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마크

部隊-mark

1 개요

군인이 자신이 소속된 부대를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는 엠블럼. 군복 이외에 군기(軍旗)등 해당 부대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자 표현으로 부대표지(部隊標識)라고도 한다. 군내부에서는 부대표지가 정식용어이나 다들 부대마크라고 부른다. 보급품수령 확인서나 군수과에서 쓰는 프로그램 같은 데에서는 부대표지라고 표기되어 있다.

부대마크는 보통 사단 단위로 있으며 일부 독립여단도 부대마크가 있다. 야전군, 군단의 사령부에 소속된 군인들은 각각 야전군, 군단 단위로 부대마크가 있다. 야전군은 아라비아 숫자로, 군단은 로마숫자(수도군단, 6군단 제외)로 해당 부대마크가 표기되어 있다. 공군은 비행단 예하 전대대대급에도 전용 마크가 있다.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전투복에 부대마크를 단다.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국직부대)와 합동참모본부, 해군, 공군, 해병대는 군복에 부대마크를 부착하지 않는다. 대신 함정, 항공기에 소속 부대마크를 그려넣는다. 육군으로 입대해도 국직으로 가면 부대마크가 없다. 민간인들이 이들을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바로 철도역. TMO병들도 국직 국군수송사령부 소속이라 부대마크가 없기 때문이다.

가장 특이한 건 수방사 소속 대통령경호실 지원부대들. 편제상으로는 수방사 소속인데 지휘계통상으로는 대통령경호실 소속이라 부대마크를 달지 않으며, 애초에 전투복이 아닌 제복을 입는다. 그러나 전역증은 수방사에서 나오며, 전역날에만 수방사 부대마크를 달고 전역한다.

해군 해난구조대해군 특수전전단, 해군·공군 조종사비행복을 착용하는 인원은 부대마크를 부착하며, 한미연합군사령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같은 일부 부대도 해공군 및 해병대도 부대마크를 패용토록 하고 있다. 부대마크라고 하기는 뭐하나, 군악대의장대 소속 장병의 경우는 이를 뜻하는 부착물을 해공군 및 해병대 전투복에도 단다.

최근까지 저시인성과 동일한 크기의 원색 부대마크를 상기 언급한 육군 부대들 위주로 정복근무복에도 달았으나, 현재는 주머니 덮개에 다는 작은 배지로 대체됐다.

2 역사

부대마크는 본디 컬러풀한 원색이지만, 2005년부터 위장효과 증가를 이유로 정복과 근무복 및 비행복용 마크는 현행을 고수하되 전투복용은 흑색/녹색 위주의 저시인성 마크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육군에 저시인성 계급장이 1996년 말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는데 참 빠르기도 하시다. 예비군 훈련때 부대마크가 원색이냐 저시인성이냐로 짬의 우열을 가리기도 하는데, 예비역들이 일부러 멋내거나 짬티 내려고 정복용 칼라 마크를 전역시에 멋대로 전투복에 부착하는 경우도 많다. 신형 디지털 무늬 전투복으로 바뀌면서, 일부 부대는 녹색 계열 저시인성 마크를 배색에 어울리게 혹은 보다 위장성을 높이기 위해 검정색 계열로 바꾸기도 했다. 동시에, 원색의 비표도 신형 전투복부터 달지 않게 되었다.

공군의 경우는 1995년에 단급 이상 단위 부대부터 원색 부대마크를 달기 시작했는데, 육군이 저시인성 마크를 도입한 2005년 1월 1일부로 비행복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피복에 부대마크 부착을 금지했다.

3 부착법

대부분의 육군 및 소수 국직부대 비육군의 경우 전투복야전상의 등에는 좌측 상완 부분에 소속부대의 마크를 부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일부 병력들의 경우 지원부대의 마크를 우측 상완에 별도로 부착하기도 한다. 일부 군단 직할대 소속 병력의 경우 군단 마크를 좌측 상완에, 예하 사단 마크를 우측 상완에 함께 다는 기이한 모습을 볼 수도 있으며, 군수지원사령부(군지사) 소속인 경우 좌측 상완에 소속부대인 군지사 부대마크를 우측 상완에 지원부대인 군단 또는 사령부 마크를 함께 달기도 한다.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전방지역 군병원 소속 의무병들은 국방부 직할 소속인지라 좌측 상완에 부대마크가 없는 대신에, 지원하는 군단 또는 사령부의 마크를 우측 상완에 붙이고 있기도 하다. 지원 대상부대가 아니라도 원소속부대가 아닌 파견부대 근무시엔 오른팔에 동일하게 단다. 해군의 경우 전투복에 육군과 동일한 위치에 부대마크를 다는 경우는 SSU 뿐이다. 그 외 군종에선 소매 부대마크를 달지 않는다.

과거 육군 근무복 및 정복에 달던 원색 부대마크는 왼쪽 주머니 덮개에 다는 작은 배지로 대체되어 더는 부착하지 않는다.

그외에 가슴팍에 부착하는 흉장과 비표도 존재한다. 흉장은 특전사, 특공대, 수색대, 정찰대, 일부 토우중대 등의 부대들이 흉장을 부착한다. 부착위치는 상의 오른쪽 주머니. 부대마크와 달리 이런 흉장들은 원색으로 된 것을 근무복과 정복의 전투복과 같은 위치에 계속 단다. 비표는 소속 연대, 대대를 표시해주는데, 주로 상의 왼쪽 주머니 위쪽에 부착하며, 대부분의 경우 비표 색깔이 소속 연대, 비표에 써있는 문자, 숫자, 도형(★이나 ■와 같은)의 개수가 소속 대대를 나타낸다. 비표는 신형 전투복 도입 이후 대부분 폐지하는 추세로 근무복에는 계속 달게 하는 육군이나 해병대, 국직부대 일부가 남아있다.

보통 예비군 훈련에 가면 대한민국 모든 부대에 있던 사람들이 다 모이게 된다. 이때 서로 자신이 입은 전투복의 부대마크를 가리키며 내가 있던 부대가 제일 힘들었다느니 빡셌다느니 하는 식의 이야기를 시작하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4 국군 부대마크 목록

다음은 대한민국 국군의 모든 부대/전단/함정마크를 정리한 표이다. 단, 현재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통폐합되어 없어진 부대도 몇몇 있으며, 부대마크가 변경된 케이스가 일부 있을 수 있다. 예로 3사단31사단, 제73동원보병사단, 제75동원보병사단의 부대마크가 변경되었다.

아래에 나온 육군종합정비창처럼 자체 마크가 있지만 전투복, 근무복에는 상급부대(군수사)의 마크를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4.1 육군

참고로 아래에 있는 게 다가 아니다. 특히 흉장은 야전 군단/사단 위주로 적혀 있는데, 야전부대가 아닌 특수한 부대들의 흉장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청룡백호로 유명한 수방사 제1경비단.

파일:Attachment/ROKAmark2.jpg

4.2 해군

파일:Attachment/ROKNmark.png
파일:Attachment/ROKNmark2.png
파일:Attachment/ROKNmark3.png

4.2.1 해병대

1452436875443.jpg

4.3 공군

파일:Attachment/ROKAFmark.jpg
파일:Attachment/ROKAFmark2.jpg
파일:Attachment/ROKAFmark3.jpg

5 외국의 부대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