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섭

오서 「유요태사자사섭전(劉繇太史慈士燮傳)」
유요태사자사섭
파일:Attachment/사섭/head of statue snake marsh.jpg파일:Attachment/사섭/statue of snake marsh.png

士燮
(137 ~ 226)

베트남어 표기 : Sĩ Nhiếp(시 니엡), Sĩ Vương(시 브엉)[1]

1 개요

후한 말, 삼국시대 나라의 인물.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교주를 다스린 인물.

자는 위언(威彦), 교주(交州) 창오군(蒼梧郡) 광신현(廣信縣) 사람.

연의에는 언급조차 없고 정사에만 등장한다. 묘하게도 반삼국지에는 등장한다.

2 생애

교주#s-4라는 중국 최남단 지방(현재는 베트남에 속해있음) 태수였다. 사실 한이 베트남을 제대로 지배한 시기가 거의 없다시피하다. 교지는 북파장군 마원이 쯩짝[2], 쯩니 자매의 반란을 진압한 이후 한에 속하게 되었지만 항상 베트남은 저항적이었고, 결국 유능한 인물 한 두명에 의존하는 형태로 반발을 눌러왔는데 사섭 역시 그 중의 한 명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총독이란 이야기 아냐.

본디 사섭의 집안은 노국(魯國) 문양(汶陽)[3]현이 본관이었으나 6대 전에 전한이 망하고 신나라가 세워지는 혼란기를 피해 교주로 이사온 것. 그의 아버지 사사(士賜, Sĩ Tứ, 시 트)는 일남태수를 지냈다. 이러한 배경이 사섭 특유의 베트남 통치에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즉, 이전의 남월 지방에 세워진 군현을 다스리는 지방관들은 대개 교주 밖에서 왔기 때문에 현지 사정에 어둡고 통치하려는 의욕도 없어 수탈하고 빨리 중앙으로 진출하기에 여념이 없던 반면, 교주에서 6대를 살아오고 또 아버지가 교주 최남단인 일남군의 태수를 지낸 배경으로 말미암아 사섭은 이 지방의 사정을 잘 알았고, 또 이곳을 떠나 중앙으로 진출하기보다는 눌러앉아서 안정된 통치를 할 유인이 있었던 것이다.

사섭은 젊어서 경사에 유학해 좌씨춘추를 익혔으며, 아버지의 상을 치른 후에 교지태수가 되었다. 사섭이 교주태수를 지내다가 196년에 당시 교주자사였던 주부(朱符)가 이민족에게 살해당해 교주가 혼란에 빠지는데 사섭이 표를 올려 각 형제들을 태수로 임명했다. 사일은 합포태수, 사유는 구진태수, 사무는 남해태수로 임명되었다. 사씨 일가는 교주 전체를 차지하였고 사실상 독립 세력을 구축하게 된다.

이후 중원의 혼란을 피해 교지로 도망쳐 온 망명객들을 우대하여 교지 일대의 문물을 개발했으며, 이 과정에서 베트남에 한자를 전파한 최초의 인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서 그 지방의 이민족들을 정벌하는 등 번영을 누리게 된다.

사섭은 정치가일 뿐만 아니라 경학자이기도 했으며, 특히 춘추에 능해 주해를 달기도 했으며 원휘순욱에게 칭찬을 듣기도 했다.

베트남 통치에서는 유교를 위시한 중국 문화를 이식하는 데 적극적인 관심이 없었고 이즈음 남방을 통해 들어온 불교 등에도 관용을 베풀었다. 이는 이후 베트남사가 중국사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

201년부터 죽을 때까지 손권에게 종속하여 아들을 인질로 보내고 진상품을 매년 빠짐없이 보내며 충성을 다 바치며 살았다.

활약 한가지, 옹개가 일으킨 남만 반란의 실질적인 배후세력이었다. 반란을 유도한 공로로 손권에게 상까지 받았으며 아마도 재정 지원을 해준 듯하다.[4] 삼국지 시리즈에서 교지와 남만이 연결되는건 여기에서 연유하는 듯. 실제로 삼국지의 남만은 사천성 남부부터 운남성 일대에 이르는 지역으로, 교주와는 바로 옆에 붙어있다. 실제로 이 길은 몽골군이 베트남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운영했던 루트이며, 당나라 시기에는 운남성에 세워진 남조(南詔)가 교주 지역을 공격해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참고로 남조는 후에 김용의 무협으로 유명한 대리국의 전신이다.

