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항목은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일제가 실시한 부군면 통폐합 문서를 찾아오신 거라면 해당 항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군면리 대폐합은 북한이 1952년 12월 단행한 행정구역 대개편이다.
이 개편으로 98개 군이 168개로 증설됐고,[1] 10,120개 리가 3,658개 리로 병합 개편되었다
2 의도
추가바람
3 방향
기존의 특별시/직할시/도 - 시/군/구역 - 읍/면 - 리로 구성된 4단계 행정 체제를 개편해 도/직할시, 시/군, 동/읍/리/로동자구의 3단계 재편이 핵심이다. 이로 인해 면은 폐지됐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현 대한민국에서 리를 폐지하고 면을 좀 더 잘개 쪼갠 모양새 같다.
3.1 긍정적 요소
그 악명 높은 부군면 통폐합의 흔적을 상당히 걷어냈다는 사실은 칭찬받을 만 하다.
또한, 분단된 지역들을 기존의 시군으로 편입하였다.
추가바람
3.2 부정적 요소
대체 무슨 기준으로 뗐다 붙였다 한 건지 알 수가 없다. 이북의 생활권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을까 싶어도 고작 2년 뒤인 1954년부터 자잘한 수정이 있었던 걸로 보아 설득력은 그닥 없다. 그 이후로도 도대체 왜 애초에 개편했는지 의문을 품게하는 차후 수정도 많았으니....
더군다나 부군면 통폐합의 흔적을 완전히 지운 것도 아니다. 실제로 평양시 - 대동군, 의주군 - 신의주시, 황주군 - 송림시 등 아직까지도 부군면 통폐합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도 많다. 근데 이쪽은 더 할 말이 없다.
4 개편현황
- 밑줄친 부분은 부군면 통폐합으로 강제 합병된 행정구역을 다시 분할한 사례이다.
- 당시 량강도는 설치되지 않았고, 황해도도 남·북도 분도 전이었다는 점 숙지 바람.
- 참고한 위키피디아 본연의 신뢰성 문제 및, 작성자의 이해 부족, 실수로 인해 상당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꾸준히 수정바람
4.1 황해도
개편 전 | | 개편 후 | 비고 |
벽성군 | → | 벽성군 + 청단군[* 벽성군의 영천면, 화양면, 동운면, 금산면의 6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연백군 소속 + 신원군 일부[2] + 청단군[3] + 강령군 일부 |
연백군 | → | 연안군 + 배천군 + 평천군 일부[4], 청단군 일부[5] | 평천군은 1990년 봉천군으로 개칭. |
금천군 | → | 금천군 + 토산군[6] | 동화면 5개리는 평산군으로 이전. |
평산군 | → | 평산군 + 린산군 + 평천군[7] | 평산면의 전도리, 화산리, 장풍군 영북면의 3개리, 소남면 박연리는 금천군으로 이전. 1990년 평천군을 봉천군으로 개칭. |
장연군 | → | 장연군 + 룡연군[* 해안면, 대구면 전역 및 룡연면 일부 (13개 리) + 태탄군[8] |
송화군 | → | 송화군 + 삼천군 일부[9] |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삼천군이 구 문화현을 승계하는 것으로 판단 가능. 자세한 사항은 삼천군 문서 참고. |
안악군 | → | 안악군 + 은천군 |
신천군 | → | 신천군 + 삼천군 일부[10] | 안악군과의 경계조정도 병행. |
재령군 | → | 재령군 + 신원군[* 재령군의 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률면의 3개 리와 구 벽성군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로 구성 |
황주군 | → | 황주군 + 연탄군 | 중화군 한개 리 편입. |
봉산군 | → | 봉산군[11] + 은파군[12] |
서흥군 | → | 서흥군[13] + 린산군 일부 |
수안군 | → | 수안군 + 연산군 [14] |
곡산군 | → | 곡산군 일부[15] + 신평군[16] |
옹진군 | → | 옹진군 + 강령군 일부 |
중화군 | → | 중화군 + 상원군[17] + 강남군 |
강동군 | → | 강동군 + 승호군 |
4.2 평안남도
4.3 평안북도
4.4 자강도
4.5 함경남도
4.6 함경북도
4.7 강원도
- ↑ 군의 수가 1.7배 이상 늘었다.
- ↑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재령군 소속
- ↑ 벽성군의 영천면, 화양면, 동운면, 금산면의 6개 리
- ↑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
- ↑ 연백군의 래성면, 청룡면, 일신면과 추화면의 7개리 한정. 나머지는 구 벽산군 소속
- ↑ 금천군 외류면·합탄면·구이면·서천면·토산면·좌면
- ↑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
- ↑ 구 장연군의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과 벽성군의 대차면, 운산면의 6개 리. 옹진군 가천면부터로도 3개리를 합병.
- ↑ 송화군의 봉래면, 도원면, 장양면과 련방면의 2개 리, 문무면의 8개 리. 나머지는 지역은 구 신천군 지역
- ↑ 신천군 궁흥면의 12개 리, 초리면의 9개 리, 문화면의 5개 리. 나머지는 구 송화군 지역
- ↑ 서흥군 목감면 4개 리, 황주군 도치면 성동리, 상산리 일부 편입.
- ↑ 서종면, 초와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과 령천면의 2개리, 문정면의 1개 리, 재령군 삼강면의 4개 리, 은룡면의 4개 리
- ↑ 신막면, 매양면, 룡평면, 률리면, 서흥면과 목감면의 6개 리, 구포면의 5개 리.
