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고교야구 주말리그 부산&제주 (전반기 / 후반기) | |||||||
50px | 개성고등학교 | 60px | 경남고등학교 | 50px | 부경고등학교 | 60px | 부산고등학교 |
50px | 부산공업고등학교 | 50px | 부산정보고등학교 | 45px | 제주고등학교 |
130px | |
개성고등학교 야구부[1] (Gaesung High School) | |
창단 | 1924년 |
소속 리그 | 부산권 |
감독 | 이승종 |
연고구단 | 롯데 자이언츠 |
우승 기록[2] | 4회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 | 1회(1979) | - |
청룡기 | 2회(1946, 1964) | 1회(1960) | 2회(1979, 2008) |
황금사자기 | 1회 (1975) | 2회 (1960, 1999) | 1회 (1974) |
봉황대기 | 1회 (1976) | - | 1회 (1981) |
협회장기 | - | - | - |
1946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대회 창설 | → | 부산상업중학교 | → | 경남중학교 |
1964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부산공업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동대문상업고등학교 |
1975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북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충암고등학교 |
1 소개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야구부이다. 하지만 우승 횟수로는 경남고나 부산고에 밀리며 예전 상고 라이벌이던 부경고와 비슷하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 지역 예선을 뚫고 1921년 고시엔에 출전해 8강에 오르기도 했다. 다만 조선인으로 구성된 야구팀은 아니었고 조선인으로 구성된 고교야구 팀이 8강에 오른 것은 1923년 휘문고보가 유일하다.
개성고의 첫 우승은 아직 6-3-3 교육 시스템이 완성되기 전이라, 고등학교들이 중학교로 불리던 시절이었다. 부산상업중학은 1946년 초대 청룡기에서 당대 최고의 선수들로 야구계의 전설이 된 경남중의 장태영, 광주서중의 김양중, 동산중의 박현식을 모두 제압하고,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부산상고-개성고 출신으로 야구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김응용이지만, 고교 시절에는 그리 인상적인 성적을 내지 못했다. 오히려 부산상고는 김응용이 졸업한 후인 1960년에 청룡기와 황금사자기 모두 결승에 올랐다. 다만 당대 최강의 전력을 구축한 경동고에 패하면서 우승을 차지하진 못했다. 부산상고의 두번째 전국 메이저 대회 우승은 4년 뒤에 강병철의 호투 속에 이루어졌다.
1964년 7월 청룡기 첫 우승 기념 사진. 사진 왼쪽에서 세번째가 강병철 |
이후 고교야구의 전성기인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부산상고는 1975년 노상수의 활약으로 중앙고를 1:0으로 제압하고 황금사자기 첫 우승에 성공했고, 다시 1976년에는 선린상고를 누르고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했다. 우수한 인재들이 모이면서 전성기가 이어지나 싶었지만, 여기까지였다. 1979년 윤학길을 앞세워 대통령배 결승에 올랐지만, 고교야구의 아이돌 윤석환, 박노준, 김건우가 모인 선린상고에게 1:15라는 충격적인 점수로 대패하면서 준우승에 그쳤다. 이 준우승 이후, 다시 전국대회 결승에 올라가기까지는 20년의 시간이 걸려야 했다. 심지어 대회 성적은 부진해도 뭔가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라도 있어야 하는데, 1980년대 내내 이렇다 할 선수도 배출을 못했다.
200px |
채태인 |
오랜 침체기를 무너뜨린 것은 1999년으로 황금사자기 결승에서 투타 모두에서 활약한 채태인을 앞세워 결승까지 올랐지만, 결승에서 만난 군산상고의 좌완투수 이승호에게 완투패를 당하며, 3-11로 패하면서 우승 기회를 놓쳤다.
