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는 동음이의어·다의어/ㅇ 문서입니다.
1 옹주(翁主)
임금의 후궁이 낳은 딸. 서녀(庶女)에게 주던 봉작. 적녀(嫡女), 즉 왕비가 낳은 딸이라면 공주가 된다.
고려시대에는 임금의 후궁에게 주는 봉작이기도 했다. 본래 궁주(宮主)라는 봉작을 썼고 고려 후기 충선왕 때 궁주를 옹주로 고쳤지만 정작 옹주는 궁주보다 낮게 사용되어[1] 세자 이외의 왕자의 아내, 왕의 의붓딸이나 출신이 왕족이나 기생출신 후궁, 에게서 보인다. 또한 남발되어 공양왕 3년 왕자의 정비(正妃)와 왕의 유복(有服) 동성자매(同姓姉妹), 조카딸, 군(君)의 정처(正妻) 등에 한하여 사용하게 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때 그대로 이어진다. 조선 전기까지 비빈이나 왕녀에게 봉작으로 주어지기도 했다.
조선 중기 이전에는 왕세자빈이 아닌 임금의 며느리를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했다. 이후 후기 들어와서는 완전히 임금의 서녀를 칭하는 말로 정착.
간혹 임금의 적녀인데도 옹주 작호를 받는 일도 있었다. 정명공주는 선조의 유일한 적녀였지만, 어머니 인목왕후가 폐위되면서 공주보다 한 단계 낮은 옹주로 낮춰졌다가[2] 인조반정 이후 공주로 복권되었다.
역사상 유명한 옹주로는, 영조의 총애를 받았던 화완옹주와 고종의 딸로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녀인 덕혜옹주가 있다.
적서차별이 강한 조선에서는 공주에 비해 상당한 푸대접을 받았을 것 같지만, 별로 그렇지는 않았다. 물론 공식적으로 대우하는 예법 등은 공주와 차이가 났지만, 일반 사대부의 서녀들이 보통 적녀보다 훨씬 떨어지는 집안에 시집가거나 비슷한 집안의 서자와 혼인하거나 첩으로 들어갔던 것과는 달리, 옹주는 공주와 별반 다를 것 없는 명가에 정실로 시집가곤 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왕후 소생의 자식이 귀해지고 따라서 공주도 드물어졌기 때문에, 옹주들은 남부럽지 않은 총애와 귀한 대접을 받곤 했다.
그리고 임금의 서녀라고 해서 모두 옹주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궁녀가 승은을 입어 임금의 자식을 낳더라도, 딸만 낳으면 후궁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들을 낳으면 무조건 후궁 첩지를 받는 것이나 다름없었기에[3] 그래서 승은상궁들은 아들을 낳기 위해 기를 썼다고 하나 사람 마음대로 되는 일이 아니었고... 후궁이 되지 못한 승은상궁들의 딸들은 옹주로 봉작되지도 못했고 기록도 거의 남지 않았다.
2 옹주(雍州)
고대 중국 구주(九州) | ||||||||
기주 | 연주 | 청주 | 서주 | 양주(揚州) | 형주 | 예주 | 양주(梁州) | 옹주 |
{{틀:문서 가져옴|title=연주|version=15}}
후한 자사부(13주) | |||||||||||||
사례 | 기주 | 연주 | 청주 | 서주 | 양주(揚州) | 형주 | 예주 | 양주(凉州) | 옹주 | 익주 | 병주 | 유주 | 교주 |
{{틀:문서 가져옴|title=유주|version=59}}
- 관련항목 : 삼국지/지명
고대 중국의 행정구역 중 하나. 장안(현재의 서안)을 비롯한 섬서성 중부지역과 감숙성 동남부, 영하 회족 자치구 남부 및 청해성 일부지역을 이르는 말로, 중국 9주(九州), 후한 13주[4] 중 하나이다. 함곡관 안쪽에 위치해 있어서 관중(關中)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상대, 서주, 진나라의 수도였던 풍, 호경, 옹, 함양 등 고대부터 여러 왕조의 중심지였다. 초한쟁패기에는 장한을 비롯한 삼진이 있던 곳이고, 이후로도 전한의 "수도권"이었던 곳.
그러나 후한 광무제 때에 수도를 낙양으로 옮기면서 황제 직할령인 사례주에 병합되었다. 후한 말기 삼국지에서 다뤄지는 시대에서는 초반에 동탁이,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이각, 곽사, 장제, 번주 등이 근거지를 잡고 있는 곳이다. 장안의 F4 흥평 원년(194), 동탁이 18로 제후를 두려워 해 장안으로 천도한 이야기야 엄청나게 유명하다. 이 때 양주[5]와 사례주의 삼보 지역을 분할하여 재설치 되었다. 조위 대에 다시 옹주와 양주로 분리되기도 하였고, 서진 시대에는 무제 사마염의 태시 5년(269년) 무도·음평·농서 지역을 진주로 분리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그 직후 영가의 난이 터지면서 서진이 멸망하고 그야말로 헬게이트화(...)
2.1 옹주 소속 군 일람
2.1.1 후한
- 무위군(武威郡)
- 장액군(張掖郡)
- 주천군(酒泉郡)
- 돈황군(敦煌郡)
- 서해군(西海郡)
- 서평군(西平郡)
- 서군(西郡)
2.1.2 조위
- 경조군(京兆郡)
- 풍익군(馮翊郡)
- 부풍군(扶風郡)
- 북지군(北地郡)
- 신평군(新平郡)
- 안정군(安定郡)
- 광위군(廣魏郡)
- 천수군(天水郡)
- 농서군(隴西郡)
- 남안군(南安郡)
- 무이호군(撫夷護軍)
2.1.3 서진
- 경조군(京兆郡)
- 풍익군(馮翊郡)
- 부풍국(扶風國)
- 안정군(安定郡)
- 북지군(北地郡)
- 시평군(始平郡)
- 신평군(新平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