- ↑ 도소면, 수구면, 연암면, 공포면과 대오면의 6개 리, 곡산군 서촌면의 1개 리를 합병
- ↑ 구 곡산군의 12개 면 중 4개 면(곡산, 청계, 운중, 도화)과 서촌면의 3개리로만 구성. 나머지는 신계군에서 가져왔다.
- ↑ 곡산군의 상도면, 하도면, 멱미면, 이령면, 화촌면과 봉명면의 동천리, 동촌면의 오륜리
- ↑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과 강동군 풍동면 및 강동면의 일부. 황주군의 천주면 일부 포함.
- ↑ 맹산군의 옥천면·봉인면·학천면, 덕천군의 잠도면·잠상면
- ↑ 양덕군의 쌍룡면, 화촌면, 오강면, 성천군의 대구면
- ↑ 성천군 숭인면, 대곡면, 릉중면과 구룡면의 일부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의 일부
- ↑ 대대면, 신녕면, 금곡면, 귀성면, 서화면, 룡월면, 해운면
- ↑ 함종면, 신정면, 증산면, 적송면, 성대면과 반석면의 9개 리를 합병해 증산군
- ↑ 용화면·대리면·입석면·연호면
- ↑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의 5개리, 덕화면의 3개리
- ↑ 의주군의 피현면·월화면·위원면 전역과 룡천군의 동산면 전역, 고관면의 일부, 신의주시의 일부, 철산군 일부
- ↑ 구 룡천군 외하면·외상면·내중면 전역과 부라면의 대부분
- ↑ 곽산면·림포면·안흥면·관주면과 옥천면의 14리, 남서면의 1리
- ↑ 박천군 박천면·동남면·덕안면·양가면의 전역, 청룡면·가산면의 일부, 녕변군의 독산면,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의 일부
- ↑ 녕변군 룡산면, 백령면, 남신현면, 오리면의 일부, 고성면의 일부
- ↑ 녕변군의 북신현면·태평면·남송면 일부
- ↑ 일부는 의주군에서 편입.
- ↑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과 벽동면의 일부
- ↑ 삭주군 남서면·외남면·량산면 및 수풍면의 일부
- ↑ 단, 광평면, 가산면, 옥상면은 본래 의주군 소속
- ↑ 구 만포군 시중면
- ↑ 희천군의 신풍면, 동창면, 장동면과 동면의 일부
- ↑ 구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 벽동면
- ↑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리 합병
- ↑ 1949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
- ↑ 단, 부지리는 구 장강군 소속.
- ↑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리 합병
- ↑ 퇴조면, 덕산면, 동천면, 홍원군 삼호면
- ↑ 구 함주군 하조양면, 상기천면, 하기천면, 주북면, 기곡면
- ↑ 구 북청군의 덕성면의 일부 및 상차서면, 하차서면, 니곡면, 성대면
- ↑ 단천군 이중면, 광천면, 남두일면, 북두일면(8개 리)
- ↑ 구 단천군 수하면
- ↑ 신흥군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 및 장진군 동하면
- ↑ 장진군 동하면
- ↑ 장진군 북면, 동하면과 상남면의 1개 리, 자강도의 장강군 동문면
- ↑ 웅이면 전역과 풍산면 일부.
- ↑ 신파면, 자서면, 삼서면 전체와 호인면 일부
- ↑ 갑산면·회린면·동인면·진동면의 전역과 산남면의 대부분을 통합해 갑산군을 재편성하였다(29리)
- ↑ 운흥면, 별동면 편입.
- ↑ 구 혜산군 보천면, 대진면.
- ↑ 경성군의 어대진읍, 어랑면, 주남면, 주북면
- ↑ 어랑면 3개리 한정. 명간군의 다른 지역은 구 명천군의 일부였다.
- ↑ 명천군 하고면·하가면의 전부와 상고면 10리, 상가면 1히
- ↑ 명천군의 북면, 하우면, 서면 전체. 더불어 동면 11개 리, 남면 10개 리로 구성. 경성군 어랑면 3개 리도 편입했다.
- ↑ 양사면 서부는 삼사군에 이관
- ↑ 동해면
- ↑ 삼사면 한정. 양사면은 구 길주군 소속.
- ↑ 풍해면 라진시 이관
- ↑ 천내면·명귀면·운림면
- ↑ 문천군의 풍상·풍하면 전역과 운림면의 1리(마쟁리), 이천군의 웅탄면 통합해 신설
- ↑ 고성군 장전읍, 외금강면, 고성면의 13개리, 서면의 12개 리, 수동면의 3개리에 통천군 림남면을 통합해서 재구성
- ↑ 기존 김화군의 창도·원북·금성·통구·임남·근북면과 양구군 수입면 일부 분리 통합.
- ↑ 통천군 흡곡면 일부 편입
- ↑ 이천군 판교면·락양면·방장면과 산내면·룡포면의 일부,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 일부
- ↑ 북한 잔여 철원군, 이천군 동·안협면과 서면 일부, 평강군 서면 일부
서면이 두개다, 연천군삭령면·서남면 잔여지역 통합. 황해도 금천군 토산면 일부도 포함시켰다.
- ↑ 평강군 세포면, 유진면과 회양군 란곡면 일부, 안변군 신고산면 일부를 통합
- ↑ 구 회양군의 내금강면 전역, 사동면·안풍면 대부분, 인제·양구군의 잔여지역을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