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탕

maeuntang
spicy seafood soup

1 개요

한국찌개 요리로, 각종 생선을 주 재료로 고추장, 고춧가루, , 여러가지 채소와 함께 끓여낸 음식이다. 이름은탕인데 분류는찌개

맵고 자극적인 맛이 특징으로, 그래서 이름도 대놓고 매운탕. 여러 채소와 맵고 자극적인 양념이 들어가는 이유는 당연히 생선의 비린내를 잡기 위해서다. 여기서 고추 등 향신료를 빼고 끓인 '지리'란 레시피도 있는데[1], 이걸 먹어보면 매운탕이 왜 생겼는지 알게 된다. 물론 잡어로 만든 매운탕만 먹다가 고급어종 지리를 먹으면 그 반대가 된다.

실력과 정성에 따라 다르지만, 만들기가 간편하고, 일반적으로는 회 뜨고 남은 잡고기를 끓여다가 얼큰한 맛으로 먹는 즉 재료 본연의 맛을 고의로 죽인 뒤 조미료 맛으로 먹는 것이기 때문에, 생선으로 만드는 요리 중에서는 조금 낮은 대우를 받는 편. 물론 제대로 된 일식당에서 튀어나오는 것은 큼직한 살에 적당한 양념이 곁들여져서 들어가지만 이런 일은 거의 없다(...) 입맛이 까다로운 사람들의 경우, 자극적이라며 싫어하고 재료의 참 맛 대신 매운 맛만 즐기게 되는 요리라서 싫어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맵고 얼큰한 것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은 대부분 좋아한다. 매운탕의 맛을 표현한 '매운탕에 술 한 잔'은 일종의 관용적 표현 같이 쓰이기도 한다.

계곡 등의 물가 주변 가게에서, 닭볶음탕과 같이 쌍두마차로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 역시 조리와 재료 공수의 간편함으로 선호된다. 적당한 생선과 콩나물, 고춧가루만 있어도 제법 그럴싸한 매운탕맛이 나기 때문이다. 이름 그대로 매운탕답게 매우면 그만

그리고 지역별로 넣는 향신료가 조금 다르다. 경남 쪽에서는 비린내를 잡기 위해서 방아라고 불리는 배초향을 주로 넣는다. 다른 지역에서는 초피가루를 넣어먹기도 한다.[2]

2 재료로 사용되는 어류

민물고기와 바닷고기 모두 매운탕의 재료로 사용된다.특히 참돔이나 벵에돔을 이용하면 국물 맛이 끝내준다고 한다.[3] 자주 쓰이는 생선으로는 우럭, 광어, 도미, 농어, 조기, 대구, 민어, 메기, 명태, 잉어, 송어 등 살이 담백한 맛을 내는 흰살 생선류이다. 비린내가 강한 붉은살 생선류는 찌개류 재료로 사용될 경우 매운탕 취급을 받지 못한다. 예로 네이버 키친의 음식 정보의 조리법상에 꽁치찌개, 고등어찌개는 있지만 꽁치매운탕이나 고등어매운탕은 없다. 그리고 부재료로 다양한 해산물이 들어가는데, 기호에 따라 , 조개, 등이 들어가 맛을 좀 더 풍부하게 한다. 가장 큰 부류로는 재료를 많이 넣는 파와 재료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파가 있다.

다만 민물고기의 경우 찌개나 지리로 끓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민물고기로는 거의 매운탕을 끓인다. 찌개처럼 바짝 끓일 경우 크기가 작은 우리나라 민물고기 특성상[4] 거의 흐물흐물해질 정도로 형체가 없어져 마치 어죽처럼 되버리고[5], 지리로 끓이면 흙내와 비린내를 잡기가 너무 힘들어진다. 특히나 메기의 경우 잘못 끓이면 매운탕을 끓여도 특유의 흙비린내가 그대로 풍기고 맛은 맛대로 매워서 못 먹는 사태가 벌어진다.

