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48-1

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125-167891011151617202223
242627293031333637383940414243
4446495051525455575858-259616263
666768707173778081828383-1858687
8888-1909696-199100100-1101103107108110110-1111
113115115-1121123124125126127128-1129-1131133134138
138-1139141144148148-1155160161167168169169-1179180
181182183184185186187188189189-1190200210301302
307333338506508520555*583
† :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 출퇴근 시간 전용노선

SN204873.jpg
노포동까지 운행하던 시절(2013년 2월).
파일:Attachment/부산 버스 148-1/busan148-1.jpg

008.jpg
금정구청까지 다니던 시절(2015년 11월).

DSC06792.JPG
2016년 5월 현재. 응? 48-1번??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48-1번
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대도운수 본사)종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2동(부산대학교정문)
종점행첫차04:40기점행첫차06:06
막차21:50막차23:10
평일배차출퇴근 12분/평상시 16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대도운수인가대수13대
노선학장동 ─ 엄궁농산물시장↔엄궁아파트단지↔엄궁중학교↔새벽시장서부터미널↔신모라사거리↔구포역덕천역↔덕천주공↔신만덕↔미남교차로동래역온천장부산대학교정문

2 개요

대도운수가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2.0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7년 2차 개편으로 삼신교통대도운수가 148번을 공동배차로 운영했는데 2012년 4월 27일에 128번이 폐선됨과 동시에 엄궁농산물시장-신모라 구간을 커버하는 대체노선으로 이 노선이 신설되어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대도운수가 148번에서 철수하여 전부 이 노선에 투입했다. 이때 경전철 이용을 권장하면서 201번도 폐선하여 전부 형간전환[1]해 이 노선에 투입하였다. 사실 번호만 다를 뿐이지 여러가지로 의미로 구.120번이 부활한 셈이다.
  • 2013년 10월 26일 개편으로 학장동~장인로~엄궁농산물시장~서부터미널~신모라~덕천역~덕천주공아파트~신만덕~동래역~부산대~금정구청으로 노선을 대폭 변경했다.
  • 2015년 12월 27일 개편으로 온천장까지 노선을 단축해 한동안 논란이 일었다.
  • 2016년 4월 23일에 부산대까지 노선을 연장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1 폐선된 모태노선 구.120번

주의. 폐지된 버스노선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버스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본래 대도운수에서 엄궁동과 학장동을 맡았던 노선은 120번이었다. 노선은 하단SK뷰아파트~엄궁아파트단지~학장동~서부터미널~신모라~모라역~구포시장~신만덕~사직운동장을 운행하였던 노선이고, 배차간격은 15분 정도였다. 과거에는 엄궁농산물시장이 기점이었으나, 차고지 임대 계약만료로 하단SK뷰아파트 인근 공단으로 차고지를 이전하였다. 그러나 2007년 준공영제 때 신만덕으로 노선이 단축되고,[2] 128번이 김해~사상~학장아파트단지~엄궁농산물시장까지 운행하는 바람에 120번의 수요가 감소하였으며, 둘 다 어정쩡한 운송실적과 포지션이었던지라, 부산시에서는 두 노선의 중복성이 많아 정리할 필요성이 생겼고, 이에 2007년 9월 1일 개편으로 김해로 가는 128번이 살아남고, 120번이 폐선되었다. 120번 차량분은 148번과 201번으로 분산되었으나, 이후 128번이 부산김해경전철과의 중복성 문제로 인해 2012년 4월 27일에 폐선되었고 그 과정에서 148-1번 노선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 때 경전철 이용을 권장하면서 공항~서면 간을 운행하던 201번이 폐선, 형간전환되어 넘어왔다. 그리하여 148번과 구.201번으로 뿔뿔히 흩어졌던 대도운수 차량들은 부메랑처럼 한 노선으로 모여 재회하게 되었고, 엄궁아파트단지~학장반도보라아파트~서부터미널 노선 또한 약 5년만에 대도운수 곁으로 돌아왔다.