226년 무려 90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요즘도 90세까지 살기는 어려운데. 하여간 난세의 전화를 어찌어찌 잘 비껴간 행운아. 누구도 그리 될 뻔 했지만 백지장군 때문에 망했어요. 사실 130년대생이면 조조, 원소, 손견, 유비보다도 한세대 빠른 출생이다. 동탁이나 하진, 황보숭 세대

유경숙(劉敬叔)의《이원(異苑)》 권7에 따르면 창오왕蒼梧王 사섭士燮은 한말에 교지交趾에서 죽었는데, 남쪽 변경에 장사지냈다. 무덤에는 항상 짙은 안개가 끼었고, 신령스럽고 이상한 기운이 不恒하여 누차 난리를 피하니 (아무도) 다시는 (무덤을) 파내지 않았다. 진나라 흥녕興寧 연간에 태원太原 사람 온방溫放이 자사가 되었는데, 기병들을 대동하여 무덤을 파보게 하였다. (무덤을 파고) 돌아와서, 말들이 죽었다.

3 사후

사섭이 죽자 오에서는 교주를 교주와 광주로 분할하는데 문제는 이 교주자사와 광주자사를 사씨 일족과 관계없는 인물들을 임명한 것. 사섭의 아들인 사휘를 안원장군으로 임명하기는 했지만 숨은 의도가 대놓고 보였기에 당연히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런데 광주자사로 임명된 여대에게 설득(!)당해 사휘 포함 사섭의 여섯 아들은 다시 투항하게 된다. 물론 용서는 없었다. 위씨춘추를 쓴 손성은 여대가 사섭의 아들들을 투항시켜놓고 모두 죽게 한 것은 신의가 없으니 여씨 가문의 봉록이 오래가지 못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깠다.

교주는 남부의 산물인 물소뿔, 진주, 비취, 상아, 루비 등의 산지였으며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의 국가와의 교역을 독점하다시피하는 중요한 집결지였다. 때문에 여기에서 나오는 이권은 엄청난 것이었으며 한나라 시절 그렇게 많은 반란이 거듭되고, 결국 통치 여력이 사라진 이후에는 사실상 준 독립세력에 가까운 형태의 통치도 묵인할 정도로 여기서 나오는 이권은 막대했다. 손권은 이것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매년 진상품을 보내며 복종하는 자세를 취하는 상대를 공격할 명분이 없었거니와, 애초에 교지를 직접 다스리는 것은 기존 한제국도 포기한 형태였으므로 고령의 사섭이 죽게 되면 그 빈틈을 노려 교주를 접수하려고 했던 것인데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그리고 6대째 자리잡고 살던 사씨 일족이 몰살 당하자 교주 일대의 치안이 급격하게 나빠져 248년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마지막 베트남 고유 세력의 반발이자 최후의 여성지도자였던 찌에우 부인(조구)의 반란이다.[5] 게다가 반란은 이거 하나뿐이 아니라서 손권 사후 다시 한번 폭발한다. 교역에서 나오는 이권도 호족연합체인 오나라 특성상 밑에서 다 갈라먹어 버려 중앙의 손권에게 돌아온건 얼마 없었다. 결국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잡은 셈.누가 손권 아니랄까봐

4 평가

월남 지방(현재 하노이 인근의 북베트남)의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이유로 베트남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사왕(士王)이라 불리우며 칭송받는다고도 한다. 이 시기의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한제국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이면서도 유능한 지배자에 대해서는 존경을 표했다. 왕 소리 듣는 인물은 복파장군 마원, 왕망의 신 시기에 한나라의 문물을 전파한 석광, 후한 초기 농사기술과 철제농기구를 전파한 임정, 그리고 사섭이 여기에 포함된다. 사섭은 전후한 포함해서 네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중국출신 지도자였던 것이다. 그러니까 만약 위만이 정말 중국인이라면 한국사의 위만과 비슷한 위상쯤 되시겠다.

