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 부착물

1 개요

군복에 부착하는 각종 부착물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종류

신체 부위에 따라 정리하였다.

2.1 어깨

  • 견장 : 육군에서 어깨에 부착하는 연두색 간부계급장. 지휘관일 경우 녹색이고, 병사 분대장의 경우 계급이 안 적혀있는 녹색 견장을 착용한다. 신병의 경우 노란색 견장을 차게 하는 부대가 더러 있고, JSA에는 상징 표식을 부착한다. 동대장의 경우 예비군 표식이 새겨진 견장을 착용한다. 신형전투복의 도입으로 전방부대에 한해 녹색 대신 녹회색[1]견장이 일부 지급되는 중. 해군해병대전투복에는 견장 부착용 끈이 없다. 일부 부대에서는 보직이나 직책에 따라 파란색이나 빨간색 같은 독특한 색깔의 견장을 지급하기도 한다. 공군의 경우 따로 견장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 계급장(정장) : 병사의 경우 근무복에 적용하며 양팔에 포제 계급장을 부착. 과거 육군공군야전상의에도 부착했지만 신형전투복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신형전투복 야상은 전투복 상의와 같은 곳에 약장을 부착한다. 또한 포제 정장은 각 계급별로 각각 만들어져 있었지만, 그보다도 더 예전에는 하나씩 박아 넣었다고 한다.[2][3]간부의 경우 정복에 적용하며 어깨에 철제 계급장을 부착. 간부 중 지휘관의 경우 정복에 적용하며 지휘자 견장 위에 계급장을 부착 후 지휘관 견장 패용.
  • 부대마크 : 육군해군 해난구조대, 해군 특수전전단 등이 부착한다. 기본적으로 왼팔에 부착한다. 국직부대 소속일 경우 부착하지 않으며, AA부대 예하/BB부대 배속인 경우에는 왼팔에 AA부대의 마크를, 오른팔에 BB부대의 마크를 단다. AA부대가 국직부대라면 오른팔에만 부대마크가 붙기도 한다.[4] 2000년대 중반 이후 모두 저인시성으로 바뀌었으나 전투복을 제외한 정복·근무복 등에는 원색 마크를 그대로 사용한다. 해군(해병대 포함), 공군은 과거 부대마크전투복에 부착했으나 현재는 부착하지 않는다.
  • 완장 : 당직 같은 특정 임무를 수행할 시에 착용한다. 왼팔에 부착.
  • 태극기 : 특수부대, 민정경찰, 파병부대, 카투사, 대한민국 해병대에서만 사용했으나 2015년 10월부터 전 군 병력이 모두 부착하게 되었다. 파병부대용은 태극기 아랫부분에 청색 띠가 덧붙어 있고 이 띠 안에 흰색으로 REP. OF KOREA(2014년 이전에 보급된 구형에는 그냥 KOREA)라고 쓰여있다.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오쉬노부대의 경우 부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며, 특전복과 비슷한 생삭의 국방/검 태극기를 사용하며 생활했다. 특수부대용은 태극기가 흑색이나 암록색의 저시인 타입으로 돼있다. 육군, 해군, 공군은 오른팔에 부착한다. 해병대는 왼쪽 팔에 부착했지만 현재는 타군처럼 오른쪽에 부착한다. 오버로크 방식이 아닌 벨크로 부착방식으로 일반 태극기와 위장색 태극기가 지급된다. 일반색 태극기는 평시 영내 근무나 휴가때 사용하고, 작전이나 훈련시에는 위장색 태극기를 사용했는데. #기사. 흰색 비중이 많은 일반 태극기가 근무 중에 훼손이 되거나 때가 타는 경우가 많고, 훈련 상황일 경우 계속 바꿔달아야하는 등 애로사항이 빗발치자 다시 위장색만 부착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단 행사, 출타시는 그대로 일반색 태극기를 쓴다.
  • 휘장 : HALO등 각종 훈련자격을 표시하는 휘장을 부착한다. 특수부대 한정이었으나 육군에서는 전군으로 확대되었다.
  • 헌병패치 : 부대마크 바로 아래에 부착.

