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ma Squad


개발Behold Studios
유통추가바람
플랫폼Microsoft Windows, OS X, 리눅스
장르SRPG
발매일2015년 4월 30일
시스템 요구 사항
CPU2GHz
RAM512MB
비디오 카드Direct3D 128 VRAM 이상, OpenGL 호환
사운드 카드호환 사운드카드 2D
HD640×480 최소 해상도
기타DirectX 9.0
공식 홈페이지
五人の若いスタントマンが、ある日自分たちのテレビスタジオを制作しようと考えた。

다섯 명의 젊은 스턴트맨들이, 어느 날 자기들만의 텔레비전 스튜디오를 제작하자고 생각했다.

これは彼らのストーリの始まりである。
이것은 그들의 이야기의 시작이다.

「インディー戦隊、クロマスクアード!」
인디 전대, 크로마 스쿼드!

- 공식 발매 트레일러의 나레이션

1 개요

공식 GDC용 광고 영상. 풀 일본어 나레이션에, 실제 슈퍼전대 시리즈 방영 시 좌측 상단에 표시되는 시계까지 완벽 재현. 그 와중에 눈에 띄는 총천연색 무지갯빛 자막

공식 발매 트레일러. 도핑 테스트가 시급합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로 인지도를 높인 브라질의 비홀드 스튜디오에서 만든 인디 SRPG 게임. 킥스타터를 통한 모금을 통해 제작했으며, 스팀gog.com, 험블 번들 등에서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일본 외 일부 국가에서는 스팀을 통한 구매가 불가능한데, 이는 아래를 참조.

특촬물을 촬영하던 스턴트맨 5명이 제멋대로인 감독에 질려서 스튜디오를 박차고 나와, 새로 스튜디오를 차리고 자신들이 주연 배우까지 맡는 특촬물을 촬영, 방영하게 된다는 설정이다.[1]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인디 특촬물의 제작자 겸 주연 배우인 설정으로, 각 전투도 매주 방영되는 에피소드라는 설정이고, 등장하는 적들도 괴인 복장을 한 스턴트맨들이다. 각 전투마다 퀘스트 기믹으로 감독의 지시 사항이 주어지며, 이를 수행하면 시청자를 추가로 유치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저예산 특유의 쌈마이한 느낌이 강하지만,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인기몰이를 하게 됨에 따라 스폰서와 계약해 마케팅을 하는 등의 모습도 보인다.

커스터마이즈 기능이 특히 강력하다. 각 배역을 맡는 배우와 이름, 각 배역의 모티프 컬러, 전대 이름, 변신 구호, 5인 협동 필살기 구호, 로봇 이름, 로봇 호출 구호까지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플레이어가 원한다면 해적전대 고카이저에서나 나올 법한 단색 전대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단 이렇게 해 놓으면 플레이할 때 누가 누군지 몹시 헷갈린다 단 배우와 이름, 모티프 컬러는 처음 게임을 시작할 때 한 번 정하면 그 세이브 파일 내에서는 수정하 수 없으니 주의. 또한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드랍하는 각종 물품들로 아이템을 제작하는 재미도 쏠쏠하며, 제작비 부족에 허덕이는 초반에는 이를 통해 돈을 아낄 수도 있다. 미칠 듯이 현실적인 아이템 설명을 읽다 보면 눈에서 땀이 난다

시놉시스와 위의 광고 영상만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에 대한 무한 오마쥬가 일품인 게임. 등장하는 적들도 슈퍼전대 시리즈에 나올 법한 디자인이고,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중에는 아예 "데카피스톨"이나 "슈퍼 메가 해적 헬멧" 등도 있으며, 작중 배경 중 하나로 등장하는 컨벤션 입구에는 아예 잭커 전격대빅 원이 떡하니 서 있기도 한다. 패러디가 하도 많아서 이 항목에 다 열거하지 못할 정도이니, TV Tropes해당 항목을 참조.

