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 / 레버 / 폴링 블록
| 마티니-헨리 소총, 리-엔필드, P14, 르벨 M1886, 베르티에, 모신나강, 베르단, 카르카노, 30/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윈체스터 M1895 |
반자동 | 레밍턴 모델 8, 윈체스터 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18,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소총 |
자동 | 리베롤 1918, 체이-리고티 자동소총, 페도로프 자동소총, M1918 브라우닝 |
기관단총 / 산탄총 | MAB 18, 윈체스터 M1897/12, Auto-5, 레밍턴 모델 10 |
권총 | 리볼버 |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M1917 |
자동권총 | 마스,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새비지 M1907, FN M1910, 리센티 M1910, 콜트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M1902, 루이스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 자동소총 |
중기관총 | 맥심 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호치키스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피아트-레벨리 M1914, M1917 브라우닝 |
박격포 | 2인치 중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유탄 | F1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
경야포 | 빅커스 Q.F. Gun, Mk II |
냉병기 | 도검 | 구군도, M1902 세이버, 트렌치 나이프 |
길이 : 전체- 1,300mm, 총열- 830mm 무게 : 4.2kg 구경 : 10.75X54mm |
제정 러시아 시기의 볼트액션 소총.
소총의 명칭은 최초 개발자인 미국의 하이럼 베르단(Hiram Berdan)에게서 따온 것이다. 처음에는 트랩도어(trapdoor)[1] 방식의 소총이었으나 1870년 볼트액션 단발방식으로 변경되어(이를 Berdan II라고도 한다) 대량생산되기 시작했고 러시아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영국에서 만들어진 수량도 상당하다. 1891년 모신나강 소총이 채택될때까지 러시아군의 주력 소총이었고 이후에는 2선급 부대에서 쓰이다가 1차 세계대전에도 제한적으로 사용되었고 적백내전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제정 러시아 이외에도 대한제국,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세르비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는데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 군사고문단의 입국과 함께 5000~7000정의 이 소총이 제공된 대한제국의 사례와 그외 사용국들이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 있던 나라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순수 군사적인 목적으로 도입되었기 보다는 정치적인 이유가 컸던듯 하다.
메트로 2033에 의하면 2033년의 메트로에서 여전히 사용중인 것으로 보인다![2] 160년이 지나도 여전히 작동되는 러시아 소총의 위엄. 사실 아르티옴이 동료가 장사꾼을 욕하자 그들이 없다면 탄약도 없는 베르단 소총을 들고 괴물들에게는 소금을 치고있을거라고 비아냥거렸다.
굿하는 건가
- 이동 ↑ 소총 윗부분의 경첩과 비슷한 구조의 기구를 통해 탄환을 장전하는 방식.대표적으로 스프링필드 M1873이 있다.
- 이동 ↑ 활발히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메트로에서 가장 흔한 총기는 AK-74이며 모신나강이면 모를까 이런 골동품이 그렇게 많이 돌아다닐리가 없다. 그러나 어느정도 수량이 싼 값에 거래되고 가난한 역에서 방어용으로 쓰는 정도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