2.2 오른쪽 가슴

  • 근속휘장 : 30년이상 근속하면 정복 명찰 윗부분에 부착.
  • 명찰 : 상의 우측(상대방이 보기에는 좌측)주머니 위에 부착. 육군을 제외한 해군/해병대, 공군은 벨크로를 이용해 부착을 하며 육군은 오버로크로 부착. 2016년 기준 육군도 벨크로를 이용해 부착한다.
  • 병과장 : 육군간부들만 해당하며 명찰 위에 부착한다. 해군(해병대 포함)은 병과마크를 부착하지 않는다. 공군같은 경우는 왼쪽 가슴에 있는 계급장 위에 있으며 병사들도 부착한다.
  • 흉장 : 상의 주머니에 부착. 수색대, 특공대, 기동대, 정찰대 일부 특수부대, 공군 헌병, 일부 토우중대가 착용한다. 호랑이, 사자, 독수리, 표범 등 육식동물 맹수 위주로 여러가지 동물 그림이 그려져 있다.

2.3 왼쪽 가슴

  • 지휘관 휘장 : 지휘관들이 사용하는 휘장. 문서 참조.
  • 계급장(약장) : 병사 한정. 왼쪽 주머니에 부착. ·공군은 주머니 덮개의 아래쪽 모서리에 닿게 부착하며, 해군(해병대 포함)은 위쪽 모서리에 닿게 부착한다.
  • 비표 : 대대연대를 상징하는 마크. 전투복에만 착용 가능. 상의주머니 위에 부착. 그런데 이거 대부분 원색이라 밤에 엄청 눈에 잘 띈다. 공군에서는 비표 대신 특기마크가 붙는다.
  • 특기마크 : 공군 한정. 자신이 부여받은 직종을 상징하는 마크. 전투복에는 포제 마크를 (야전상의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근무복정복에는 철제 마크를 부착.
  • 훈련기장 : 공수·유격·기습특공·특수수색 등의 훈련 이수자가 착용. 상의 주머니 위에 부착하되 비표 아래에 부착.
    • 공수기장 : 특전사에서 주관하는 낙하산 훈련을 이수하면 달 수 있는 휘장이지만 임무목적상 특공연대나 수색대대도 착용이 가능하다.한마디로 특수부대라는 것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공수휘장은 한개가 아니라 낙하산 훈련 횟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는데 병사는 병역의무기간상 기본휘장만 착용이 가능하며 강하조장 휘장 부터는 간부만 착용이 가능하다. 다만, 과거 현역병 의무복무기간이 3년이던 시절에는 병사도 강하조장 휘장을 착용할 수 있었다.
  • 휘장 : 특정 직책을 상징하는 메달. 왼쪽 주머니에 부착하며 흔치 않지만 두 개를 달아야 하는 경우 오른쪽에 하나 더 달기도 한다.
  • 약장 : 만국기 같이 화려하게 장식된 마크. 근무복·정복 등에만 착용 가능. 왼쪽 주머니 위에 부착하되 훈련기장 아래에 부착. 대한민국 국군에서 이 착용하면 무조건 가라다. 간부전용이다. 아마 간부 전용이라는 표현은 일반 병사가 약장을 받을 기회가 극히 드물다는 점과, 일반 육군의 경우 약장을 패용할 정복이없다는 점이다.야규나 지침에 의하면, 야전상의에 약장 패용이가능하다.( 해외파병 병사들에게 한정되겠지만..)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 민정경찰 휘장 : DMZ 근무자가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 군종병 휘장 : 군종병이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주특기가 군종행정(471)이 아니면 전역시 제거하는 것이 원칙인데, 달고 전역하게 해 주는 부대도 있다. (군종장교전투복에만 군종장교 휘장을 부착하고 근무복정복에는 병과마크 부착. 군종부사관병과마크만 부착.)
  • 태권도 유단자 휘장 : 태권도 유단자가 부착. 부위는 군복 착용자 기준으로 왼쪽 상의 주머니 윗부분.
  • 특급전투요원 휘장 : 특급전투요원 자격보유자가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 예비군 휘장 : 예비군 착용가능. 상의 주머니 윗부분에 착용.
  • 소속군 휘장 : 해병대는 신형전투복 도입 직후부터 '대한민국 해병대 / R. O. K. Marines'문구를, 육군은 2015년부터 '대한민국 육군 ROKA' 문구를, 해군은 2016년부터 '대한민국 해군 / R.O.K. NAVY' 문구를, 공군은 2016년 하반기부터 '대한민국 공군 / R.O.K. AIR FORCE' 문구를 상의 왼쪽 가슴 주머니 윗부분에 부착하고 있다.단, 특전사는 부착하지 않는다.
  • 선임병장 휘장 : 카투사한정. 분대장 견장과 같은 역할이며 왼쪽 가슴에 착용. 문서 참조.
  • 최정예전투원 휘장 : 육군 한정. 미 육군의 EIB(Expert Infantryman Badge)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최초로 신청한 96명 중 이 휘장에 합격한 인원은 단 6명이다.