2 시스템

턴제 SRPG로, 플레이어에게는 기본적으로 5명의 스턴트맨만이 주어진다.[2] 각 차례에는 이동 → 이동, 이동 → 공격, 이동 → 스킬, 이동 없이 공격 중 하나를 할 수 있다. 스킬 중에는 프리액션 스킬이 있어서, 사용해도 그 차례의 행동 제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스킬도 있다. 기본적으로 캐릭터는 피아를 불문하고 공격받으면 공격받은 반대 방향으로 1칸 밀려나지만, 반격에 성공하면 밀려나지 않고 반격한다.

다른 SRPG에서 볼 수 있는 방어나 턴 넘기기 대신 팀워크(Teamwork) 액션이 있는데, 이 액션을 사용하면 캐릭터가 포즈를 취하며 팀워크 표시가 된다. 이렇게 팀워크 상태가 된 캐릭터를 발판 삼아 다른 캐릭터가 더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하나의 적을 둘러싸고 팀워크를 한 다음 공격하면 팀워크 상태의 캐릭터가 공격에 합세해 협동기가 발동돼 더욱 강력한 피해를 줄 수 있다. 5명 전원이 하나의 적을 둘러싸고 팀워크를 하면, 기본 공격과 무기 공격 별도로 쇼와 스멜이 그윽한 필살기가 발동된다. 필살기로 보스를 물리치면 시청자를 추가로 유치할 수 있지만, 반대로 필살기를 맞았는데도 보스가 쓰러지지 않으면 시청자가 감소한다(...).

MP의 개념은 없으며, 각 스킬에는 스킬 리젠 수치가 있어서 사용한 다음 일정 턴이 지나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스킬의 리젠 수치 / 캐릭터의 스킬 리젠 수치)턴 필요하므로, 캐릭터에게 스킬 리젠이 높은 장비를 장착하면 스킬을 더 자주 사용할 수 있다.

레벨 업 개념은 없다. 대신 각 에피소드를 클리어할 때마다 시청자 수에 비례해 수익이 들어오므로, 이 돈으로 각종 장비나 업그레이드를 구입해 캐릭터의 능력치를 올릴 수 있다. 묘하게 현실적인 돈지랄 물론 잡몹을 처리할 때마다 확률적으로 제작재료가 드랍되므로, 잡몹 처리가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2.1 플레이어블 캐릭터

5인의 법칙을 모범적으로 준수하는 전대물의 주역들로, 스턴트맨이 곧 배역이 된다. 모든 배역에 공용으로 장비할 수 있는 무기로 권총이 있다.

