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독일 국방군 원수
육군
(Heer)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게르트 폰 룬트슈테트귄터 폰 클루게발터 폰 브라우히치발터 폰 라이헤나우
빌헬름 카이텔빌헬름 리터 폰 레프빌헬름 리스트에르빈 폰 비츨레벤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게오르크 폰 퀴힐러에리히 폰 만슈타인에른스트 부슈에발트 폰 클라이스트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발터 모델페르디난트 쇠르너에르빈 롬멜프리드리히 파울루스페도어 폰 보크
해군
(Kriegsmarine)
에리히 레더카를 되니츠
공군
(Luftwaffe)
헤르만 괴링알베르트 케셀링에르하르트 밀히
후고 슈페를레볼프람 폰 리히트호펜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1940년 6월,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左)와 함께.

image075_15.jpg
▲ 왼쪽부터 에르하르트 밀히, 빌헬름 카이텔, 발터 폰 브라우히치, 에리히 레더, 바익스.[1]

1 개요

이름Maximilian Maria Joseph Karl Gabriel Lamoral
Reichsfreiherr von Weichs zu Glon

(막시밀리안 마리아 요제프 카를 가브리엘 라모랄
폰 바이흐스 추 글론 국가남작)
출생1881년 11월 12일, 독일 제국 데사우
사망1954년 9월 27일, 서독 근교 레스베르크
복무독일 제국군(1900년 ~ 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군(1918년 ~ 1933년)
나치 독일군(1933년 ~ 1945년)
최종 계급육군 야전원수(Generalfeldmarschall)
주요 참전제1차 세계대전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유고슬라비아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
청색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주요 서훈곡엽 기사 철십자 훈장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육군 장군으로 최종 계급은 원수. 독소전쟁에서 주로 활약했다.

2 생애

2.1 초기 이력 ~ 전간기

이름에서도 잘 드러나듯이 귀족 혈통 출신이다. 1881년 11월 12일 데사우에서 독일 제국군대령의 아들로 태어났다. 뮌헨 소재 빌헬름김나지움(Wilhelmsgymnasium)에 입학하고 1900년에 졸업해 바이에른제2기병연대로 배속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할 당시에 바익스는 대위였고 여단부관으로 활동하였으며 이 공으로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차 대전 종전 후에는 1915년부터 1918년까지 제3바이에른군단의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된 후 군축 과정에서도 요행히 살아남아 계속 복무할 수 있었다.

1928년 2월에는 중령으로 진급, 1930년에는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1933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한 후 1935년에는 기병사단장에서 개편된 제1기갑사단의 사단장으로 전속되었고 동시에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기갑은 기병의 방계 후손격인 병과인 만큼 기갑 부대 운용 교리가 그다지 발달하지 못했던 전간기에는 기병 출신 장교들이 기갑 병과로 전속되는 일이 많았는데 바익스도 그런 테크트리를 탔다. 특히 귀족 혈통 출신인 데다 1차 대전기부터 기병에 몸 담아 왔던 바익스는 독일 국방군 내에서 신뢰를 얻고 있었는데 바익스의 기병 운용법은 베르너 폰 프리취 장군마저도 감탄하게 할 정도였다고 한다. 1936년에는 기병대장으로 진급하였고 1937년에는 제13군단장으로 취임한 뒤, 오스트리아 합병체코슬로바키아 합병에 군단 병력을 동원하여 성사시켰다.

2.2 제2차 세계대전

2.2.1 폴란드 침공 ~ 유고슬라비아 침공

제13군단장이었던[2] 바익스는 폴란드 침공 당시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휘하 남부집단군에서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의 제8군 휘하로 참전하여 바르샤바 공략전에 나섰다. 1940년에는 프랑스 침공 당시 육군 총사령부 예비대의 제2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였고 7월에 상급대장으로 진급하였다. 1941년 4월에도 제2군 사령관으로서 바익스는 유고슬라비아 침공에 참전하였다.

