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신인드래프트 | |||||
2003년 시즌 | → | 2004년 시즌 | → | 2005년 시즌 |
1 개요
2004년 KBO 리그 신인드래프트 (공식 명칭: 2004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는 1차 지명과 2차 지명으로 진행되었다.
2 1차 지명
2003년 6월 5일까지 각 팀에서 팀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 중 1명을 뽑았다. 한편 현대 유니콘스는 연고지 문제로 1차 지명에서 제외되었다.
팀 | 1차 지명자 |
두산 베어스 | 김재호(중앙고, 내야수) |
롯데 자이언츠 | 장원준(부산고, 투수) |
삼성 라이온즈 | 박석민(대구고, 내야수) |
한화 이글스 | 김창훈(북일고, 투수) |
KIA 타이거즈 | 김주형(동성고, 내야수) |
LG 트윈스 | 장진용(배명고, 투수) |
SK 와이번스 | 박권수(안산공고, 투수) |
3 2차 지명
2003년 6월 30일 서울특별시 양재동 교육문화회관 3층 거문고홀에서 개최되었다.
고등학교 및 대학교 졸업 예정자, 상무 소속 선수들 등 총 701명이 신인 드래프트에 참가했다.[1]
3.1 지명방식
1라운드부터 9라운드까지 진행되며 각 팀은 최대 9명의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단,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지명방식은 각 라운드마다 전년도 순위의 역순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3.2 지명 결과
※표시는 지명권 포기나 대학 진학으로 인한 지명권 소멸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라운드 | 롯데 | 한화 | SK | 두산 | 현대 | KIA | LG | 삼성 |
1 | 김수화 (효천고, 투수) | 송창식 (세광고, 투수) | 윤희상 (선린인터넷고, 투수) | 이원희 (부산고, 투수) | 오재영 (청원고, 투수) | 이동현 (청주기계공고-단국대, 투수) | 강창주 (동성고, 투수) | 윤성환 (부산상고-동의대, 투수) |
2 | 최대성 (부산고, 투수) | 최진행 (덕수정보고, 외야수) | 정우람 (경남상고, 투수) | 이경민 (경동고, 투수) | 박동욱 (영흥고, 투수) | 박정태 (부산고, 투수) | 이용규 (덕수정보고, 외야수) | 이정식 (장충고-경성대, 포수) |
3 | 강민호 (포철공고, 포수) | 박노민 (공주고, 포수) | 지훈 (공주고, 투수) | 윤석민 (인창고, 내야수) | 이승주 (화순고, 외야수) | 권희석 (진흥고, 내야수) | 구인환 (부산고-동의대, 내야수) | 오진호 (장충고, 투수) ※ |
4 | 김종성 (청주기공, 내야수) | 정종민 (안산공고, 투수) | 장찬 (경북고, 투수) | 남찬섭 (중앙고, 투수) | 최현종 (광주일고, 내야수) | 이상화 (경주고-경성대, 투수) | 이학준 (휘문고, 내야수) | 오상준 (경북고, 내야수) |
5 | 이정동 (덕수정보고, 투수) | 김용국 (청주기공, 외야수) ※ | 임훈 (신일고, 외야수) | 구명환 (경북고, 투수) | 김동건 (영흥고, 투수) | 김성계 (광주일고, 투수) | 김수인 (배명고, 투수) ※ | 채형직 (군산상고, 투수) |
6 | 허준혁 (용마고, 투수) | 패스 | 김진성 (성남서고, 투수) | 김수훈 (배명고-제주산업정보대-탐라대, 투수) | 박상진 (성남고, 투수) | 박강우 (광주상고-성균관대, 투수) | 임성민 (대구고, 투수) | 정광섭 (경주고, 포수) |
7 | 전준우 (경주고, 내야수) ※[2] | 패스 | 김웅비 (경기고, 투수) ※ | 오현근 (성남고, 외야수) ※[3] | 조평호 (부천고, 내야수) | 패스 | 패스 | 안태영 (선린인터넷고, 외야수) |
8 | 김태우 (중앙고, 내야수) | 패스 | 패스 | 용덕한 (대구상고-동아대, 포수) | 김선일 (전주고, 투수) | 패스 | 패스 | 허재인 (대전고-동아대, 외야수) |
9 | 이동훈 (경남상고, 내야수) ※ | 패스 | 김준 (경기고, 투수) ※[4] | 김무학 (경주고, 투수) | 우원식 (속초상고, 투수) | 패스 | 패스 | 서홍준 (강릉고, 투수) |
4 드래프트 평가
- 삼성 라이온즈 : 강민호 거르고 이정식. 당시 이정식은 국가대표 출신 포수였던 반면, 강민호는 그저 그런 수비형 포수로 평가받았다. 당시만 해도 진갑용을 대체할 백업 포수가 삼성 라이온즈에선 전무했기 때문에[5], 당시에는 당연한 선택일 수 밖에 없었으나 결과야 뭐...... 그러나 이정식은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했어도 진갑용과 이지영의 백업으로 활약하고 있기에 아주 손해는 아니다.