사섭은 남월을 지키며 마음대로 하고 생을 마쳤지만, 그 아들에 이르러서는 신중하지 못하여 스스로 화를 초래했다. 아마도 평범한 재능으로 부귀함을 즐기고 험한 지세를 부지한 것이 그로 하여금 이 결과가 되게 했을 것이다. - 진수
우리나라가 시서(詩書)가 통하고 예악(禮樂)을 익히며, 문헌(文獻)의 나라가 된 것은 사왕(士王)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그 공덕은 어찌 (사섭의) 당대에 특별하게 베풀어져, 멀리 후대에까지 있으니 어찌 성대하지 않다고 할 수 있으랴 자식의 불초함은 곧 자식의 죄이다. - 대월사기전서 오사련

사섭이 지배한 영역이 지금의 베트남 북부와 홍콩, 광저우를 포함한 광동성 전역이니 땅의 크기와 산물 및 중요도를 따져봐도, 그리고 이렇게 넓은 지역을 90세가 될 때까지 순조롭게 다스린 것을 보면 본좌가 맞다. 게다가 사섭은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베트남사 파트)에도 나오는 인물이다. 아래에 나오는 시 히엡(니엡)이 바로 사섭.

1세기 전반 치콴(錫光; 석광)이 유교를 도입하였고, 3세기 시 니엡이 한자를 도입하였으며, 5세기 초 드 추에 드(杜慧度; 두혜도)가 학교 제도를 도입하였다고 한다.(교학사 세계사 교과서 P.53)

중국사 파트에서 삼국시대 자체를 짧게만 언급하고 바로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로 넘어가는 것에 비하면(...) 사실 삼국지라는 소설 덕분에 삼국시대가 대중적으로는 상당한 인기가 있지만 사실 역사학적으로는 중국사 안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는 시기인데, 삼국시대에 일어난 일들로 인해 후대에 끼친 영향이 구품중정제 정도를 제외하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반면 사섭은 베트남사에서는 필수요소의 존재이니 일반의 인지도와 달리 역사적으로는 상당히 중요한 인물.

5 미디어 믹스

5.1 삼국지 시리즈

223-Shi-Xie.jpg
삼국지 10
삼국지 13

이처럼 연의에선 아예 안보일 뿐더러, 정사에서도 그리 중요한 인물은 아니지만[6], 코에이사의 게임에선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원래 코에이의 삼국지 시리즈는 정사 전용 인물들을 홀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연의쪽을 중심으로 게임을 제작하는 것이 훨씬 대중들의 정서에도 맞고 편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그런데 이상하게 연의에 등장하지도 않고 실제 역사상으로도 별 활약도 없는 이 사섭이 비교적 자주 등장하는 것이다. 아마도 지도에 세력을 채울 필요성과 더불어 사실상 하나의 국가인 베트남을 포함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추가한 이유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게임상에서의 사섭은 그냥 평범 그 자체다. 능력치도 평균 70대 정도고 역시 그 정도의 능력치를 가진 동생과 아들들이 4명 있다. 다만 가장 남쪽인 교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뒷치기를 당할 우려가 적고 사씨 일족 뿐이기는 하지만 장수진도 그냥 나쁘지는 않은 수준이라서 난이도는 중급이다. 다만 인재 풀이나 군사적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확장을 시도해야 하고 삼국지 6에서는 남만족같은 이민족을 조심해야 한다. 본거지인 교지가 남만에 맞닿아있고 바로 옆 공백지인 남해는 산월에 맞닿아있기 때문에 남해로 확장을 했다고 하더라도 같은 달에 남만과 산월이 양쪽에서 공격오면 멸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형남 4개 도시(무릉, 영릉, 계양, 장사)가 비었다면 교지를 버리고 그리로 이사해서 본거지를 구축하면 초반을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장수도 돈도 없는 초반부에 이민족과 정면 싸움은 승산이 없기 때문.