  • Lead
디폴트 컬러는 빨간색. 팀을 이끄는 리더격 인물로, 군중 제어기나 버프기 등을 주로 배운다. 우선 순위는 3번째. 고유 무기는 . 고유 패시브 스킬은 체력 +50%. 이글 라쏘로 멀리 있는 적을 끌어당겨올 수 있는데, 에피소드 3에서 배우는 조인 업과 조합하면 보스 피니셔를 먹이기 매우 편하다. 후반 스킬도 전체버프와 시청자 증가/팀웍 공격력 상승이라는 준수한 능력. 도발스킬도 있기 때문에, 테키의 버프와 조합하면 탱커로 쓸 수도 있다.
  • Techie
디폴트 컬러는 파란색. 권총이나 소총을 활용하고, 각종 장비를 다루는 공돌이 포지션. 사격 강화와 각종 유틸기를 주로 배운다. 고유 무기는 소총. 우선 순위는 4번째. 고유 패시브 스킬은 1턴에 1번만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다른 스킬들의 스킬 리젠이 1회분량 감소한다. 총기 관련 스킬로 쭉 찍어서 저격수 세팅을 하거나, 각종 디버프와 텔레포트를 넣은 유틸셋이 가능하다. 고유특성이 쿨감이라 스킬리젠은 어시스트의 절반 정도로 맞춰놔도 된다. 저격수세팅으로 간다면 총기 데미지 보너스가 합동공격에도 적용되므로 총기 합동공격시 테키가 주도하는것이 좋다.
  • Assault
디폴트 컬러는 검은색. 우선 순위는 2번째. 근접 공격력이 가장 강하며, 공격력 강화 패시브 스킬이나 범위 공격 효과 등 공격적인 스킬을 주로 배운다. 고유 무기는 도끼. 고유 패시브 스킬은 공격력 +30%. 공격력 20%가 붙은 액터로 시작하면 50% 데미지 상승이라 적을 쓸어담는 메인 공격수가 된다. 스퀘어하우스킥과 패시브스킬로 세팅해서 광역딜링을 하거나, 좋은 무기를 끼워주고 단일 누킹을 할 수도 있다. 잇츠 클리브타임의 경우 발동했을 때 피격당한 상대가 밀려날 경우 2연타를 맞는 효과(혹은 버그)가 있다.
  • Scout
디폴트 컬러는 노란색. 우선 순위는 1번째. 가장 이동력이 좋으며, 빠른 이동력을 더욱 극대화하는 스킬과 메즈기, 단일 대상 공격 스킬을 주로 배운다. 고유 무기는 단검. 고유 패시브 스킬은 이동력 +1. 스킬 조합으로 귀찮은 적을 끊어주는 서브딜러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다. 단검관련 스킬이 2개가 있으므로 에피소드 5 이후부터 치명타세팅을 해서 단검을 마구 그어주면 쏠쏠한 딜이 가능하다. 회피율 상승 및 회피시 확정반격 스킬을 사용해서 메즈+회피탱으로 쓰는 방법도 있다.
  • Assist
디폴트 컬러는 분홍색. 우선 순위는 5번째. 회복기를 집중적으로 배우는 힐러 포지션. 고유 무기는 . 고유 패시브 스킬은 팀워크 발동 시 인접한 아군들의 체력을 10%만큼 회복. 팀워크 때문에 포지션을 잘 잡아야된다. 팀워크 힐은 자신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튼튼하게 세팅을 해줘야 한다. 스킬 쿨다운들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스킬리젠셋을 빡빡하게 해주지 않으면 힐 쿨타임간에 대원들이 자꾸 쓰러지게 된다. 유일하게 부활스킬을 가지고 있으므로, 최대한 안 죽도록 해야 한다.

이 외에도 시나리오 진행시 게스트 참전하는 조력자들이 존재한다. 1회성으로 등장하는 조력자가 대부분이지만, 우주 보안관의 경우 중반부부터 지속 참전한다. 우편을 통해 3명 중 1명을 선택할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이동속도가 느리고 타 조력자들처럼 팀웍 합동공격으로 필살기가 발동하지 않는다.

2.2 거대로봇

대부분의 에피소드에서 괴인들은 한 번 쓰러뜨리면 거대화하고, 이에 대원들은 거대로봇을 호출해 전투에 임한다. 거대로봇전은 공격 / 방어 / 스킬 커맨드가 주어지며, 거대화한 괴인을 연속으로 3번 쓰러뜨리면 승리한다. 쓰러뜨릴 때 마다 다리파츠의 성능에 따라 체력이 회복되거나 디버프가 풀리고, 아군 로봇이 쓰러지면 시청자들의 힘으로(...) 한 번 부활해서 다시 싸울 수 있다.

괴인의 공격은 낚시 게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QTE 방식으로 진행되며, 게이지의 하얀 칸에 맞춰 클릭하면 공격을 막아낼 수 있다. 낮은 난이도에서는 여유롭지만, 난이도가 높아지면 타이밍을 맞춰 공격을 막아내도 피해량이 무시 못 할 수준까지 올라가니 요주의.