3.2 흑역사

운행기간 : 2012년 4월 27일 ~ 2013년 10월 25일

운행노선 : 엄궁농산물시장↔엄궁아파트단지↔학장동↔서부터미널↔신모라↔구포역↔신만덕↔동래시장↔서동고개↔부곡시장↔금정구청↔노포동터미널

148번의 노포동~신모라사거리 구간 복사>붙여넣기 시절. 2012년의 168번(...)

개통 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었던 노선이었다. 기존의 148번에다가 신모라-엄궁농산물시장 구간을 그대로 갖다붙였기 때문에 모라역-구포역-미남교차로-충렬사-서동고개-부산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은 148번과 98%이상 중복되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환승센터에서 출발하는 148번과는 달리 중앙대로 정류소를 경유했기 때문에 이용객이 조금 적었던 모양. 단, 148번 막차(21:40)가 출발한 이후 노포동에서 출발하는 버스는 편의상 환승센터에서 출발했었다.

148번과 과도하게 중복될 뿐만 아니라 노선길이도 지나치게 길어서 고자노선으로 질타를 받아왔었고 상습정체지역을 지나다니는 노선구조상 배차간격이 벌어질때가 흔해서 엄궁동 주민들이 큰 애를 먹고 있었다. 심지어 이 노선 기다리는걸 포기하고 택시를 타고 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위에서도 밝혔듯이 기존의 148번과 중복되는 구간이 대부분인데다가 배차간격도 좀 길어서 서부터미널-엄궁농산물시장 구간을 제외하면 148번의 수요를 보조해주는 정도로만 활약했었다. 개통초기 노선으로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서부버스터미널까지 환승없이 이동할 수 있었다.소요시간은 어쩌고?

2012년 청강리 사태 이후 송 모씨가 148-1번 노선개선 민원들을 보고 적자가 누적되는 것을 가만히 지켜볼 수만은 없었던 것 같다. 2013년 10월 26일에 이 노선을 완전히 다른 노선으로 바꾸었다.

3.3 금정구청 회차 시절

운행기간 : 2013년 10월 26일 ~ 2015년 12월 26일

운행노선 : 학장동↔장인로↔엄궁농산물시장↔엄궁아파트단지↔학장동↔서부터미널↔신모라↔구포역↔덕천주공↔신만덕↔동래역↔SK허브스카이↔부산대학교↔금정구청

2013년 10월 26일에 '학장동 - 엄궁농산물시장'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금정구청 - 노포동터미널' 구간을 미경유하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학장차고지에서 출발해 학장자동차학원 ─ 감전동이마트 ─ 엄궁농산물시장 ─ 엄궁아파트단지 ─ 새벽시장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덕포시장 ─ 신모라사거리 ─ 모라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교차로 ─ 덕천주공 ─ 신만덕 ─ 제2만덕터널미남교차로동래역온천장[3]부산대학교장전역 ─ 금정경찰서까지 갔다가 금정구청에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변경했다.

이는 1993년 당시 엄궁~온천장으로 운행되었던 121번과 노선번호만 다를 뿐 약 20년만에 사실상 부활하는 격으로 95%의 싱크로율을 보여줬다.

노선조정이 된 이유는 알다시피 148번과의 중복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다른 이유가 있다면 121번130번의 긴 배차간격으로 불편을 겪는 북구~부산대 이용 지역 주민과 통학생들의 편의[4][5]를 도모하기 위해 148-1번 노선조정으로 이를 커버하려는 목적이었다. 덕천주공쪽으로 올라가는 탓에 이동속도가 반감되는건 있지만 다행히도 덕천주공쪽에는 노선이 169번이랑 200번밖에 없어[6] 눈으로 봐도 수요가 꽤 늘었다.

