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터미널

Bus Terminal

파일:Attachment/sebt.jpg
서울고속버스터미널.

bangkok_bus_to_phuket.jpg
태국 방콕의 버스터미널.

1 개요

버스의 기종점 역할을 하는곳. 매표소, 대합실, 승하차장, 주차장, 기사사무실(버스회사 영업소)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규모에 따라 정류장, 정류소, 주차장 등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법적으로는 버스 터미널이 아니라 버스 정류소인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유사한 개념으로 환승센터가 있다. 이쪽은 버스, 철도 등등 여러 대중교통을 한번에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복합 터미널.

보통 고속버스시외버스의 기종점이 터미널이라 불리지만 지역에 따라 시내버스 터미널이 별도로 있는가 하면 터미널 명칭을 달고 있지만 실제로는 버스 정류장에 매표소 하나 달랑 갖다놓은 곳도 있다.[1] 보통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터미널이 따로 있지만 동서울터미널 등 종합버스터미널도 있다.

대부분의 터미널은 개인 또는 회사가 운영하는 사설 터미널이다. 민자역사가 상대적으로 소수라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영터미널이나 크게 성공한 터미널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경우 몹시 후달리는 시설들을 볼수있다.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신설을 하지 않은 이상 상당히 시설이 노후된 상태다.

대부분 터미널이라는 말이 통용되지만 경상도(특히 경남)에서는 주차장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자면 진주에 있는 장대동 시외주차장.(진주시외버스터미널)[2] 또 대구에서는 정류장으로 불리는데 택시기사에게 '서부시외터미널'(서부정류장)로 가자고 하면 못알아듣는다.(...) 아니면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 내려줄지도 외래어 표기법이 개정되기 전에 설립된 경우는 터미날이라고 법인명에 적어놓는다.[3]

대부분의 터미널은 자체 홈페이지가 없어서 경유지, 시간표(출발 및 도착시간, 배차간격), 요금 등에 대해서는 예매사이트를 참조하거나 터미널에 연락을 하거나 직접 방문해야 한다.

한국의 버스터미널은 한 도시에 서너개씩 있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너무나도 많으니 이 문서에서는 나무위키에 등록된 터미널(혹은 매표기능이 있는 정류장)만 언급한다.

한국에서는 정류장 수준의 작은 터미널을 제외하고 지역 거점급 터미널은 보통 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터미널, 시외버스터미널 등으로 나뉜다. 지역에 따라서 공용버스터미널, 여객터미널 등의 다른 이름이 붙는곳도 있지만 대체로 저렇다. 고속버스터미널은 고속버스가 서는 터미널, 시외버스가 서는 터미널은 시외터미널, 여러 버스가 서는 터미널은 종합(또는 복합)버스터미널이다. 고속버스노선이 한두개뿐인 동네는 이름은 시외버스터미널이지만 고속과 시외버스가 함께 사용한다. 정말 고속버스가 없는 동네에서는 당연히 시외버스터미널. 해당지역 지리를 잘 모르거나 고속-시외간 환승을 하려는 이용객 입장에서야 종합버스터미널이 훨씬 편리하다. 버스타러 갔는데 여기 아니니까 딴데로 가시오 한다면?? 다행히(?)도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나란히 붙어서 건물만 따로 쓰는 동네도 있다. 종합버스터미널만 있는 동네에서 타 지역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컬쳐쇼크를 겪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 전에 이런 지역 주민들은 버스 동호인이 아닌 이상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터미널 따로 쓰는 지역도 고속버스=서울가는 버스, 시외버스=기타 다른데 가는 버스로 아는 사람도 있고 반면에 터미널을 따로 쓰는 동네 사람들이 종합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에 가면, '아 이 동네는 정말 편하겠구나'라고 생각하는 부분. 가끔 고속버스를 타고 종합버스터미널에 내려서 시외버스터미널을 찾고 다닌다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헤매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대도시라면 필연적으로 메인 터미널에 사방에서 오는 노선들을 수용하는 동부, 서부 터미널 등을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광주는 다행히도(?) 크고 아름다운 터미널을 가지고 있어서, 이 터미널 하나에 모든 버스를 다 수용한다. 정류소는 몇곳에 있긴하다. 또한 운행회사별로 터미널을 따로 쓰는 동네도 있다. 그 지역 고속버스 노선이 몇개 안되고 그걸 한 회사가 다 독점하고 있다면 고속터미널은 당연히 독점 터미널이 된다. 대부분의 도시가 고속버스 노선보다 시외버스 노선이 많기 때문에 시외버스 터미널이 더 크고 장사도 잘 되니 투자도 많이 받아서 훨씬 깔끔하고 각종 편의시설을 잘 갖춘 경우가 많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극단적이다