  • 공격
원투 펀치를 날려 괴인에게 피해를 준다. 공격할 때마다 콤보 게이지가 1 상승하지만, 명중률이 10%씩 줄어든다. 콤보게이지가 쌓일수록 딜량이 올라가지만 공격이 빗나가면 쌓인 콤보 게이지가 전부 날아가서 적의 공격을 아프게 맞아야 한다. 70-80%까지 떨어지면 슬슬 위험하므로 너무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단, 다음 공격을 완전 가드해도 죽을 HP만 남았으면 그냥 딜에 몰빵을 때려보자.
  • 방어
콤보 게이지에 비례해 방어력이 상승한다. 적당히 공격을 날려 타격을 주고, 다음 공격이 빗나갈 것 같으면 방어로 콤보 게이지를 활용하는 것이 기본 전술.
  • 스킬
로봇의 각 파츠별로 스킬이 주어진다. 주로 필살기 개념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는 스킬, 반드시 명중하지만 위력은 약한 공격을 3회 날려 콤보 게이지를 추가로 쌓아올리는 스킬, 콤보 게이지에 비례해 디버프를 풀고 피해를 수복하는 스킬 등이 있으니 잘 활용하자.

매 펀치마다 명중률이 10%씩 감소하는데, 시작 명중률은 100%를 넘어갈 수 있으므로, 명중률을 최대한 끌어올리면서 콤보데미지 증가 팔, 반드시 명중하는 스킬이 달린 가슴파츠를 달아놓으면 진행이 꽤 편해진다. 일단 콤보만 안정적이게되면 콤보증뎀 덕택에 막강한 피해를 입힐 수 있고, 필살기 딜 역시 뻥튀기가 되므로 막타를 빨리 칠 수 있게 되며, 빨리 적이 쓰러지므로 회복의 기회도 자주 오게 된다.

3 기타

위의 공식 발매 트레일러의 주제가는 게임 메인 화면에도 재생되는데, 쇼와풍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의 주제가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데다, 제작사는 분명 브라질 회사일텐데 문법은 물론 발음까지 완벽한 일본어 가사와 나레이션까지 갖추는 등 쓸데없이 고퀄리티다(...). 주제가는 제작사 Behold Studio 홈페이지에서 감상 및 구매할 수 있다.

3.1 지역제한의 비화

아무래도 모티프가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이다 보니, 토에이와 사반 시스템과 법적인 마찰이 있었다고 한다. 화근은 제작진 측에서 로고 밑에 "사반 시스템의 파워레인저 시리즈에서 영감을 얻음(Inspired by Saban's Power Rangers™)"이라는 보일락 말락 한 문구를 삽입한 것이었는데, 이에 사반 측에서 로열티를 지급하라는 요구를 하고, 제작진 측에서 이를 거절하면서 트러블이 있었다고.

이 법적 문제는 원만하게 해결된 모양이지만, 그 여파로 지금까지도 스팀에서는 대한민국일본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Chroma Sqaud를 구매할 수 없다. 하지만 gog.com이나 험블 번들에서는 구입할 수 있으니, 플레이하고 싶다면 참조할 것.

이 때문에 일본의 게이머들 입장에서는 참 웃프게 된 것이, 슈퍼전대 시리즈에 무한 애정을 과시하는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정작 슈퍼전대 시리즈의 고향에서 플레이를 못 한다는 미칠 듯한 딜레마에 빠져 버리게 되었다(...). 이 상황을 한 줄로 깔끔하게 정리한 2ch 유저의 절규 요약글이 다음과 같다. 깨알 같은 S2TW 디스는 덤

「お前の国のTVドラマをモチーフにして、お前の国のバンドに主題歌歌わせたが、お前の国には売ってやらん

"너네 나라 TV 드라마를 모티프로 하고, 너네 나라 밴드로 주제가까지 불렀지만, 너네 나라에는 안 팔 거임"

  1. 이 설정은 실제 특촬물 전뇌경찰 사이버캅의 개발 비화이기도 하다.
  2. 각 에피소드에 따라 이 난입하는 등(...) 추가로 1명의 캐릭터가 주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