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교통

전라남도시내/농어촌버스 회사
목포시무안군유진운수태원여객무안교통
순천시순천교통동신교통광양시광양교통
여수시동양교통여수여객해남군해남교통
오동운수광우고속보성군보성교통
고흥군고흥여객대흥여객강진군강진교통
나주시나주교통광신고속화순군화순교통
신안군신안여객신안군공영버스영광군영광교통
함평군함평교통함평군민교통장흥군장흥교통
영암군낭주교통영암교통구례군구례여객
담양군담양운수동광고속장성군군민운수
진도군조도여객진도여객옥주여객
완도군고금여객금일여객노화교통
보길여객소안여객신완도교통
신지여객완도교통청산여객
생일마을버스소안농협버스청산마을버스
나비야청산가자곡성군곡성교통
400px
뉴 슈퍼 에어로 시티 좌석버스현대 그린시티
자일대우버스 로얄미디현대 카운티
무안교통(주)
주소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642 (舊 성동리 274-3)
대표이사정옥재
설립일자1988년 5월 20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보유대수24대

1 개요

전라남도 무안군 면허의 전라남도 시내버스 회사. 계열사로는 태원여객유진운수가 있으며, 본래 무안교통은 태원여객에서 분리된 회사라고 한다.

무안군농어촌버스목포시의 시내버스 운행을 하는 업체다. 총 버스 보유댓수는 27대라고 한다. 무안군민들의 많은 추가바람.

2 차량

대체적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좌석버스에 운용하고 일반 군내버스에는 현대 그린시티(글로벌 900), 로얄미디를 운용하고 그 중 일부는 천연가스버스다. 연료충전은 목포까지 가서 충전한다. 그런 불편 때문에 다시 디젤차량을 뽑기 시작했다고. 최근에는 현대 카운티를 뽑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중고차 천국이었고 차량 상태도 좋지 않았다. 모회사인 태원/유진에서 굴리던 차량을 가져와 굴리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도색도 뒤죽박죽이었다. 목포시 시내버스 도색이 그대로인 에어로타운도 있었고 무려 BF105에 현재 쓰고 있는 무안교통 신도색을 칠하기도 했으니. 아예 제3의 도색 차량도 있었다.[1]

3 현황

다른 지역에 비해 군내버스의 비중이 낮은 편이다. 무안군에서 제일 황금 구간은 목포-청계-무안 구간과 목포-임성-일로-몽탄-무안 구간인데 무안군 농어촌버스가 아닌 회사목포시 좌석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그나마 200번 좌석버스에는 무안교통의 차량이 몇 대 있다. 그런데 200번 버스 꼽사리낀 몇 대가 나머지 농어촌버스 합친 것보다 수익이 훨씬 높다는 것이 함정 실제로 좌석버스를 제외한 농어촌버스 전부는 무안군의 보조금으로 연명하고 있다. 목포시 좌석버스가 운행하는 무안읍,일로읍,삼향읍,청계면,몽탄면에서는 사실상 좌석버스가 간선버스의 역할을 하고 농어촌버스는 오지 지선으로 보조적 역할만 하는 게 현실.

나머지 해안권 지역은 뭐 딱히 나은 것도 낫냐? 지도 방면에서 출발하여 광주,목포,무안읍 방면으로 가는 금호고속 직행버스가 면소재지를 정차하기 때문에 그쪽으로도 많이 수요가 빠져 나간다.단, 금호고속이 다니지 않는 운남면은 제외. 대중교통으로 광주나 목포로 가려면 닥치고 농어촌버스를 타고 무안까지 가서 환승해야 한다.

무안교통에서 간선 노선에 해당되는 노선은 무안-현경-망운-운남[2], 무안-현경-망운-해제-(지도) 정도이고 나머지는 하루에 몇 회 다니지도 않는 오지 지선 노선뿐이다.

사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무안교통 노선은 무안을 경유하여 목포까지 갔다. 그러다 모회사인 태원/유진의 좌석버스와 겹친다는 이유로 대부분 무안까지 잘랐고 신안군 지도읍에서는 무안행 간선 몇 회 제외하고 철수하였다.[3] 그나마 목포터미널에 간선이나 몇몇 지선이 들어오긴 하였지만 결국 최근에 삼향읍 금동행 노선[4]을 제외한 모든 목포 노선에서 철수하였다. 이 외에 무안군 경계를 벗어나는 무안교통 버스는 신안 지도행 3회와 함평행 2회[5][6]뿐이다.직행버스를 탑시다.

여담으로 이 회사의 일반 군내버스를 이용하는 위키러에 따르면 서비스가 상당히 좋지 않고, 눈이 오면 운행자체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7][8]
  1. 태원/유진에서는 뽑지도 않는 아시아 차량으로 중고 AM928이었다.
  2. 일부는 무안공항을 경유한다.
  3. 현재 지도읍 관내를 운행하는 버스는 신안군 공영버스다.
  4. 운행거리가 편도 9km밖에 안되는 목포시 시내버스 지선이다. 1일 6회 운행.
  5. 무안-함평 농어촌버스는 함평군민교통 10회, 함평교통 2회, 무안교통 2회 공배다. 직행버스가 더 많이 다닌다.
  6. 참고로 함평-현경 노선을 함평교통이 1일 11회 운행하고 있다. 아침 1회는 망운까지 연장운행
  7. 운전중에 통화까지 한다. 해당 버스의 승객들은 거의 노년층이다 보니 노인들이 시끄럽게 떠들어도 기사는 아무런 제지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에 학생들이 조금이라도 대화를 나누면 거의 모든 기사들은 욕설까지 해대면서 떠들지 말라고 한다. 심지어 버스 승객이 적으면 자기 바쁘다고 근처 버스 터미널에 내려주고 가버린다. 직행버스냐?
  8. 사진상의 버스는 상당히 깨끗해 보이지만 같은 목포종합버스터미널에 정차하는 영암군 버스와 비교할 때 영암군 버스는 한달에 한번씩은 새로운 버스가 입고되고 버스의 외관도 깨끗하지만, 무안군 버스는 앞 범퍼는 찌그러져 있으며 시트 곳곳을 뜻어져 있고 뒷 유리창은 먼지로 뒤 덮여 보이지도 않는다.그런데 무안교통은 목포터미널에서 삼향읍 금동행 1일 6회를 제외하고 전부 철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