Delhi+Transport+Corporation+%28DTC%29+buses+which+will+be+used+during+the+Commonwealth+Games+are+parked+in+a+depot+in+New+Delhi++on+September+17,+2010.jpg
인도 델리의 밀레니엄 파크 버스터미널. 세계에서 제일 큰 버스터미널이다. 2010년까지 세계에서 제일 큰 버스터미널은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중앙 버스터미널이었다.

한국에서는 군인들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곳으로 꼽힌다. 사실 한국은 특성상 다른 나라에 비해 군복을 입은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이기는 하지만 터미널에서는 눈에 밟히는게 군인들이다. 사실 그도 그럴게 가난한 군인들 입장에서는 무궁화호 아닌 이상은 열차타기에는 주머니 사정이 빠듯하다. 또한 강원도 전방 지역은 철도와의 접근성이 비교적 열악하기 때문이다. 고로 금강고속, 강원고속은 돈을 쓸어담듯이(...)

만약 터미널을 이용한다면 미리 시간표(또는 시간표)를 숙지하고 가는게 편리하며 인터넷을 찾아보면 시각표, 요금, 터미널 위치 등을 사진으로 찍어 올린 블로그가 많다. 물론 이 시간표들은 자주 바뀌기 때문에 어디까지만 참조 용도로 쓰는것이 낫다.

2 목록

2.1 한국

발착 기능이 있는 간이정류소는 ☆표시, 터미널의 형태를 갖췄음에도 발착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없는 경우는 취소선 표시.

2.1.1 서울

2.1.2 경기

2.1.3 인천

2.1.4 강원

2.1.5 대전

2.1.6 세종

2.1.7 충북

2.1.8 충남

2.1.9 부산

2.1.10 대구

2.1.11 울산

2.1.12 경북

2.1.13 경남

2.1.14 광주

2.1.15 전북

2.1.16 전남

2.1.17 제주[7]

2.2 외국

국가별로 분류해서 추가바람.

2.2.1 아시아

2.2.1.1 일본

바스타 신주쿠
OCAT [1]

2.2.2 아메리카

2.2.2.1 미국

추가바람.

2.2.3 유럽

국가별로 분류해서 추가바람.

2.2.4 오세아니아

국가별로 분류해서 추가바람.

2.2.5 아프리카

국가별로 분류해서 추가바람.
  1. 반대로 매표소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화성 조암터미널은 대합실, 승하차장은 있지만 매표소를 폐쇄하고 현금/교통카드로만 요금을 받는다.
  2. 합동주차장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에서도 특히 황해도 지역에서는 터미널을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3.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의 경우, 건물에도 표기해놨다.
  4. 말그대로 탑승수속을 하고 공항버스를 타는 터미널이지만 청주공항행 노선이 있기 때문에 시외버스터미널로도 들어간다.
  5. 동대구역 주변에 동대구 환승센터를 새로 지을 예정이다.
  6. 동대구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들의 중간 승하차장이다.
  7. 제주도에도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다만 그 시외버스가 환승할인 되는 사실상 좌석버스/농어촌버스라는게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