삼국지 3을 DS로 리메이크한 삼국지 DS에서는 황건적 시나리오에 등장.[7]

삼국지 8과 삼국지 9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31/ 지력 76/ 정치 80/ 매력 86으로 평범한... 이 아니고 이번에는 의외로 괜찮은 문관의 능력치를 가진 군주로 등장. 정치와 매력이 높아서 군주로서 적절한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는데다 상업, 기술 특기가 있어 내정쪽으론 괜찮다. 특기 보유수는 10개로 설전 특기도 3개나 있고 명사 특기도 있어 여러모로 쓸만한 수준의 능력을 보유한 군주. 특기만 갖고 보자면 유비보다 여건이 좋다! 다만 부하들인 사씨일족은 50~60대 정도의 능력치로 그냥 없는거보다는 낫다는 수준이고 부하 중에 쓸만한 인물은 정치가 70대인 동생 사일 이외엔 없는 편. 사씨 일족은 한데 뭉쳐다니니 포박했을 때 원수걱정 없이 죽이면 그 뿐인데 사섭은 그나마 능력치가 괜찮기 때문에 플레이어를 망설이게 하는 대목. 수명도 90살로 226년 사망으로 책정되어 있다보니 정말 안 죽는다. 여기에 수명 연장약을 붙이면 정말 막판급인 236년(!)까지 개길 수 있다. 흠좀무. 엔딩 볼 때 까지 못 간다고 전해라 다만 교지의 위치가 매우 구석진 것이 사섭에게는 양날의 칼인데, 중심지에서 워낙 멀다보니 중앙진출이 빡시고 아무리 장수제라지만 인재 구하는게 다른 군주에 비해서 힘들다. 반대로 주변이 무주공산이라 다른 군주들이 서로 투닥거리는 것을 구경하면서 여유롭게 세력을 확장해나가면 된다는 점에서는 의외로 난이도가 높지 않은 군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그나마 주변에 적들이 기어들어와있는 상태라 역사 시나리오들보다는 난이도가 올라갔는데, 주변 적이라고 해봤자 형주 4군의 안습 군주 및, 왕랑, 맹획밖에 없는데, 맹획 외에는 위험이 될만한 존재는 없다. 사실상 그 주변 군주들 중 난이도가 제일 낮지 않을까 싶다. 과연 변방본좌.

평범한 얼굴그래픽에 평범한 능력치, 평범한 인생약력에다가 인기조차도 엄백호한복, 맹획 같은 하드코어 진영에게 밀리는 그냥 평범한 인기다. 물론 나름대로 위인이라고 할 만한 사람이라, 좋아하는 팬이 있기는 하다. 동북의 공손씨, 서북의 마씨와 함께 변방본좌.

삼국지 11과 삼국지 12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지 13에서 10 이후로 12년만에 부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31/76/80 로 삼국지 10 과 동일.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화공계이고 병과적성은 창C/기B/병C 이다. 특기는 상업2, 농업3, 문화7, 설파6, 수련1 이고 황건적의 난(184년)부터 적벽대전(208년) 시나리오까지 꾸준히 나온다. 휘하 무장으로 사일, 사무, 사휘, 사광, 사지 등 일족들만 등장하는데 모두 주군인 사섭을 제외하고는 모두 C급, D급 무장이다. 전작과 같이 변방에 위치해 있어 초반 시나리오에서는 여유로운 세력 확장이 가능하나 인재가 고달프니 형주 남부로 진출해 형주계 인재들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자.

5.2 삼국전투기

삼국전투기에도 등장. 브리타이 크리다닉으로 패러디되었는데, 두번째 컷을 보면 데컬쳐라 적혀 있다.
  1. 사왕(士王)의 베트남식 발음이다.
  2. 대항해시대 4에서 동남아시아 패자의 증표인 츈차크의 왕관의 츈차크가 바로 이 쯩짝이다.
  3. 예주(豫州) 지역으로서, 지금의 산동(山東) 연주부(兖州府) 영양현(甯陽縣)이다. 동북쪽이다.
  4. 자신이 죽은 후 오나라가 교주를 탈취할 것이라 예상, 남만까지 아울러 오나라에서 독립을 하려 했던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5. 직접 코끼리 타고 전투 벌이다가 결국 처형당한 이 인물은 제갈량의 남만정벌의 축융의 모티브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6. 물론 중국사 기준. 베트남사에서는 윗 문단에도 나오듯이 중요한 인물이다.
  7. 원래 삼국지 3에는 황건적 시나리오가 없지만 (메가 CD판에 있긴 하지만 황건적 안 나온다.) DS 오리지널로 첨가를 한 것 같다. 다만 사섭은 그냥 군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