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역(번역)

1 개요

한자를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내는 것.
예: Asia → 亞細亞, club → 俱

대표적으로 '영국(英國)', '법국(法國)', '덕국(德國)', '미국(美國)'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음역은 청나라에서 이들 서양 열강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붙여 준 이름이다. 음역 표기를 겸하여,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들인 만큼 이왕이면 좋은 뜻을 가진 글자로 나라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외국인들의 이름을 음역한 것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한국인에게 익숙한 것은 역시 임진왜란 당시의 일본인들의 이름. 시마즈 요시히로의 경우 일본인들이 부른 존칭인 '시마즈 도노'가 심안돈(沈安頓), 심안돈오(沈安頓吾) 등으로 적혔고 중국인들은 석만자(石曼子)로 음역했는데, 실제 그의 이름을 한국 한자음으로 옮긴 '도진의홍'과 더불어 모두 다른 인물로 인식되기도 했다. 분신술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그 관직명인 관백과 발음을 음역한 감박사마[1]가 혼용됐고, 역시 다른 인물인 줄 알았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역시 '덕천가강'이라는 말을 주로 썼지만 실록에는 '이야샤'로 음역한 것이 존재한다.

근대에 들어서는 서양인들의 나라, 이름, 지명 등을 음역한 것이 많았고 지금도 미국, 영국 등이 쓰이고 있다. 다만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 게 늦어서 중국, 일본의 음역이 대부분.

현대에는 외국인들이 귀화할 때 이름을 따서 한국식 이름을 지을 때나 한국에 친숙한 인물들을 친근한 의미로 한국식으로 바꿀 때 쓰는 편이다. 반대로 국제화/세계화 추세에 발맞춰 이국적인 이름 내지 영어 이름의 영향을 받은 듯한 이름을 지을 때도 많이 쓰인다. 아래 참고.

나무위키에서 심심하면 볼 수 있는 친근한 낱말 '오덕후' 역시 일본어 '오타쿠'를 한국 한자음 비스무리하게 바꾼 것.

2 근대에 음역된 나라 이름과 단어

2.1 중국의 음역을 받아들인 것

2.2 일본의 음역을 받아들인 것

3 전근대에 음역한 것

3.1 국가/민족/세력

3.1.1 북방민족

※추정의 경우는 ★를 붙이고 가능하면 관련 학자를 주석으로 언급할것.

3.1.2 기타

3.2 인명

3.3 지명

워싱턴 -> 화성돈
LA -> 로스엔젤레스 -> 나성
샌프란시스코 -> 상항
뉴욕 -> 뉴육
싱가포르 -> 성항
폴란드 -> 파란
스웨덴 -> 서전
스위스 -> 서서
프랑스 -> 불란서
베를린 -> 백림
그리스 -> 희랍
이집트 -> 애급

3.4 기타

  • 달노합적 :

3.5 불교 인명, 지명, 용어

  • 가비라성 - Kapilavastu
  • 가섭 - 마하가섭 : Mahākāśyapa
  • 나란다 : Nālandā
  • 나한 - 아라한 : arhat
  • 능가경 : Laṅkāvatāra Sūtra
  • 라후라 : Rāhula
  • 마하 : mahat
  • 만다라 : maṇḍala
  • 목련 : Maudgalyāyana
  • 미륵 : Maitreya
  • 바라밀다 : pāramitā
  • 반야 : prajñā
  • 보살 - 보리살타 : bodhisattva
  • 불타 : buddha
  • 비구 : bhikkhu
  • 비구니 : bhikkhuni
  • 석가모니 : Shakyamuni
    • 구담 실달 : Gautama Siddhārtha
  • 수다라 : sūtra
  • 수보리 : Subhoti
  • 승가 : saṃgha
  • 아난 : Ānanda
  • 아미타 : amṛta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 우발리 : Upali
  • 제바 : deva
    • 제바달다 : Devadatta

4 서양식 이름을 음역한 것

4.1 한국

  • 석호필 (Schofield)
  • 세라 (Sarah)
  • 수산 (Susan)
  • 수지 (Susie)
  • (Swan)
  • 안나 (Anna)
  • 애리 (Ellie)
  • 요섭 (Joseph)
  • 유진 (Eugene)[10]
  • 채리 (Cherry) : 물론 '체리'도 한문으로 쓸 수 있지만 체리라는 이름이 한국인 이름으로 어색하게 느껴질 때 '채리'로 음역하는 경우가 많다.
  • 필립 (Philip)
  • 한나 (Hannah)
  • 허가이 ( Хегай)

4.2 일본

  1. 일본인들이 간바쿠 사마로 한 것을 음역한 것으로 보인다.
  2. 중국식으로 읽으면 미리견은 Měilìjiān(메↓이↑리↘지엔→), 아미리가는 Yàměilìjiā(야↘메↓이↑리↘지아→). 전자는 America의 me 부분에 강세가 들어간 것을 바탕으로 한 음역이다.
  3. 병음으로 읽으면 Yīngjílì(잉→지↗리↓)
  4. 잉글랜드의 음역인데 영국 그 자체를 나타내게 되었다.
  5. '아라사'를 병음으로 읽으면 Éluósī(어↗뤄↗쓰→). 이것은 몽골어 Орос를 음역한 것이다. 이는 몽골어에는 한국어처럼 두음 법칙이 존재하여 로씨야인 원 발음을 오르스로 옮긴 것으로 최종적으로 중국어 음역에서 아라사가 된 것이다.
  6. 역시 네덜란드의 주 '홀란트'의 음역인데 네덜란드 그 자체를 나타내게 되었다.
  7. 이 경우는 歐의 발음을 한국에서 잘못 받아들이면서 원음과 멀어진 사례다. 일본 음은 오(おう)고, 중국 음도 'ōu'다. 대한항공에서 90년대까지 주로 사용하던 용어로 "구주"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의 "구"가 바로 이것이다.
  8. Paul Pelliot
  9. 노태돈
  10. 근데 주의할 건 유진은 한국에서는 여성스러운 이름이지만 서구권에서는 남자 이름으로 쓰인다. 프랑스의 화가인 외젠(Eugène) 들라크루아도 있고, M16 소총 개발자의 이름도 유진 모리슨 스토너.
  11. '메구미'의 애칭 또는 변형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Margaret의 애칭인 'Meg'의 음역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