아무렴 이래봬도 우승반지를 4개나 꼈는데...하지만 이흥련이 나오면 어떨까또한 2008년 이후 주전 3루수로 자리잡은 1픽 박석민과 역시 비슷한 시기에 삼성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 윤성환을 건져 냈기에 결국 이 해 드래프트는 2002년 못지 않은 대성공이었다. 안태영은 방출당한 후 고양 원더스로 갔다가 넥센 히어로즈에 이적하였다가 결국 방출당했다. - SK 와이번스 : 정우람을 제외하면 2010년까지 제대로 활약한 선수가 없었으나, 2011년 후반기부터 선발 투수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윤희상이 2012년 SK 와이번스의 풀타임 선발로 자리잡고 임훈도 1군 주전까지는 아니더라도 1군 멤버로 자리잡으며 어느 정도 성공한 드래프트라고 할 수 있을 듯.
사실 정우람 한 명으로도 대박이긴 하지만1픽인 박권수는 아무런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한 채 묻힌 후 은퇴했으며, 김진성은 방출당한 후 NC 다이노스로 가서 마무리 투수가 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 정우람을 거르고 2차 1번으로 지명된 김수화는 대차게 말아먹고 2010년 넥센 히어로즈에 트레이드되었으나(...) 준수한 풀타임 선발이 된 장원준과 동세대 최고 포수가 된 강민호를 건져 냈다. 최대성도 잘 던질 땐 잘 던졌다. 전준우는 건국대학교에 진학하게 되어 지명권이 말소된 후 2008년 드래프트에서 다시 잡았고, 포지션을 외야로 바꾼 후 터졌다. 암흑기 시절을 달릴 동안 가장 성공한 드래프트라 평할 수 있다.
- 한화 이글스 : 1픽인 김창훈은 한화에서 폭망하고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되었으나, 향후 한화의 유일한 필승조 불펜이 될 송창식[6]과 거포
약쟁이인 최진행을 픽하였다.박노민과 정종민(정재원으로 개명)은 덤거기에 보면 알겠지만 선수 지명을 말 그대로 발로 했다. 이런 소수 지명으로 인해 2012년 서산야구장이 지어지기 전까지 안습했던 2군의 거처와 부족한 선수로 인해 2008년 이후 비밀번호를 찍고 있다. - 두산 베어스 : 내야 백업에 그치던 김재호가 2013 시즌에 드디어 각성. 이전에도 내야 백업으로 2루-유격수 공백을 훌륭히 메워 왔다. 반면 윤석민은 터질 듯 터질 듯 안 터지다 2012년 잠시 가능성만 보여주고 2013년 시즌 후 넥센 히어로즈로 트레이드. 용덕한은 건실한 백업 포수로 활약했다가 크게 찍히고선 2012년 시즌 중에 롯데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다.
- LG 트윈스 : 터진 선수가 이용규 하나. 그것도 이듬해 KIA 타이거즈로 가고 나서.
이학준도 있긴 하지만 이쪽은 넘어가자때문에 기나긴 암흑기의 한 원인이 된 드래프트였다. 2016년 시점에서 LG에 남은 선수는 장진용 한 명뿐이다. 문제는 이 선수는 전형적인 2군 페드로라 지금까지 1군에서 1년 평균 4경기도 치르지 못했다... - 현대 유니콘스 : 오재영이 2004년 신인왕을 수상하면서 대박을 터트렸다. 문제는 살아남은 선수가 오재영 하나뿐이라는 것.
- KIA 타이거즈 : 흉작. 김주형은 만년 유망주 신세고, 그나마 이상화가 2006년 마당쇠로 뛰었지만 너무 혹사를 당해서 2011년 시즌 후 방출당해 은퇴하고 현재는 KIA 타이거즈의 전력분석관으로 있다. 박정태는 2011년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를 통하여 삼성으로 건너갔고, 박근홍으로 개명한 후 1군에 자주 모습을 비치는 중.
5 이모저모
- 2004 신인 지명부터 2차 지명의 경우, 지명권이 2년으로 줄었다. 따라서 고교 1년 유급이나 2년제 대학교를 마치고 입단하지 않는 이상 지명권이 소멸되므로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한 고졸 선수는 대학 졸업 때 다시 드래프트에 나오게 되었다. 대학으로 진학한 전준우, 김준, 오현근 등은 2008 신인지명 때 다시 참가했다.
- 또한 이는 차후 신인 지명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전에는 고졸 선수가 대학에 진학하더라도 지명권이 유지되었기에 9명 모두 지명하게 되었지만, 2004 신인 지명부터는 9명 모두 지명하지 않는 경우가 생겼다. 구단 입장에서는 장래성 때문에 고졸 선수를 선호하지만 지명한 선수가 기량발전을 위해 대학행을 선택해 버리면 구단은 애먼 지명권 하나를 날려버리는 셈이기 때문.
아니, 고졸이 뽑기 싫어서 안 뽑는 거라면 대졸을 뽑으면 되지
- 그러나 이처럼 신인 지명에는 소홀히 하면서 점점 육성선수 영입이 증가하며, 프로구단은 선수가 없다면서 선수를 안 뽑으면서 한편으로는 미지명된 선수들을 신고선수를 영입해 돈을 아끼려 한다는 비판을 들었다. 그래도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이런 문제는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