금정구청으로 단축되었는데도 공차 구간이었던 학장동~엄궁동 구간이 정식 인가되어서 인가거리가 거의 줄어들지 않았고 소요시간도 오히려 노포동 운행 시절보다 늘어나는 경우까지 발생했다.

그리고 장전3동~동래 노선이 하나 더 생겼다는 점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호응도가 상당히 좋아 수요는 늘고 있었으나...

3.4 노선 단축과 복원

3.4.1 노선단축 논란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신설1241681851871005
1011
폐지1301351005(구)
연장66128-1189190
단축2404658-163
148-1200
변경36100107123184
333520
단순변경88115-1155189-1
형간 전환1007 107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5-1 → 5128-1 → 128129-1 → 129통합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운행기간 : 2015년 12월 27일 ~ 2016년 4월 22일

운행노선 : 학장동↔장인로↔엄궁농산물시장↔엄궁아파트단지↔학장동↔서부터미널↔신모라↔구포역↔덕천주공↔신만덕↔동래역↔온천장

결국 2015년 12월 27일 부산 버스 노선 개편이 강행되면서 148-1번이 노선 단축으로 온천장이 종점[7]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온천장 이후~금정구청 구간은 그냥 삭제되어버렸다. 노선번호도 바꿔야하지 않을까? 148번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데?

이로써, 이 노선은 완벽한 1993년도의 121번이 되었다(...).

문제는 130번이 폐선되어 부산대 노선이 1개 없어진 마당에 이 노선까지 온천장까지 잘려나간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북구 주민들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말았다. 이 노선마저 단축되면 북구에서 부산대학교로 가는 노선은 121번김해 8번 두 노선만 남게 되고, 심지어 121번은 구포역과 구포시장을 지나가지 않는 탓에 해당 지역에서 부산대로 바로 이어주는 노선은 8번밖에 남지 않게 된다. 두 노선 다 15분이 넘는 배차간격은 덤. 특히 121번의 배차간격은 막장 수준이다.

2015년 11월부터 온천장까지의 노선단축에 반대하는 민원들이 올라올 정도였으며, 또 130번보다 운송수익금이 높다는 것이 부산시 대중교통과가 제공한 통계자료에서 밝혀졌다.

온천장까지 노선단축 이후 상당히 어정쩡한 상태로 운행되었다. 동래역까지는 그나마 148번이나 200번의 주워먹기 수요로 버텼었지만, 그 이후부터는 자사노선 110번의 보조역할로 연명하였다.

130번 폐선 이후, 이용객수, 북구 주민들, 부산대 측의 항의때문에 교통국 윗분들의 심경변화라도 생겼는지 노선조정담당관의 얘기가 다르게 나왔다. 148-1번을 부산대로 재연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이럴거였으면 차라리 처음부터 부산대까지만 단축시키지 왜 이런식으로 혼란을 주냐?

3.4.2 노선연장

운행기간 : 2016년 4월 23일 ~ 현재

운행노선 : 학장동↔장인로↔엄궁농산물시장입구↔엄궁아파트단지↔학장동↔서부터미널↔신모라↔구포역↔덕천주공↔신만덕↔동래역↔온천장↔온천시장↔부산대학교

다행히도 그 약속은 지켜졌다!! 그리고 마침내 2016년 4월 23일에 이 노선은 부산대학교까지 재연장이 되었다. 이로써 2015년 12월 27일 이후 약 4개월만에 재경유하게 되었다. 만세!!

그동안 노선 단축 이후, 이렇다할 대체 노선이 없었던 탓에 북구 주민들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폭발하였다.[8] 부산시는 도시철도 이용을 권장했지만 시내버스보다 훨씬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없다. 거기다 분명한 건 121번[9]이나 김해 8번[10]은 부실한 운행여건 때문에 대체노선으로는 매우 부적합했다.

