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100% |
옥과면 입구에 있는 아치형 구조물과 BM090. 현재는 모두 과거의 모습이 되었다.[1] |
width=100% |
2016년 1월 1일에 새로 도입된 차량 디자인.[2][3][4] |
谷城交通 곡성교통 | |
본사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군청로 6(舊 읍내리 244-4) |
대표이사 | 허기명 |
설립일자 | 1987년 9월 11일 |
업종 | 버스 운송업 |
보유대수 | 20대 (2015년 기준) |
목차
- 1 개요
- 2 연혁
- 3 차량
- 4 기타
- 5 노선
- 5.1 주요 간선노선
- 5.2 그 외 노선
- 5.2.1 곡성 출발
- 5.2.2 옥과 출발
- 5.2.2.1 옥과 ↔ 담양
- 5.2.2.2 옥과 ↔ 가곡
- 5.2.2.3 옥과 ↔ 죽산
- 5.2.2.4 옥과 ↔ 경악
- 5.2.2.5 옥과 ↔ 수산
- 5.2.2.6 옥과 ↔ 석곡
- 5.2.2.7 옥과 ↔ 성덕
- 5.2.2.8 옥과 ↔ 관음사
- 5.2.2.9 옥과 ↔ 송단
- 5.2.2.10 옥과 ↔ 이천
- 5.2.2.11 옥과 ↔ 온천
- 5.2.2.12 옥과 ↔ 입면
- 5.2.2.13 옥과 ↔ 궁동ㆍ입면
- 5.2.2.14 옥과 ↔ 제월
- 5.2.2.15 옥과 ↔ 금산
- 5.2.2.16 옥과 ↔ 대장리
- 5.2.2.17 옥과 ↔ 흑석
- 5.2.2.18 옥과 ↔ 만수
- 5.2.2.19 옥과 ↔ 소룡리
- 5.2.2.20 옥과 ↔ 상덕리
- 5.2.2.21 옥과 ↔ 설옥리
- 5.2.2.22 옥과 ↔ 합강ㆍ송전
- 5.2.2.23 옥과 ↔ 합강ㆍ송전ㆍ종방
- 5.2.2.24 옥과 ↔ 합강ㆍ입석리
- 5.2.2.25 옥과 ↔ 입석리ㆍ종방
- 5.2.2.26 옥과 ↔ 합강ㆍ송전(순환)
- 5.2.2.27 옥과 ↔ 마전ㆍ산정리
- 5.2.3 석곡 출발
1 개요
전라남도 곡성군에서 농어촌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 본사 위치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군청로 6(곡성버스터미널)
2 연혁
2011년 9월 14일에 교통카드제를 도입해 시범으로 운영했다.
2011년 10월 1일에 교통카드제가 정식으로 시행되었다. 당시 사용할 수 있었던 교통카드는 EB카드, 캐시비, 아이비(하나로카드 포함)였다.
2015년 하반기에 차량 모두 전면 LED가 장착되어 더 이상 레자천으로 된 행선지를 걸지 않고, LED에 'A▶B▶C▶D▶E'식으로 노선을 표시하게 되었다. 다른 지자체와 달리 시 브랜드 마크 등은 나오지 않으며, 노선 표시로 고정되어 있다. 관련 게시물
2016년 1월 1일에 버스요금이 1,000원으로[5] 단일화되었고, 기존 광주시 간선버스와 비슷한 도색에 군을 상징하는 캐릭터들이 그려진 랩핑을 덧씌웠다. 아직 2016년 이후에 반입된 차량이 없으나, 이후 차량은 아예 이 도색으로 출고될 가능성도 있다.
3 차량
800px
과거에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유사한 도색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위와 같이 모든 차량에 랩핑을 했다. 또한 기아 코스모스 등 기아자동차 차량도 있었으나, 현재는 현대 그린시티와 BS106 만을 사용 중이다. 다만, 소형버스를 애용하는 농어촌버스답지 않게 현대 카운티와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는 없다.
