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코

1 음악

1970년대 중반에서 80년대 초반에 유행한 펑크(Funk)에서 파생된 댄스 음악의 장르로 빠르고 경쾌한 리듬이 특징. 펑크 음악이 점점 업비트가 강해지면서 더 이상 펑크의 범주에 엮을 수 없게 되자, 이러한 업비트의 빠른 펑크 음악을 "디스코"라고 칭하게 되었다. 단어 자체는 디스코텍에서 파생되었다. 원숭이들이 잘 춘다고 한다. 와트니가 이 항목을 싫어합니다

디스코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 형성된 것으로 보여지며, 미국 동부의 뉴욕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당시 미국의 지배적인 음악은 음악이었는데, 디스코는 이러한 록 음악의 지배적인 분위기와 댄스뮤직에 대한 지나친 멸시에 대한 반작용으로 출현한 점도 있다. 본격 락부심 반대 음악

당시 미국은 1960년대 후반의 혁신적인 분위기로 인해 보다 쾌락적인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더 이상 금기가 되지 않았고, 디스코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아이작 헤이즈[1]배리 화이트같은 뮤지션들은 초기 디스코 음악의 확립에 기여했다.

디스코는 소울, 펑크, 라틴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디스코 밴드는 어마어마한 숫자의 인원을 자랑하기도 한다. 드럼, 베이스, 기타, 보컬과 같은 밴드이 기본적인 구성이며, 그 외에는 오르간(때로는 오르간이 두명), 브라스 섹션(트럼펫, 트롬본, 색소폰 등등등), 타악기주자(봉고, 우드블럭, 카우벨 등등), 여성 코러스을 포함하기도 한다.

음악적으로도 당시 점점 세분화되고 복잡해져가고 있던 프로그레시브 록 등 대중음악의 흐름에서 일부만 차용했다. 비트는 분명 세분화 되어서 드럼 자체는 엄청나게 그루브해졌지만, 나머지 멜로디를 담당하는 악기가 다소 단조로워지는 경향이 있다. 당시로서는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았던 16비트를 많이 사용한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음악 자체가 일종의 공식화가 되어있어서 16비트 드럼비트에 업비트 베이스라인을 끼워 맞추면 어떤 곡이든 디스코로 변형시킬 수 있는 마법의 음악이기도 하다. 노래방에 가서 리모콘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반주를 디스코로 바꿔주는 버튼이 있는데, 이걸 켜보면 마법을 체험할 수 있다.

일단 이 음악은 당시의 사회분위기에 비해 "지나치게" 말초적인 음악이었고, 댄스 뮤직에 대한 당대의 거부감도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게이 클럽이나 일부 제한된 사이키델릭 클럽, 히피 클럽의 플레이리스트에 오르곤 했다. 이러한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주목을 받게 되고 나서 메인스트림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1974년경이나 되어서의 이야기다.[2] [3] 그리고 당시로서 당연한 반응이지만, 평론가들은 이 음악을 저속하다고 엄청나게 깠다. 그러나, 30년 뒤에 디스코힙합 문화로 인해 재조명이 된다.

이전에는 위의 이유들로 인해 이래저래 "경박하고 품위없다"는 이미지가 강해서 하는 사람만 하는 비주류 문화였으나, 1977년 12월 개봉된 '토요일 밤의 열기 (Saturday Night Fever)'라는 영화와 동시기에 발매된 사운드 트랙이 베스트 셀러를 기록하며 '디스코'라는 장르가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하게 된다.

흑인들이 유행을 시킨 음악 중 하나이고 위에 써있는 내용대로, 게이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1979년도에 디스코 폭파의 밤 사건이 일어나 디스코 관련 상품을 불태우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고, 점점 인기를 잃어갔지만 음악 자체의 영향력은 시대가 지나면서 일종의 복고 열풍으로 인해 재조명되었다. 현재는 댄스뮤직이 섞이면서 디스코의 소스를 많이 차용한 곡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독자적으로 발전하여서, 나중에 Nu-NRG, Hi-NRG, 해피 하우스, 유로비트 등의 장르로 발전하였다. 이탈로 하우스가 유로비트의 조상이라고 하면 믿겠는가? 사실 유로비트를 느리게 하면, 후기 이탈로 하우스와 비슷해진다.

디스코 복고 열풍 이전에 디스코 시대 이후의 Hi-NRG와 쌍벽을 이루는 과도기적 음악으로 포스트 디스코(후기 디스코)라는 음악 장르가 존재했었다. 하지만 포스트 디스코는 소울과 재즈를 강조함으로서 [4]현대 R&B나 네오소울, 소울풀 하우스와도 비슷한 느낌이다.