그래도 이 때 우승 및 2003년 모교에서 대통령이 배출되면서 뭔가 활력을 찾은 부산상고 야구부는 2005년 일반고 전환과 함께, 고교 무대에서 우수한 선수를 수급하기 시작했다. 당시 삼성 라이온즈 사장이었던 김응용이 모교 야구부 후원회장을 맡아 직접 중학 무대의 우수한 선수를 끌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마산중에서 뛰다가 분당 매송중으로 전학간 좌완 김민식한테 개성고를 추천한 인물이 바로 김응용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 전국대회에서 4강 정도로만 만족해야 했고, 4번 타자이자 주전 포수로 활약했던 박동원을 바탕으로 다시 부흥기를 이끌었으며, 우승은 지방대회인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와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2009년 우승을 차지한 것이 마지막이다.
가장 기대를 많이 걸었던 심재민의 고3 시즌인 2013년은 심재민이 부상으로 허무하게 시즌을 날리면서 결국 이렇다 할 성적 없이 끝나고 말았다.
2 트리비아
박동희 기자가 노무현 대통령과 이 학교 야구부에 관한 기사를 썼었다. ##
2014년 뜬금없이 해체 위기에 몰렸다는 기사가 뜨기도 했다.
3 연도별 상세 성적
4 출신 선수[3]
이름 | 포지션 | 프로입단 | 경력 |
성기영 | 내야수 | - | 육군(1957~1962)-한국운수(1982)-한국미창(1963)-해운공사(1964)-크라운맥주(1965)-한일은행(1966~1967) |
김응용 | 1루수 | - | 남선전기-크라운맥주-한일은행 |
유백만 | 투수 | - | 한국운수(1961)-한국미창(1962)-상업은행(1963~1972) |
강병철 | 내야수 | - | 크라운맥주-해병대 야구단-한일은행 |
최옥규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 고려대-농협-롯데(1982) |
김용철 | 1루수 | 1982년 창단멤버 | 한일은행-롯데(1982~1988)-삼성(1989~1992) |
이윤섭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 고려대-한일은행-롯데(1982~1984) |
윤학길 | 투수 | 1986년 1차 | 연세대-상무-롯데(1986~1997) |
김태형 | 투수 | 1991년 연고지명 | 롯데(1991~1997)-한화(1998) |
권오원 | 투수 | 1998년 2차 7라운드 | 동아대-삼성(2002~2011) |
이혜천 | 투수 | 1998년 2차 2라운드 | 두산(1998~2008)-야쿠르트(2009~2010)-두산(2011~2013)-NC(2014~2015) |
윤성환 | 투수 | 2004년 2차 1라운드 | 동의대-삼성(2004~) |
이우민[4] | 외야수 | 2001년 2차 2라운드 | 롯데(2001~) |
차정민 | 투수 | 2001년 2차 10라운드 | 동아대-KIA(2005~2012) |
채태인 | 투수, 1루수 | 2007년 해외선수 특별지명 | 보스턴(2001~2005)-삼성(2007~2016)-넥센(2016~) |
김동영 | 외야수 | 2005년 2차 4라운드 | 한화(2005~2010) |
윤완주 | 내야수 | 2012년 10라운드 | 경성대-KIA(2012~) |
임준섭 | 투수 | 2012년 2라운드 | 경성대-KIA(2012~2015)-한화(2015~) |
박동원 | 포수 | 2009년 2차 3라운드 | 넥센(2009~) |
길태곤 | 투수 | 2010년 8라운드 | 삼성(2010~2012)-한화(2013~) |
박준태 | 외야수 | 2014년 2차 6라운드 | 인하대-KIA(2014~) |
임재현 | 내야수 | 2014년 육성선수 | 성균관대-SK(2014~) |
정민우 | 포수 | 2010년 3라운드 | 삼성(2010~2011, 2014~) |
최영환 | 투수 | 2014년 2차 1라운드 | 동아대-한화(2014~2015)-롯데(2016~) |
김주원[5] | 투수 | 2011년 2라운드 | SK(2011~2013)-kt(2014~) |
심재민 | 투수 | 2014년 우선지명 | kt(2014~) |
박재욱 | 포수 | 2014년 2차 10라운드 | LG(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