800px
특이하게 4018호는 측면에 고무몰딩도 없고 차체도 통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문서에는 4018호 사진만 7개가 있다.
4 기타
요금이 저렴한 편이지만, 캐시비]만 이용할 수 있으며, 후불교통카드는 모두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말이 있다. (추가바람.)
그리고 eb계열 안내방송이 나온다.
5 노선
거점 터미널은 곡성버스터미널과 옥과터미널, 석곡정류장이다.
농어촌버스의 특성상 시간대에 따라 경유지가 달라지므로 주의. 시간표는 곡성군청 군내버스 시간표 페이지를 참조할 것.
아래 시간표와 관련된 모든 내용은 2015년 6월 기준(시간표 자체는 2014년 4월 것을 참조)이다.
5.1 주요 간선노선
5.1.1 곡성 ↔ 옥과
800px
총 6개 노선이 있으며, 크게 삼기삼거리 경유와 입면 경유로 나뉜다.
- 곡성 - 삼기삼거리 - 옥과
- 곡성 - 삼기삼거리 - 죽산 - 옥과
- 곡성 - 삼기삼거리 - 수산 - 삼기삼거리 - 죽산 - 옥과
- 곡성 - 삼기삼거리 - 경악 - 수산 - 삼기삼거리 - 옥과 : 시장일에는 경악에서 금계리까지 들어갔다 나온다.
- 곡성 - 입면 - 제월 - 옥과
- 곡성 - 종방 - 금산 - 입면 - 제월 - 옥과
5.1.2 곡성 ↔ 석곡
800px
총 6개 노선이 있으며, 크게 삼기삼거리 경유와 압록역 경유로 나뉜다. 출처
- 곡성 - 삼기삼거리 - 석곡
- 곡성 - 삼기삼거리 - 상송 - 월계 - 석곡
- 곡성 - 압록 - 고치리 - 죽곡 - 석곡
- 곡성 - 압록 - 죽곡 - 신전 - 석곡
- 곡성 - 압록 - 고치리 - 죽곡 - 신전 - 석곡
- 곡성 - 압록 - 죽곡 - 신풍 - 신전 - 석곡 : 일부 시간대에는 신전 대신 원정까지만 운행
5.2 그 외 노선
5.2.1 곡성 출발
5.2.1.1 곡성 ↔ 죽곡
죽곡면사무소까지 운행하는 노선. 중간에 고치리를 들어갔다가 나온다. 1일 1회 운행.
5.2.1.2 곡성 ↔ 신풍
압록과 죽곡면사무소를 거쳐 죽곡면 신풍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3회 운행.(그 중 1회는 고치리도 들어갔다가 나온다.)
5.2.1.3 곡성 ↔ 원달
압록과 죽곡면사무소를 들렀다가 죽곡면 원달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6회 운행(시장일에는 2회 증편)
5.2.1.4 곡성 ↔ 압록
압록역까지 운행하는 노선. 여기를 거쳐 다른 곳으로 가는 노선들은 많지만, 여기까지만 가는 노선은 1일 2회 뿐이다.
구례군 농어촌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5.2.1.5 곡성 ↔ 조사
압록을 지나 죽곡면 하한리 조사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2회 운행.
5.2.1.6 곡성 ↔ 상한
조사마을에서 안쪽으로 들어가 상한마을까지 들어가는 노선. 1일 2회 운행. 구례군 농어촌버스도 여기로 들어온다.
5.2.1.7 곡성 ↔ 구례구
17번 국도를 따라 압록, 조사를 지나 구례구역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 구례군 농어촌버스(비촌이나 상한까지 가는 일부 노선들을 제외하고 전부 압록부터 구간이 겹침) 및 순천시 시내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순천 버스 33, 순천 버스 37 : 비촌부터 구간이 겹침)
곡성교통 노선 중 가장 동쪽으로 가는 노선이다.
