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안산시 버스 목록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350/350-1.jpg
시내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350/350-002.jpg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된 이후 모습.[1]
※ 본 사진들은 원작자의 동의 하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노선 정보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50번 | |||||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경원여객 안양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오이도해양단지) | ||
종점행 | 첫차 | 04:50 | 기점행 | 첫차 | 05:50[2] |
막차 | 22:05/23:00(안산역 행)[3] | 막차 | 23:00 | ||
평일배차 | 20~30분 | 주말배차 | 30~40분 | ||
운수사명 | 경원여객 | 인가대수 | 12대 | ||
노선 | 경원여객 안양차고지 - 안양문예회관(아트센터),성결대 입구,명학역[4] - 남부시장 - 안양1번가,안양역[5] - 안양여중고교 - 박달사거리 - 논곡동 - 목감사거리 -안산동,수암파출소 - 부곡동주민센터 - 월피주공1단지 - 예술인아파트 - 중앙초교 - 안산시청 - 자유센터 - 와스타디움 - 초지시장 - 원곡초등학교 - 원곡고등학교,군자시장 - 안산역 - 유통상가 - 오이도입구 - 오이도해양단지 |
경원여객에서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경원여객 안양차고지를 출발하여 오이도해양단지까지 가는 노선이다.
2 역사
예전에는 시외버스로 운행했다.
일반좌석버스로 형간전환했다.(시기는 정확히 알수 없다)
2013년 11월 11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했다. 경원여객 공지사항 관련 게시물
동시에 노선도 일부 변경해 논곡동 대신 목감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단, 목감지구 도로공사로 인해 안산으로 갈 때는 논곡동과 목감동을 모두 경유하지 않는다. 경원여객 공지사항
목감지구 도로공사가 완료되면서 2015년 7월 1일부터 양방향 모두 목감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경원여객 공지사항.
어느 날 부터 오이도해양단지 - 오이도차고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일단 전산상으로는 단축이 되었는데, 이전부터 오이도차고지에서 승객 취급을 했는지는 불명이다.
3 특징
안양과 안산을 잇는 거의 유일한 버스편이기는 하지만[6] 그런 특징은 부각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시간과 요금이 넘사벽인 전철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철역에서 먼 동네(부곡동이나 박달동 등)에서 이용객들이 좀 있는 편이다. 이외에도 시화공단이나, 오이도해양단지를 가려는 사람들도 이 버스를 이용하는 편으로, 안산역에서 오이도해양단지까지 비교적 빠르게 가는 특징이 있다.[7] 시화 구간은 거의 직선코스에 가깝게 되어있으나, 유천아파트-코포모 구간은 제외한다.
예전에는 10~15분 간격이었다고 하는데 전철의 영향 때문인지 감차되어 20~25분 간격. 주말에는 40분대까지도 벌어지기도 한다.
노선만으로 봐서는 본사 소속이나 오이도 소속으로 보일 수 있겠으나, 보기와는 달리 안양차고지 소속이며[8] 따라서 안산,오이도가 아닌 안양차고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노선이다. 그래서 안산역까지 가는 차가 가까운 오이도를 놔두고 먼 안양으로 가며, 350번 관련 알림에 표기되는 전화번호 역시 안양차고지 전화번호이다. 다만, 야간에 오이도까지 가는 차량은 안양으로 공차회송하지 않고 오이도에서 숙박 후 다음날 아침 첫차로 운행한다. 또, 오이도차고지에 CNG충전소가 있는 덕에 경원여객 안양차고지 소속의 다른 노선들과는 달리(안양차고지에는 충전소가 없다) 이 노선, 31-7번(이쪽은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충전)은 정규차량에 한해 전 차량 모두 천연가스버스였으나, 350번에 디젤 차량이 2016년 6월에 일부 투입됐다. 이 노선에 투입된 예비차는 디젤 모델이며, 1332호였으나 15년 6월에 NSAC F/L 디젤로 교체했고 31-7번에 이동 투입했다.[9]