2.2.2 독소전쟁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바익스는 페도르 폰 보크 휘하 중부집단군 소속 제2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였다. 1942년 7월에 개시된 청색 작전으로 신설된 B집단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바익스는 B집단군을 이끌고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참가했으나 휘하 제6군 사령관인 프리드리히 파울루스가 결국 무릎을 꿇음에 따라 전투에서 패배했으나 2월에 원수로 진급했다. 파울루스가 항복하던 날 히틀러가 격노하면서 "이제 독일군 어느 누구도 원수로 진급하지 못한다"고 말했던 걸 생각하면 다소 기묘하다. A집단군 사령관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도 원수로 진급했는데 후퇴에 성공한 공적으로 원수가 되었으니 독일군에게는 그다지 좋지 못한 징조였다.

이후 바익스의 B집단군은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도 참전하였으나 적은 병력으로 많은 병력을 무작정 틀어막으라는 히틀러의 무리한 지시가 내려오자 바익스는 후퇴를 청했는데 이 과정에서 히틀러가 열받은 나머지 B집단군을 해체시킨 후, 에리히 폰 만슈타인겨울폭풍 작전 당시 급조했던 부대인 "돈(Don) 집단군"과 합쳐서 새로운 남부집단군을 창설하게 한 후 만슈타인을 남부집단군 사령관에 앉혔다.

이후 남부집단군 소속으로 다시 편입된 바익스는 쿠르스크 전투에서 패배한 탓에 강제로 군복을 벗게 되었으나 1943년 8월 다시 현역으로 복귀해 발칸 반도의 수비를 담당하는 F집단군의 사령관이 되었다. 그러나 소련군이 1944년부터 유례없는 대공세를 펼쳐오며 위협을 가하자 바익스는 발칸 반도에 주둔한 자신의 부대와 독일 본토 사이가 분단될 것을 우려하고, 후퇴를 건의하여 히틀러의 허락을 받아 그리스, 유고슬라비아에서 철군을 명했다. 다음해인 1945년 3월에는 또다시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2.3 전후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 출두한 독일군 고위 장교들. 왼쪽부터 바익스, 로탈 렌둘릭(Lothar Rendulic) 상급대장,[3] 에른스트 데너(Ernst Dehner) 보병대장, 에른스트 폰 라이저(Ernst von Leyser) 보병대장.

바익스는 1945년 5월 2일, 바이에른 주의 에탈에서 미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발칸반도 점령 당시 전쟁 범죄를 일으켰다는 혐의로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 기소되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불기소 처분을 받고 풀려나 1954년에 근방에 위치한 레스베르크(Rösberg) 성에서 사망했다.

3 진급 내역

  • 1902.03.09 - 소위(Leutnant)
  • 1911.03.03 - 중위(Oberleutnant)
  • 1914 - 대위(Hauptmann)
  • 1921.02.01 - 소령(Major)
  • 1928.02.01 - 중령(Oberstleutnant)
  • 1930.11.01 - 대령(Oberst)
  • 1933.04.01 - 소장(Generalmajor)
  • 1935.04.01 - 중장(Generalleutnant)
  • 1936.10.01 - 기병대장(General der Kavallerie)
  • 1940.07.01 - 상급대장(Generaloberst)
  • 1943.02.01 - 원수(Generalfeldmarschall)

4 주요 서훈 내역

  • 1914.10.05 : 2급 철십자 훈장
  • 1915.11.13 : 1급 철십자 훈장
  • 1918.04.22 : 호엔촐레른 왕가 검 기사 십자 훈장
  • 1940.06.29 : 기사 철십자 훈장
  • 1945.02.05 : 곡엽 기사 철십자 훈장
  1. 이 사진을 구글에 검색하면 "Jewish officers(유대인 출신 장교들)"이란 검색어가 뜬다. 다른 장군들은 유대인인가에 관해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에르하르트 밀히는 유대인이 아닌 것이 확실하게 밝혀진 인물인데, 자세한 내용은 에르하르트 밀히 항목 참조.
  2. 당시 제13군단은 일명 "바익스군단"이라고 불렸다.
  3. 페르디난트 쇠르너에 이어 북부집단군 사령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