5.2.1.8 곡성 ↔ 명산
800px
오곡면 명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오전/오후 각각 2회씩 운행하며, 구성리와 미산리(미산리는 오후에만)에 들어갔다 나온다.
5.2.1.9 곡성 ↔ 봉조리
오곡면 봉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2회 운행.(현조마을 경유)
5.2.1.10 곡성 ↔ 대사리ㆍ백곡리
고달면 대사리, 백곡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9회 운행. 단, 토요일 및 공휴일에는 4회로 감편. 출처
800px
백곡리만 가는 차량도 있으니 주의.
5.2.1.11 곡성 ↔ 상백
백곡리에서 안쪽으로 들어가 상백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6회 운행하며, 모두 대사리는 경유하지 않는다.
곡성교통 노선 중 가장 북쪽으로 가는 노선이다.
5.2.1.12 곡성 ↔ 수월ㆍ고달
고달면 고달리와 수월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첫차는 뇌연마을도 경유한다.)
5.2.1.13 곡성 ↔ 신기ㆍ장선리
곡성읍 신기리, 장선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시간대마다 경유하는 순서가 다르다. 1일 4회 운행.
5.2.1.14 곡성 ↔ 동산리
곡성읍 동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2회 운행하나, 하나는 토요일 및 공휴일에 운행하지 않으며 나머지 하나는 시장일에만 운행한다.
5.2.2 옥과 출발
5.2.2.1 옥과 ↔ 담양
운행구간 : 옥과터미널 - 오산삼거리 - 오례삼거리 - 동강리 - 평지리 - 동산리 - 무정초교 - 무정농공단지 - 청전아파트 - (→ 주공아파트 →/← 백동사거리 ← 담양도서관 ←)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13번 국도를 쭉 따라서 담양터미널까지 간다. 담양터미널에서 광주, 순창, 남원 방면 시외버스나, 광주광역시 행 농어촌버스(담양 버스 311, 담양 버스 322, 대덕/청평 경유 대인광장 행 노선)과 연계된다.
곡성교통 노선 중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다.
5.2.2.2 옥과 ↔ 가곡
800px
오산면 가곡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새벽에 1번, 아침에 1번, 점심에 1번, 저녁에 1번 운행한다.
5.2.2.3 옥과 ↔ 죽산
겸면 운교리 죽산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이며 그마저도 시장일에만 운행한다. 이 외에는 곡성에서 옥과로 가는 노선이 1회, 수산으로 가는 노선이 1회 경유하며, 시장일에는 곡성으로 가는 노선이 추가로 1회 경유한다.
5.2.2.4 옥과 ↔ 경악
삼기면 경악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 경악이 석곡으로 가는 길목 중간이라 이게 없어도 딱히 불편함은 없다.
5.2.2.5 옥과 ↔ 수산
800px
경악에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삼기면 수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3회 운행.
5.2.2.6 옥과 ↔ 석곡
800px
1일 1회(석곡 방면) 또는 2회(옥과 방면) 운행한다.(일요일 및 공휴일은 운휴) 옥과 출발 차량의 경우 석곡에서 대곡ㆍ신기 노선으로 운행한 후 다시 석곡으로 복귀하여 광천행 노선으로 운행한다. 순천이나 광양까지 시내버스로만 갈 때 참고하면 좋다.
5.2.2.7 옥과 ↔ 성덕
800px
오산면 선세리 성덕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 관음사로 가는 길목 초입에 위치하고 있다. 1일 5회 운행. 일부 시간대에 사리(1회)와 율천리(2회)를 경유한다.
5.2.2.8 옥과 ↔ 관음사
800px
오산면에 있는 사찰인 관음사까지 운행하는 노선. 성덕마을(관음사입구삼거리)에서 산길로 들어가 사찰에서 600m 정도 떨어진 곳까지만 올라간다.
800px
시간대에 따라 경유지가 다르다. (율천리 2회 경유, 사리 1회 경유) 두 곳 모두 경유하지 않는 경우도 1회 있는데 시장일에는 사리를 경유한다.
