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만

중국의 오랑캐 지칭
북적
서융중국동이
남만

南蠻. 직역하면 남쪽의 야만인이란 뜻이다. 중화사상에서 이민족들을 부르는 이름들은 전부 다 이런 식이다.

1 중국에서 부른 남방 이민족의 멸칭

중화사상에 따라 중국을 기준으로 남쪽에 있던 이민족들을 부르던 이름. 고대에는 주로 형만(荊蠻)으로 호칭되었는데, 춘추전국시대에는 (楚), (吳), (越) 등이 남만으로 취급되었다. 초나라가 중원에 진출하면서 중국 문화권에 편입된 후 중화의 범위가 넓어지게 된 한대에는 형만이라 하면 대체적으로 무릉만을 의미하게 되고, 남만은 이민족을 의미하는 4개의 개념어가 다 그렇듯 지금의 푸젠 성, 광둥 성,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저우 성, 윈난 성 일대에 거주하는 이민족을 남만 또는 서남이(西南夷)로 범위가 확장되어 불리게 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일대의 임읍, 부남 등의 국가도 남만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한국일본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같은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제갈량이 저술한 제갈량집의 남만편에서는 그 특성과 공략의 어려움을 이야기했다.

南蠻多種,性不能敎,連合朋黨,失意則相攻,居洞依山,或聚或散.

남방의 이민족은 종족이 많고 성질이 교화하기 어려우며 서로 연합했다가 붕당을 이루며(혹은 연합해 붕당을 이루다가) 여차하면 서로 공격한다[1]재.[2] 동굴에 머물거나 산에 의지해 때마다 모이고 흩어진다.

西至崑崙,東至洋海,海產奇貨,故人貪而勇戰

서쪽으로는 곤륜산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큰 바다(동중국해)에 다다르며, 바다의 산물은 진기한 것이 많다, 고로 사람이 탐욕스럽고 용감하게 싸운다.

春夏多疾疫,利在疾戰,不可久師也

봄과 여름에 역병이 많으므로 빨리 싸우는 것이 유리하며, 오래 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3]

16세기에 들어서는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서양세력도 남만으로 호칭하게 된다. 이는 당시 유럽 세력이 지중해 - 대서양 - 인도양 - 남중국해 등을 거쳐서 중국이나 일본에 도착했는데 중국과 일본입장에서는 이들이 남쪽에서 왔기 때문 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한 서양 물품들을 "남만~"이라고 부르게 된다. 아래 참조.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맹획이 유명하다. 삼국지 정사에도 등장하긴 하나 아주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코에이사의 삼국지 시리즈에선 무력도 지력도 어정쩡한 정치력은 아예 폐급인 똥덩어리만 모여있는 세력. 사섭 일가나 교주가 나오는 시리즈가 아닌 이상 필연적으로 촉을 뚫고 나가야 하는데, 영지인 운남과 건녕은 금이 많이 나지 않는 가난한 땅인데다가 쓸만한 인재들도 없어 상당히 어렵다. 맹획(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 일본에서

일본은 큐슈 남부 및 오키나와 지역을 만(蠻)이라 호칭했었다. 이후 16세기에 들어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서양세력도 남만으로 호칭하게 된다. 일본은 이들과의 무역을 남만무역이라 호칭하며 이들한테 들여온 물건에 남만(南蛮)~이란 단어를 붙이는데 그 예로 남만시(남만의 감, 토마토), 남만과(남만과자, 카스테라) 등이 있다. 아마 포르투갈마카오를 본부로 일본중국을 드나들어서 당시 광둥 성이었던 마카오=남만에서 유래햇을 것이다.

단추로 앞을 여미는 면직 셔츠를 흔히 '남방'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남만"의 일본식 발음에서 유래한 것이다. 즉, 유럽식 셔츠를 일본에서 '난반'(南蛮)[4]라고 했고, 그것이 근대에 한국으로 전해지면서 '남방'이 된 것.

서양식 요리를 접목한 일본 요리를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 용어를 사용한 요리로는 치킨난반이 있다.

3 한국에서

한국역시 한반도 정남향에 위치한 나라나 민족들을 남만으로 부른다. 처음에는 탐라를 남만이라고도 했다.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류큐 왕국, 필리핀, 자바, 시암과 조공무역을 했는데 이들을 남만이라 부르고 선박은 남만선, 상품은 남만물산이라 하였다. 16세기 이후에는 중국과 일본처럼 마카오에서 유입된 유럽 세력을 남만이라 칭하며 그 떄 들어온 문물앞에 남만을 붙이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남만초(담배), 남만대포(홍이포).

4 무협소설에 종종 언급되는 세외 지역

중원에서 한참 남쪽에 있는 세외 지역으로, 남만 지역의 문파들은 주로 야수들을 다루거나 독을 다루는 문파로 묘사된다. 거의 아마존 밀림 수준으로 묘사되는데, 삼국지에서 묘사된 남만의 판타스틱한 이미지가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주로 까무잡잡한 피부의 천연속성 미소녀 캐릭이 히로인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5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남만 무역

육두구 메이스 무역과 함께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2대 무역. 육메 무역같은 교역소에서 교역품을 사서 유럽에 파는 단순한 무역이 아닌, 유럽과 카리브, 아시아 등에서 교환할 아이템을 가져가 물물교환을 하는 방식. 다만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최대 교환비는 1:1이 아닌 3:1이 최대다. 대항온의 무역 판도를 크게 뒤흔들어 놓았던 무역 중 하나로 그 여파로 인해 두캇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게 되자 패치를 통해 단가가 낮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하는 사람은 많고 수익성이 좋은 무역.

자세한 것은 대항해시대 온라인/남만무역 항목을 참조.
  1. 참언하자면 현대에도 대만에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를 쓰는 대만 원주민들이 살고 있고, 중국 남부에서 어족이 다른 몽몐어족과 타이카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쓰는 종족들이 살고있다.
  2. 악명이 높은 김운회의 경우 이 기록을 옮기면서 또 그 이전 장에서는 붕당이 중국의 종특이자 중화사상에 매몰된 한국의 종특이란 식으로 운운했다. (동이 항목에서도 보면 알지만 상하가 화목하니 어려운데 이간하면 이길 수 있다 이야기를 그 자체가 이간이 잘 된다는 식으로 이해한 경우) 빠르게 통일과 중앙집권을 확립한 국가에서 여타 세력을 바라보면 당연히 비교적 분열된 모습일텐데, 이러한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말이다.
  3. 원문에서 질(疾)은 병이 아닌 신속함을 의미하고, 사(師)는 스승이 아닌 군대를 말한다.
  4. 변이음에 의해 실제 발음은 '남바응'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