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MSL 일람 | ||||
우주닷컴 MSL | → | CYON MSL | → | 프링글스 MSL 시즌1 |
조용호가!... 프로게이머 조용호가!... 자신의... 프로게이머 인생 최초의! 우승을 거두는 장면을 여러분께서는 지켜보고 계십니다!
1 개요
- 대회 기간 : 2005년 10월 6일 ~ 2006년 1월 14일
- 사용 맵 : 러시 아워 2(Rush Hour 2),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Ride of Valkyries), 알 포인트(R-Point), 다크 사우론 2(Dark Sauron 2)
- 스폰서 : LG전자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당신의 아이디어, 싸이언 MSL로 현실이 됩니다!
- 조 편성
A조 |
B조 | 최연성, 심소명, 변은종, 박정길 |
C조 | 박정석, 임요환, 이재훈, 성학승 |
D조 | 조용호, 김성제, 서지훈, 이병민 |
- 우승 조용호, 준우승
마재윤, 3위 최연성, 4위 성학승 - 결승전 장소 : 광주 염주체육관
- 리그 슬로건 : FIGHT A REAL DUEL
- 오프닝 BGM : Siam Shade - Fly High
- 특이사항
-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된 마지막 MSL.
- MSL 첫번째 저저전 결승.
- 리그 엠블렘 도입(방패문양). 고정 리그로고 도입.
- 우승자에게 리그 엠블렘 모양의 뱃지 수여[1]
- 리그 트로피 조형이 원통형 유리 트로피로 고정.
- 역사상 첫 리그 스폰서 파행 사태[2]
- 조용호, 데뷔 5년만의 생애 최초이자 마지막, 눈물의 우승
- 최연성이 승자 4강에서 0:2, 패자조 결승에서
마재윤에게 0:3으로 참패[3]하며 한 리그에서 한 선수에게만 5패를 기록함. - 8인 차기시드자 중 4인이 프로토스.
- MSL 초대 PD인 장재혁(장재영이 아니다) PD의 MSL 복귀.
- 리그 슬로건 재도입.
CYON MSL 오프닝 링크[4]
CYON MSL 브릿지 오프닝 링크
2 리그 위신 정립
초대 PD였던 장재혁 PD가 MSL로 복귀하면서 리그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일신했다. 중구난방이었던 트로피를 유리 트로피로 통일시켰고 우승자 뱃지 시스템도 도입했으며 결정적으로 고정 리그 로고를 도입하여 리그의 통일성을 이루었다. 매번 혹평을 듣던 오프닝도 드디어 제대로 돈을 쓰면서 퀄리티 있는 오프닝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면에서 MSL의 터닝 포인트였던 리그.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막전까지 스폰서를 구하지 못해 3주차가 되서야 LG전자와 스폰서 계약을 맺는 등 파행 사태가 벌어져 옥의 티로 남게 되었다.
3 리그 진행
리그의 전체적인 스토리는 조용호의 눈물의 콩라인 탈출기. 당시 저그 중에서 마재윤을 다전제에서 유일하게 이길 수 있었던 저그라 평가받은 걸 증명하듯이, 마재윤과의 두 차례 다전제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때의 마재윤과 조용호의 저저전은 현대의 저저전 트렌드를 창조했다고 평가받는다. 보편화되지 않았던 9드론 레어 빌드, 이에 대처하는 몰래 멀티 등 상상하기 힘들었던 저저전의 양상이 속출했다.
파일:Attachment/CYON MSL/00.jpg
우승을 확정지은 후 조용호의 하늘로 뻗는 스트레이트는 이 대회 최고의 명장면이었다.
마재윤은 이 대회에서 최연성과 두 번의 다전제를 치르고 두 번 다 셧아웃시켜 5:0이라는 희대의 스코어를 만들었다. 이때 최연성은 저그전에서 거진 무적 포스를 보여주던 테란이라 그 충격은 더더욱 컸다.[5] 그러나 마재윤은 이 대회 우승자인 조용호와도 두 번 만나 승자 결승에서 2:3, 최종결승에서 1:3 패배로 두 번 모두 제압당하며 MSL 2연패에 실패한다. 결승전을 패배하고 눈물을 흘리는 등 순수한 승부근성을 보인 마재윤의 모습을 지금 시점에서 보면 씁쓸하기 그지없다.