다만 환원 전의 노선과는 다른 점이 있는데 우선 금정구청 회차시절에 다녔던 80번, 100-1번 구간이 아닌 77번 구간인 온천시장으로 향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노선으로 더 이상 스파쇼핑(기점행 한정), SK허브스카이 쪽으로는 갈 수가 없다. 77번과 121번이 서는 ID가 06-007, 정류소 이름이 온천장인 정류소에 정차한다. 부산대정문에서 만덕그린코아아파트까지는 노선이 121번과 95% 이상 동일하다. 그리고 또 다른 점은 183번과 동일하게 부산대정문에서 회차하는지라 장전1동 및 장전역은 경유하지 않는 점이다. 온천산업도로로 운행했던 구.130번과는 달리 도시철도와 겹치지 않고 상권도 좋은 편인 장전3동, 온천1동 지역의 구간수요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와 동시에 엄궁농산물도매시장 구간은 대폭 축소되었다. 항도청과와 부산청과 사이의 회전형교차로까지만 들어가도록 변경된다. 해당구간에서의 비효율적 경로 개선을 위함이다. 이 구간은 엄궁아파트단지 방향은 문제가 없었으나, 학장동 방향은 엄궁삼거리로 좌회전이 안돼서 시장단지를 한바퀴 돌아어 나가야만 했다.

온천장에서 부산대로 연장되었어도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의 일부구간들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노선길이는 기존과 별반 차이가 없다. 윤 모씨는 왜 진작에 이 방안을 생각 안 한거냐? 배차간격도 거의 그대로이다. 꽤 센스있는 노선조정이라며 현 노선담당관 안 모씨가 일각으로부터 극찬을 받고 있다. 2012년 송 모씨 시즌2

기왕이면 감전이마트와 장인로 구간도 단축시킨 후 엄궁삼거리부터 승객취급을 했다면 더 탄력적인 배차간격으로 운행했을 것인데 이는 참 아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장인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고 이 구간에는 산단도 있는지라 단축시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4 특징

예전 대도 148번 시절의 모라주공아파트 첫차.막차시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하여 148-1번 개통일부터 148번이 부재중인 첫차.막차 시간대에 3회 한정으로 모라주공아파트를 경유한다. 운행패턴은 첫차시간대에는 금정구행만 모라주공아파트를 경유하고, 막차시간대에는 차고지행만 모라주공아파트를 경유한다. 노선변경 후에도 첫차.막차시간대 모라주공 3회 한정운행은 그대로 유지중이다. 이 부분에서만큼은 그나마 148번의 지선번호 역할을 하는 중이다.

이 노선은 사상구 마을버스가 아닐까 할 정도로 노선구간중 사상구의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아시다시피 주례, 삼락을 제외한 모든 동네를 이 노선이 경유한다. 특히 학장, 엄궁동의 경우는 동네 한바퀴를 돌고 돈다. 시티투어버스 사상구 코스

초기에는 이 노선과 판박이였던 1993년 시절 121번처럼 저조한 이용률을 보였었다.(...)

최근 시내버스가 가장 한가한 시간대인 평일 점심시간 전후 정도를 제외하면 모든 시간대에 엄궁, 학장 지역을 돌면 좌석은 모두 채우고 나오는 정도의 수요는 보여준다. 이 승객들의 90%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하고 그 이후로는 공기수송을 하다가 구포역, 구포시장 , 덕천교차로 부근에서 다시 사람들이 조금 타고 여기서 탄 사람들의 90%는 덕천주공 부근에서 다 하차한다.

그러나 동래 구간에서는 77번팀킬?, 121번 등 중복노선이 적지 않은 탓에 여전히 고전중이다. 만약에 저 앞의 4개 중에 한 노선이라도 먼저 동래역에 도착해서 빗자루질을 하고 갔다면 이 노선은 항상 공기수송 중이다.[11] 특히 새벽시장~온천장까지는 최단거리로 운행하는 110번과 노선이 유사한지라 주로 110번에게 밀리는 경향이 있으며 온천시장~동래역 구간도 자사노선 77번에게 팀킬을 당하고 있다(...).