3 술안주

알탕과 더불어 소주를 마실 때 함께 즐겨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4 와의 관련성

이 문단은 서더리탕(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횟집 등에서는 를 치고 난 뒤 남은 뼈와 내장, 머릿고기 등으로 매운탕을 끓여 내놓기도 한다. 살을 모두 발라낸 후에 남은 뼈와 머릿고기를 끊이는 탕을 서더리탕이라고 하기도 한다. 물론 이쪽 매운탕은 생선살이 있는 매운탕과 달리 살이래봐야 뼈에 붙어 회로 낼 수 없는 살만 있어 먹을 게 거의 없기 때문에 살을 기대한다기보다는 국물을 기대하는게 더 좋다. 아니... 애초에 당신이 로 살 다 발라먹었으니깐 살이 없잖아? 사실 동네 매운탕 맛이 거기서 거기인 까닭은, 요리장의 국물 내는 솜씨가 떨어지거나 성의가 없어서 조미료 폭탄(...)을 투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통 매운탕 양념을 공장에서 사와 쓰기 때문에 국물 맛이 비슷비슷해 진다. 원래 생선은 머리와 뼈에서 진국이 우려나오기 때문에, 살이 없다고 국물 맛이 떨어지거나 하진 않는다. 회가 맛이 없어서회보다 매운탕이 더 맛있는 횟집도 얼마든지 있다.

이처럼 생선으로 하는 요리로서 에 비해 상대적으로 맛의 수준이나 격식이 떨어진다는 이미지가 강해서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이용한 비유도 있는데 가령 명감독/명배우들로 꼽히는 감독과 배우들이 만든 영화, 인지도 높고 유명한 IP를 이용해 만든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줄거리대본 등이 좋지 않아서 그저 그런 영화로 평가받을 때 "훌륭한 횟감으로 매운탕을 끓인 격"이란 비유를 사용하기도 한다.[6]

동의보감에서 "물고기를 지나치게 먹었을 때는 그것의 고깃국을 마시면 소화되니... 를 먹은 후에 그 남은 물고기의 머리로 을 끓여 먹는 것[7]"이라고 한 것을 보면 회를 먹고 나서 서더리탕을 끓여 먹는 역사가 유구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횟집에서는 회를 먹는 중간에(한 70~80%정도 먹을 즈음) 매운탕 국물이 나오며, 여기에 회를 샤브샤브처럼 담가 먹기도 한다.

5 기타

생선 자체의 맛을 즐기는 사람들은 매운탕의 맵고 자극적인 맛이 생선의 맛을 가린다며 맑은탕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취향은 자유이니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먹자. 단, 돌돔 같은 고급어종을 통째로 매운탕으로 만드는 이런 짓은 하지말자 아재들에겐 그런 거 없다(...). 먹고 잘 발라낸 걸 맵고 자극적인걸 선호해서 매운탕을 할 수도 있지만 저건... 푸아그라 김치찌개, 캐비어[8] 마요네즈 덮밥, 트뤼플 전골과 비견된다.

횟집에 밀려 수가 적지만 특히 민물고기 매운탕 전문점이 있다. 맥심과 티오피의 차이를 느껴보자!물론 전문점이 언제나 횟집보다 맛있다는 법은 없으니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1. 참고로 복지리탕할 때 지리는 일본어이며, 국립국어원에서는 싱건탕(.......)으로 순화해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그냥 맑은탕이라고 권장해줄 것이지.
  2. 대신 초피를 넣으면 향 때문에 모든 매운탕의 맛이 비슷해지는 경우가 많다. 조심해서 사용해야 된다.
  3. 물론 이러한 고급 어종으로 탕을 끓이면 맛이야 좋지만 그러기엔 재료가 너무 아까우니 자제하자. 돌돔항목에 있는, 돌돔으로 매운탕 끓인 사람이 욕먹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많은 횟집이 남은 머리나 뼈 등으로 지리를 끓여 해장용으로 내 오는 경우도 많다.
  4. 물론 아닌 어종도 있다
  5. 때문에 민물고기 잡어는 어죽으로도 많이 먹는다.
  6. 그래서 돌돔으로 매운탕을 만든 분이 욕먹는 거다. 그나저나 이분 언제까지 이걸로 고통받을까
  7. 동의보감 잡병편 권지구(卷之九) 해독(解毒)
  8. 그냥 캐비어도 아니고 무려 벨루가 캐비아 수준을 말아먹은 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