이 대회 결승은 피디팝 MSL 결승전 이전까지는 저저전 결승 중에서도 가장 시망인 대회로 통했지만, 사실은 의외로 관중이 꽤 있었고 시청률도 꽤 높았다. 다만 저저전이란 편견과 경기전 인터뷰조차 안한 진행덕분에 엠겜이 자기 스스로 무덤 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서...
또한 주목할 만한 명경기는 김성제와 이병민의 패자 8강 1라운드 3전 2선승제 시리즈. R-Point에서의 2차전은 프로토스의 견제 능력의 극한을 보여 준 경기로, 일꾼의 씨가 마른 덕에 기지가 안 밀리고도 유닛 숫자가 0이라 GG가 나온 유닛 엘리미네이션이 나온 경기였다.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에서의 3차전도 초반에 쿨하게 본진을 날려먹고 섬으로 이사가 역전한 보기 드문 경기.
성학승은 이 리그에서 천적이었던 박정석을 2번이나 다전제에서 격파하고 개인리그 마지막 불꽃을 불태우지만 패자조 준결승에서 만난 최연성에게 3:1[6]로 패배하면서 MSL 4위로 리그를 마무리한다.
4 폭발해버린 MBC GAME의 인내심
기어코 결승전에서 저저전이 터지며 흥행에 실패하자, MBC GAME은 결국 차기 MSL이었던 프링글스 MSL 시즌1에서 대대적인 리그 시스템 개편을 감행한다. 그러나 흥행 실패는 좋은 구실이었을 뿐. 사실 그 전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특성상[7] 리그의 직관성 부분에서 많은 비판[8]을 받았고, 프로게이머 협회[9] 역시 지나치게 많은 경기수[10]와 시드[11]를 이유로- ↑ 1회 우승마다 은뱃지 1개. 3회 우승마다 금뱃지 1개.
- ↑ 조지명식과 개막전을 스폰서 없이 치렀다. 후에 LG전자와 스폰서 계약. 하지만 결말은 다들 알다시피...
- ↑ 최연성의 커리어 사상 두 번뿐인 5전 3선승제 셧아웃 패배. 그 전 대회인 우주배에서도 박정석에게 3대0으로 패배한 적이 있다.
- ↑ 김철민 캐스터가 제일 좋아하는 MSL BGM이라고 한다.
- ↑ 그 이후에도
마재윤을 제외하면 최연성의 저그전 성적은 상위권이었다. 유달리마재윤에게만 약했다. - ↑ 스코어는 3:1이었으나, 사실상 4:0 관광 소리가 나온 경기였다. 최연성이 2:0으로 앞서고 있던 상황에서 3경기도 유리하게 운영하였으나 한방병력이 막히자 GG를 선언했는데, 해설진들은 성학승이 GG친 줄로 착각하고 "최연성이 3:0으로 결승진출했다"라고 진행했다가 뒤늦게 정정할 정도로 알 수 없는 GG 타이밍이었다. 물론 그 이후 4경기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그렇게 패자 결승에 올라간 최연성도
마재윤에게... - ↑ 재적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직관성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같은 더블 엘리미네이션이지만 4명으로 구성된 온게임넷 듀얼토너먼트와 16명으로 구성된 개편 전 MSL을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 ↑ 스타우트 MSL 개막일부터 듣던 소리였다.
- ↑ 이름만 프로게이머 협회지 사실상 프로게이머 감독 협회였다.
- ↑ 우승까지 적으면 11경기(1+2+2+3+3), 많으면 28경기(1+3+3+3+3+5+5+5)를 치뤄야 한다. 같은 시기에 열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는 우승까지 적으면 11경기(3+2+3+3), 많으면 16경기(3+3+5+5)면 충분. 정 스타리그에서 28경기를 치르려면 저 16경기에다 16강 3자 재경기를 6번 연속 해야 한다.
- ↑ 16명이 참가하는 리그인데 승자4강 진출자 4명에다 패자4강 1라운드 진출자 4명까지 시드만 무려 8명이었다. 같은 시기에 열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는 전 리그 우승자, 준우승자, 3위, 듀얼토너먼트 1라운드 우승자까지 4명. 신인 입장에서는 당연히 문턱도 낮은데다 하부리그 우승자 시드까지 있는 스타리그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