파는 경우도 있다!

갑각류라서 게장처럼 갯가재장을 담가 먹기도 한다. 맛은 게장과 비슷하긴 한데 특유의 갯가재 냄새 때문에 못 먹는 사람은 못 먹는다. 맛 자체는 상당히 좋은 편. 다만 식욕이 떨어지는 비주얼과 먹기의 불편함이 해결 과제이다. 갯가재장을 쌓아놓은 것만 봐도 비주얼이 심히 안좋다. 외국인이 번데기 볼 때의 컬처 쇼크를 한국인이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생김새가 워낙 그로테스크해서 맛도 보기 전에 혐오감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인기는 상당히 적은 편. 일본에서도 뜻밖에 젊은 층에게 외면받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생김새가 바퀴벌레같아서 기분나쁘다는 이유. 하긴 일반인들 기준에 호감가는 외모는...

그리고 껍질이 날카롭고 단단해서 게나 새우에 비해 손질하기 힘든 면이 있다. 맛은 보장할 수 있으니 갑각류 좋아하는 사람은 한번 시도해보자. 통째로 삶거나 구운 뒤,[10] 앞다리와 머리는 먹을 부분이 별로 없으므로 떼어내고 옆 모서리를 가위로 도려낸 뒤 꼬리껍질을 잡고 조심스럽게 떼어내면 큼직한 뱃살과 꼬리살만 남는다. 사실 앞발도 머리도 양이 작아서 그렇지 먹으려면 먹을 수 있고 맛있다. 알이 꽉 찬 시기는 매우 끝내준다. 몸통 내부에서 살보다 딱딱한 알이 씹히는데 정말 별미. 된장국에 넣을 때는 잔다리 다 자르고, 꼬리 끝도 좀 자르고, 앞다리도 낫 부분만 자른 채로 넣으면 적당하다.

쉽게 먹는 방법이 있는데,

1. 식초를 섞은 물에 10분간 삶는다. 이러면 껍질이 잘 벗겨진다. 단, 오래 삶으면 맛이 떨어지고, 덜 삶으면 살이 껍질에 붙어버려 떼어내기가 어렵다.
2. 머리를 가위로 자르고, 꼬리부분을 V 형태로 자른다.
3. 껍질의 길다란 양 모서리 부분을 자른다. 너무 앏게 말고, 넉넉하다 싶게 잘라낸다.
4. 이러면 위 아래로 아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5. 먹는다.

의외로 지중해 지역에서도 식용한다. 지중해 지방에서 식용으로 쓰이는 종은 Squilla mantis라는 종.

5 갯가재가 모티브이거나 연관된 캐릭터

  1. 새우와 가재는 게와 같은 십각목, 갯가재는 구각목이다.
  2. 새우를 잡아먹는 자’라는 뜻 근데 새우만 잡아먹을것 같지는 않다
  3. ‘흰 닭새우’라는 뜻. 물론 닭새우와는 아주 다른 동물이다.
  4. 위에서 언급했듯이 강화유리도 깨부숴버리는 위력이다. 사람으로 치면 코 앞에서 수류탄이 터지는 수준.
  5. 애초에 새우나 플랑크톤 수준의 갑각류가 아닌, 해수갑각류는 산호나 해초를 작살내는 골칫거리중 하나다.
  6. 투니버스에서 방영중인 "맹수대백과 60"이라는 외산 프로에서 갯가재를 소개하면서 먹이로 꼬일 때 그 모습을 보인 적이 있다.
  7. 많은 동물들이 1~2종, 인간도 3종류밖에 없다. 인간이 가진 3종의 색 수용체에서 받아들이는 빛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빛의 3원색’이다. 간혹 비둘기같은 는 4종류를 가진 것도 있다.
  8. 다만 이것이 꼭 우월하다고는 볼 수 없다. 인간의 중추신경계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3가지 색 수용체의 정보를 조합해서 천만 개가 넘는 색상을 구분할 수 있지만, 갯가재의 신경계는 단순하기 때문에 그런 복잡한 조합처리를 할 능력이 없다. 그래서 갯가재는 신경계에서 별다른 처리 없이도 색을 구분할 수 있도록, 눈에서 빛의 파장을 가능한 한 세분해서 받아들이도록 진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9. 일단 둘 다 같은 절지동물과 갑각강이긴 한데, 쏙은 가재나 새우와 같은 십각목, 갯가재는 구각목에 속한다.
  10. 실수하면 살이 껍데기에 붙어서 상당수 버리게 되므로 초짜는 삶는게 무난하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