5.2.2.9 옥과 ↔ 송단
성덕과 원리를 거쳐 화순군 북면 송단리(평지)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3회 운행. 송단에는 화순과 광주광역시로 가는 217번도 일부 들어온다.
5.2.2.10 옥과 ↔ 이천
800px
원리를 지나 화순군 북면 이천리(북면사무소)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5회 운행. 여기도 217번이 일부 들어온다.
예전에는 옥과, 오산, 원리, 이천 표시만 끼우고 운행했으나 전면 LED가 도입된 현재는 중간 행선지에 노기리도 표시된다.
5.2.2.11 옥과 ↔ 온천
800px
원리에서 옆길로 빠져 북면온천(금호화순리조트)까지 운행하는 노선. 오산면 방면으로 가는 노선 중에서는 가장 남쪽까지 가는 노선이다. 1일 3회 운행.
과거에는 담양운수 225번(현 2번대 노선)도 들어왔으나, 남면 구산리로 단축되면서 현재는 들어오지 않는다.
과거에는 옥과, 오산, 원리, 온천 표시만 끼우고 운행했으나, 전면 LED가 도입된 현재는 중간 행선지에 남치와 서유리도 표시된다.
5.2.2.12 옥과 ↔ 입면
800px
입면사무소, 입면공용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 다만, 이곳을 거쳐 곳곳으로 가는 노선들이 많아 이동에 불편함은 없다.
5.2.2.13 옥과 ↔ 궁동ㆍ입면
위와 마찬가지로 입면공용정류장까지 운행하나 중간에 삼오1구로 들어갔다가 나온다.
5.2.2.14 옥과 ↔ 제월
800px
입면공용정류장을 거쳐 입면 제월리(제월1구)까지 가는 노선. 1일 6회 운행(제월을 거쳐 곡성까지 가는 노선을 제외한 횟수)
과거엔 옥과, 입면, 제월 행선판만 끼워서 운행했으나 행선판이 LED로 바뀐 지금은 '옥과 ▶ 무창리 ▶ 창정 ▶ 입면 ▶ 서봉 ▶ 금산 ▶ 제월'로 표기된다.
5.2.2.15 옥과 ↔ 금산
800px
입면 금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2회 운행. 그 외에 이곳을 거쳐 옥과와 곡성으로 가는 노선은 1일 3회 존재한다.
5.2.2.16 옥과 ↔ 대장리
800px
약천리를 거쳐 입면 대장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7회 운행.
5.2.2.17 옥과 ↔ 흑석
서봉리, 입면공용정류장을 거쳐 입면 흑석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여기까지 운행하는 노선은 하루 1편 뿐이며, 나머지는 전부 만수까지 갔다가 온다.
5.2.2.18 옥과 ↔ 만수
800px
서봉리 미경유 차량.
800px
서봉리 경유 차량.
입면공용정류장, 흑석리에 들렀다가 입면 만수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2회는 서봉리도 경유)
5.2.2.19 옥과 ↔ 소룡리
800px
옥과면 소룡리, 수리, 주산리 배감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5.2.2.20 옥과 ↔ 상덕리
800px
겸면 상덕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3회 운행.
예전에는 옥과, 상덕 표시만 끼우고 운행했으나 전면 LED가 도입된 현재는 중간 행선지에 흥복도 표시된다.
5.2.2.21 옥과 ↔ 설옥리
옥과면 설옥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곡성군에서 유명한 산 중 하나인 설산(雪山, 523m)으로 가장 가까이 가는 노선이나, 설옥리에는 정식 등산로가 없다. 제대로 된 길도 없고 등산동호회 리본들만 이곳저곳에 있어 길 헤매기 딱 좋으니 등산 목적으로 가는 거라면 도보(약 40분, 오르막길이 쭉 이어지니 자전거를 타고 올라가긴 힘들다.)나 택시(약 5분)를 통해 옥과미술관으로 가자.