디스코를 불렀던 여자 가수들은 많았지만, 그 중에서도 퀸으로 군림했던 여자 가수는 아만다 리어와 도나 서머가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행한 시기는 1978년부터이다. 원래 1975년경부터 비지스를 비롯한 다양한 디스코 그룹들이 소개되었으나 당시 일명 "다운타운 디제이"[5]들 사이에서 유행했을 뿐, 대중적인 인기는 없었지만 1978년 존 트라볼타토요일 밤의 열기가 유행한 이후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유행도 한 때, 80년대 중반 이후엔 디스코는 구닥다리 음악이 되어 내세우는 팀이 없게 되었다. 그런데, 뜬금없이 2012년 크레용팝이 제목도 디스코 영화와 비슷한 Saturday Night로 디스코를 들고 나왔다. 결과는 실패. 하지만 후에 락을 디스코로 편곡한 빠빠빠로 대 히트를 기록하고, 다시 낸 싱글 앨범 제목은 Street go disco. 심지어 EDM 버전까지 내고 있으며, 이후 2016년까지 쭉 복고풍 디스코 댄스 곡을 내고 있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디스코 열풍은 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이어지다가 디스코 폭파의 밤 이후, 90년대 부터는 인기가 사그러들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 다양한 음악가(특히, 하우스나 일렉트로닉 뮤지션들)들이 디스코로 회귀의식을 보이고 있다. 다프트 펑크Random Access Memories나, EDM 씬에서도 누-디스코(Nu-Disco)나, 퓨처 펑크 등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2 죠죠의 기묘한 모험 제 7부 스틸 볼 런의 등장인물

디 스 코 참고.

3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택용의 별명 중 하나

김택용 참고.

4 원피스의 등장인물

Disco_Anime_Pre_Timeskip_Infobox.png
성우는 에테몬마스타니 야스노리/이현.

샤본디 제도에 있는 노예 경매장, 일명 '휴먼 숍'의 경매 사회자. 엘튼 존 스타일의 화려한 복장을 입고 있다. 평소에는 친절한 얼굴을 하고 있지만 물론 가식이고, 노예 경매장에서 일하는 사람답게 노예나 인어를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는 인간말종이다. 경매를 진행할 때는 별 모양의 기묘한 선글라스를 끼고 있다.

케이미가 잡혀왔을 때 보러 오는 것으로 첫 등장. 케이미가 혀를 내밀며 조롱하자 분노해서 마구 폭력을 휘두르다가 실버즈 레일리가 뿜은 패왕색 패기에 당해 혼절했다.

곧 정신을 차렸는지 경매를 진행하였으나, 케이미를 구하기 위해서 난입한 몽키 D. 루피를 비롯한 밀짚모자 일당천룡인을 날려버리는 전대미문의 사태로 인해서 망했어요. 경매장의 소유주인 돈키호테 도플라밍고에게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하지만 도플라밍고는 노예 따위는 시대에 뒤처지고 시대는 스마일이라 답하며, "그 경매장은 너에게 주마."라면서 쿨하게 디스코를 내쳐버린다. 피해를 막기 위해서 도마뱀 꼬리 자르듯 디스코와 휴먼 숍을 잘라내버린 것.

2년 후를 다루는 표지 연재에서 재등장. 박살난 휴먼 숍 앞에서 술이나 마시고 있다. 그 경매장을 아작낸 해적단 수배서와 함께. 수염이 덕지덕지 자라고 차림새가 너덜너덜한 것이 완전히 폐인 상태. 자업자득이다.

5 아이언맨 Mk.27

  1. 사우스 파크의 셰프 담당 성우로 알려진 그분 맞다.
  2. 이때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며 디스코를 메인스트림에 선보인 노래는 휴즈 코퍼레이션의 "Rock the Boat"와 칼 더글라스의 "Kung Fu Fighting"이다.
  3. 여담으로 영화 칼리토에서 칼리토가 출소하고 나서 "이게 어떻게 된 일이지, 원래는 대마초와 긴머리가 지배하던 세상이었는데 출소하고 보니 못 보던 춤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라는 시점이 바로 이 시기이다.
  4. 물론 뉴웨이브에서 파생한 신스팝적 요소도 섞여있지만 마이클 잭슨 식의 흑인 팝 음악으로 많이 소화된 느낌이 든다, 마치 마이클 잭슨빌리 진을 듣는 것 같은... 사실 빌리 진도 이 장르가 영향을 준 곡이다.
  5. 대도시에서 나이트클럽/음악다방을 중심으로 음악을 틀던 디제이들을 말한다. 이들은 사실상 당시 새로운 음악의 공급처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