같은 회사의 5601번의 배차간격이 길어지게 되면서 이 노선의 역할이 좀 더 중요해졌다. 목감동에서 예술인아파트, 안산종합버스터미널 근처로 내려오는 노선이 이거밖에 없는 거나 다름없어졌기 때문. 또한 안산에서 고속철도 광명역을 갈 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노선을 이용하여 박달동 노루표페인트에 내린 다음 길 건너에서 3번, 12번 등을 타면 금방 광명역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10] 5601번 시간이 안 맞으면 이 방법이 유용하다. 라성시장-예술인아파트, 화훼단지-서울프라자[11] 구간에서 광명사거리, 개봉역, 구로, 영등포 방면으로 갈 경우, 이 노선을 이용한 뒤, 월피동-목감 사이의 중간 정류장에서 320번이나 301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여담으로 2004년까지 BS106 하이파워 하부냉방차량이 운행되었던 노선이다. 이는 수도권에서 제일 오랫동안 굴린 하부냉방차량이며, 전국에서 가장 오래굴린 하부냉방차량은 추가바람.[12]
2013년, 2014년에 신차구매를 했는데 그린시티로 구매한 것을 보면 이 노선도 장사가 안되었는 듯하다. 그러나 2015년 7월에 신차 구매를 할 때 그린시티로 구매하지 않고, NSAC F/L로 구매했다. 해당 차량 번호는 1280, 1287. 이것으로 350번의 대우 버스는 전멸했다. 여담으로 한때 1280호의 전면 LED는 앞 유리창이 2개로 나뉘어진(흔히 투피스라고 한다) 버스용 LED였다. 전면 LED를 언제 교체했는지는 추가 바람.
4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안양역, 명학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역
- ↑ 사진 속 두 차량 모두 지금은 대차되었다.
- ↑ 부곡동, 안산역, 오이도차고지(전날 22시 5분에 안양발 오이도행으로 운행한 차가 이 시간에 오이도를 출발한다.)에서 5시 50분에 안양 방향으로 동시에 출발한다.
- ↑ 오이도까지 가는 막차는 22시 5분에 출발하며, 이 막차만이 오이도에서 주박한다. 이후 22시 반과 23시에 출발하는 차량은 안산역까지만 운행 후 안양차고지로 공차 회송. 한 편집자가 2014년 12월 23일에 모 기사로부터 확인했다.
- ↑ 절대 명학역 앞이 아니다. 이 노선은 명학역 앞으로는 지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 정류장에서 하차한 뒤 골목길 좀 걸어가면 명학역이 나오긴 하므로 편의상 명학역을 표기했다. 명학역이라고만 적을 경우 역 앞 버스정류장에 서는 것으로 이해하기 쉬우므로 정류장명을 모두 적었다.
- ↑ 절대 안양역 앞이 아니다. 이 노선은 안양역 앞으로는 지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 정류장에서 하차한 뒤 골목길 좀 걸어가면 안양역이 나오긴 하므로 편의상 안양역을 표기했다. 안양역이라고만 적을 경우 역 앞 버스정류장에 서는 것으로 이해하기 쉬우므로 정류장명을 모두 적었다.
- ↑ 같은 회사의 35번도 있기는 하지만 운행간격이 길다.
- ↑ 같은 회사의 30-2번도 오이도해양단지를 가지만 350번에 비해 돌아간다. 게다가 공단지역을 지나기에 출퇴근 시간 말고는 비교적 빠른 편인 350번과 달리, 30-2번은 주거지역을 많이 지나므로, 승하차 승객 또한 대단히 많다.
하지만 오이도역까지 전철을 탄 다음 거기서 30-2번을 타면 어떨까?? - ↑ 안산으로 들어오는 35번도 안양 소속이다.
- ↑ 1332호 이전에도 1006호가 예비차로 다녔다. 1006호도 1332호와 마찬가지로 (대차 전에는) NSAC 디젤이었다. 그 차량은 14년 11월에 NSAC F/L 저상으로 교체했고 77번에 이동 투입했다.
- ↑ 3번이나 12번은 미칠듯이 자주 오는 노선이며 노루표페인트에서 광명역까지는 10분도 안 걸린다.
- ↑ 두산아파트-오이도 구간에서는 광명사거리로 나갈 경우, 1번 또는 510번과 환승할 수 있는 대체노선이 있다.
- ↑ 일단 전국에서 가장 가난한 버스 회사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안전여객에서 하부냉방 에어로 시티를 2007년까지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