5.2.2.22 옥과 ↔ 합강ㆍ송전
옥과면 합강리, 입면 송전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6회 운행.
5.2.2.23 옥과 ↔ 합강ㆍ송전ㆍ종방
합강을 거친 후 송전리를 한바퀴 돌고 나온다. 1일 2회 운행.
5.2.2.24 옥과 ↔ 합강ㆍ입석리
송전리를 지나 입면 입석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
5.2.2.25 옥과 ↔ 입석리ㆍ종방
13번 국도를 쭉 따라가다가 입석리를 들른 후, 송전리 종방마을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
5.2.2.26 옥과 ↔ 합강ㆍ송전(순환)
1일 2회 운행.
5.2.2.27 옥과 ↔ 마전ㆍ산정리
800px
마전리를 거쳐 겸면 산정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5.2.3 석곡 출발
5.2.3.1 석곡 ↔ 광천
800px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까지 가는 노선. 주암면사무소 바로 옆에 있는 광천정류소까지 운행한다. 1일 4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20분 정도로 짧은 편.
광천정류소에서 광주광역시와 화순군으로 가는 217번/217-1번(일부시간대에만 오므로 주의), 주암면 내를 순환하는 19번, 송광사와 순천시내로 가는 111번과 연계된다.
5.2.3.2 석곡 ↔ 구봉
800px
석곡면 구봉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5.2.3.3 석곡 ↔ 염곡
석곡면 염곡리(염곡보건진료소)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5.2.3.4 석곡 ↔ 구룡
목사동면 구룡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중간에 수곡리로 들어갔다가 나온다. 1일 4회 운행하며, 첫차(당동리 경유)를 제외하면 모두 공북리를 경유한다.
5.2.3.5 석곡 ↔ 죽곡
800px
800px
죽곡면사무소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중간에 목사동면사무소로 들어갔다가 나온다.(막차 제외) 1일 4회 운행.(1회는 목사동면사무소에서 원정까지 연장운행)
5.2.3.6 석곡 ↔ 신풍
당동리, 목사동면사무소, 원정, 신전, 죽곡면사무소를 거쳐 죽곡면 신풍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5.2.3.7 석곡 ↔ 원정
목사동면 원정(죽정보건진료소)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1회 운행(토요일 및 공휴일 운휴). 이 노선이 없더라도 창촌이나 신전으로 가는 노선을 타면 된다.
5.2.3.8 석곡 ↔ 신전
목사동면 신전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2회 운행하며 첫차는 공북리, 막차는 공북리와 당동리를 경유한다.
5.2.3.9 석곡 ↔ 창촌
800px
순천시 주암면 창촌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곡성교통 소속 노선 중 가장 남쪽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1일 4회 운행.
광천정류소와 마찬가지로 순천으로 가는 19번, 111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5.2.3.10 석곡 ↔ 대곡ㆍ신기
800px
대곡리를 거쳐 목사동면 신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신기리에서 조금만 앞으로 가면 순천시 주암면(문성마을)인데, 여기서 19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5.2.3.11 석곡 ↔ 월계ㆍ상송
석곡면 월계리와 상송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1일 4회 운행.- ↑ 13번 국도 평장삼거리 - 옥과IC 구간을 우회도로로 건설하면서 사진 속 아치형 구조물은 철거되었고, 옥과나들목과 촬영 위치인 황산길은 이설, 버스가 서있는 오산로(15번 국도)와 연화교는 증축되었다.
- ↑ 초록색 버스는 '멜론버스 론이'로, 곡성의 특산품인 멜론과 곡성의 산, 들, 나무 등 자연을 상징하는 녹색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다.
- ↑ 파랑색 버스는 '기차버스 차차'로 섬진강기차마을 증기기관차와 섬진강의 푸른 물결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다.
- ↑ 주황색 버스는 '장미버스 로타'로 섬진강장미공원과 군민의 사랑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다.
둘 다 빨강색이 더 가깝지 않나? - ↑ 중, 고등학생은 800원, 초등학생은 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