아무튼 이 노선의 가장 큰 문제점은 타 노선과의 중복률이 높은 점과 긴 배차간격이다. 지금은 잘려나간 구간이지만 금정경찰서(구서역)~수림로 구간 역시 수요저조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유가 워낙 이 노선 배차간격도 긴 것도 있었지만, 장전역이 근처에 있다보니 해당지역 주민들 대부분이 도시철도 이용에 익숙해져있고, 중산층이라 자가용을 더 많이 이용하다보니 이 노선을 이용하는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2015년 11월 28일 개편으로 부산 버스 130이 폐선되고 나서 잠시나마 이 노선의 수요가 굉장히 많이 늘었었다. 이유는 구포 일대에서 부산대학교까지 가는 노선들 중 가장 배차간격이 좋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5년 12월 27일 개편으로 온천장까지 단축되고 나서 망했다가,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부산대까지 재연장이 되어서 기대가 컸다. 대표적으로 물갈이 사이클구간은 엄궁아파트단지~서부터미널, 구포시장~덕천주공아파트/신만덕~부산대이다.

하지만 연장 이후 온천장 정류장에서 110번과 같은 방향으로 혼동하여 만덕방향인 줄 알고 잘못 승차하려는 승객들이 존재하며,[12] 평시에는 여전히 공기수송중이다. 처음부터 부산대까지만 단축시켰으면 이런일이 없었을 것인데 온천장까지 노선을 자른 것이 화근이 되고 말았다. 따라서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현재는 북구 지역 거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발이 되었다.

다른 노선과 달리 승무원이 회차지에서 쉴 수 있는 조건이 되지 못하기에, 동래롯데백화점 인근 모 주유소에서 화장실 용무를 위해 3분 정도 정차할 때가 있다.

5 연계 철도역

  1. 본래 있었던 좌석버스들은 개조하여 마을버스 노선에 투입했다.
  2. 1987년 개통 당시, 만덕~엄궁(120-1번)구간으로 다니고, 1998년에 사직동으로 연장했으니, 초창기때로 회귀한 셈이다.
  3. 이 노선이 온천장으로 들어간 이후 대도운수(77, 110, 110-1)의 모든 시내노선들이 온천장을 경유하고 있다.
  4. 북구와 동래역 이북 지역은 46번과 110번도 있으나 온천장까지밖에 가지 않는다.
  5. 김해 8번도 있지만 마찬가지로 배차간격이 고자이며 무엇보다도 김해 시내버스이기때문에 부산 시내버스와 환승 시 추가요금 500원이 빠져나간다.
  6. 이 노선과 200번은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에 덕천주공 인근에서는 169번의 이용률이 우세한 편이다. 하지만 169번은 만덕터널을 넘어가지 않고 만덕주공아파트에서 회차하여 돌아가기 때문에 서로 사이좋게 운행중이다.
  7. 회차는 자사노선인 부산 버스 110과 동일하게 했다.
  8. 실제로 북구 아파트 입주자들이 민원으로 항의하기도 했으며, 부산대학교 총학생회가 부산대학교로 오는 130번의 폐선과 148-1번의 단축 행태에 대해서 문제점을 제기하며 대자보를 붙이기도 했다.
  9. 배차간격이 막장인데다 구포시장, 구포삼거리를 미경유하기 때문에 130번을 제대로 대체할 수 없었다.
  10. 구만덕으로 직행하지만 구만덕구간은 헬게이트 지역이라서 체감속도를 반감시키는 곳이다. 가장 큰 문제는 부산시내버스가 아니라서 환승 시 추가요금이 발생하고기본요금도 50원 비싸다., 배차간격 또한 121번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길다는 것이다.
  11. 하지만 121번은 배차간격이 이 노선에 비해 조금 더 길기 때문에 논외이다.
  12. 기사분이 만덕가는 차 아니라고 일일히 안내해주고 있으며, 자사노선 110번의 이용을 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