2.4 머리

육군 간부모자에는 철제 계급장이 붙지만 모자 종류에 따라 포제 계급장를 오버로크하기도 한다.[5] 공군의 경우 전투모에는 철제가 아니라 포제 계급장을 사용한다.
육군 장교의 철제 계급장은 어깨나 옷깃에 부착하는 계급장과는 무궁화의 위치가 달라[6] 혼용이 불가능하다. 단 모든 철제 계급장이 옷깃용과 모자용이 다른 것이 아니라 혼용이 가능한 두 개의 계급장이 있는데 소령준장계급장이다.[7] 길쭉하지 않은 모양에다 한개씩만 있기 때문에 배열위치가 동일해서 혼용이 가능한 것이다.
i0163236832.jpg
그래서 군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런 실수를 하기도 한다.[8]

2.5 기타

  • 계급장 : 간부 한정. 옷깃 양쪽에 부착. 전투복에는 포제 계급장을 부착하며, 근무복정복, 간부용우의에는 철제 계급장을 사용한다.
  • 부대 뱃지 : 부대마다 다르므로 추가바람.
  • 훈장 : 훈장 수여자가 부착하며 근무복정복에 착용 가능하다. 부위는 위의 표식들을 가리지 않는 선에서 상의 앞부분에 착용한다.

3 같이보기

  1. 완전한 회색이 아니고, 기존의 녹색 견장의 채도를 확 낮춘 듯한 색상이다.
  2. 즉, 이병일 때는 작대기 하나짜리를 박고, 일병이 되면 그 위에 하나짜리를 또 박는 것.
  3. 신형 전투복 도입 전까지 병의 경우 진급시 야전상의는 기존 계급장을 제거한 뒤 진급한 계급장을 새로 오버로크하는 방식
  4. 대표적으로 군 병원 기간병. 오른팔에 배속 군단의 마크만 붙는다. 양주병원 기간병이라면 오른팔에 6군단 마크를 부착하는 식.
  5. 방탄헬멧은 포제 계급장을 오버로크 하지않고 뻣뻣한 천조각레자을 대어서 접착하는 방식을 쓴다. 또한 베레모로 바뀌기 전 수색대 간부는 철제 계급장을 달지 않고 포제 계급장을 오버로크하였다.
  6. 모자의 계급장은 무궁화 위에 가로로 배열되어있는 반면 어깨나 옷깃의 계급장은 세로로 배열되어있다. 대령이나 중장, 대장의 경우를 생각하면 당연한 것.
  7. 소위계급장의 경우는 마름모가 서 있는 형태가 모자용 계급장, 누워있는 형태가 옷깃용 계급장이다.
  8. 모자에 달린 철제 계급장은 정복 견장 및 근무복 옷깃용이다.
  9. 장교의 모자에는 정복이나 예복에 착용하는 모자가 아닌 이상 무조건 계급장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