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과대학

(수의대에서 넘어옴)
학과
(학과 이름순 목록 보기)
인문사회자연공학의학교육예술기타
학과 - 의학
의약계열간호학과수의학과약학과의학과치의학과한약학과
한의학과의과학과
보건계열물리치료학과방사선학과언어치료학과응급구조학과임상병리과의료정보학과
작업치료학과치기공학과치위생학과보건행정학과환경보건학과
* 교육계열 학과 목록은 링크를 참조할 것

1 개요

수의학의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다. 4년 과정의 본과를 두고 있고, 본과에 진입하기 전 단계로서 2년 과정의 예과를 두고 있다.

2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선택과목 여부, 가르치는 학년, 교수 임용 사정 등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각 대학마다 다르다.[1]

2.1 예과

2년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 기간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과목들을 배운다.

  • 일반화학 : 이론 6학점 + 실험 2학점
  • 일반생물학 : 이론 6학점 + 실험 2학점
  • 유기화학 : 이론 4학점 + 실험 4학점
  • 분자생물학 : 이론 2학점 + 실험 2학점
  • 유전학 : 이론 3학점
  • 세포생물학 : 이론 2학점 + 실험 2학점[2]
  • 생물통계학/의학통계학/수의통계학 : 3학점
  • 수의학 개론 : 이론 1학점
  • 영양학 및 사양학 개론 : 이론 3학점
  • 수의학 용어 : 이론 2학점

2.1.1 학교에 따라 다른 예과 과목

다음 과목은 학교에 따라 다르게 배운다.

  • 신경과학(3학점)
  • 동물 복지 및 심리학
  • 동물 행동과학
  • 의공학
  • 국제수의법규
  • 수의학 역사
  • 생명 윤리
  • 축산식품학

2.2 예과와 본과 사이

여기에 속한 과목은 학교에 따라 예과 때 배울수 있는곳도 있고 본과 때 배울수 있는곳도 있다.

  • 수의해부학(+해부실습) : 이론 8학점, 실습 9학점. 국시 과목이다.
  • 수의발생학 : 이론 4학점, 실습 4학점
  • 면역학 : 이론 3학점

2.3 본과

4년의 과정이다. 이 기간때 배우는 교과목은 보통 다음과 같다.

이론실습
조직학66
생리학88
생화학76
세균학33
바이러스학33
기생충학44
독성학66
바이러스성 감염병학33
세균성 감염병학33
병리학 [3]86
약리학66
실험 동물 의학66
식품위생학32
내과88
외과88
산과87
진단검사의학44
방사선학23
수생 생물 의학54
조류 질병학44
진단영상학33
환경 위생학32
야생 동물 의학22
생물공학20
피부과42
수의사 법규30
인수 공통 질병 및 역학31

그 외에는 각 과목별로 개설된 실습을 돌게 된다.(동물병원 실습, 현장 실습, 기초수의학 실습, 예방수의학 실습, 임상수의학 실습, 기초 수의학 논문 작성, 예방 수의학 논문 작성, 임상 수의학 논문 작성 등.)

과정이수 시간교육시간비고
모 대학 수의대 본1주38시간×30주1,140(600시간 강의, 540시간 실습)
모 대학 의대 본1주34시간×42주1,065(752시간 강의, 313시간 실습. 여기다 더해서 316시간 자율학습)
모 대학 치의대 본1주30시간×30주900(450시간 강의, 450시간 실습)
모 대학 문과 3학년주18시간×30주540(36학점 모두 이론 강의)
모 대학 공대 3학년주21시간×30주630(450시간 이론 강의, 180시간 실습)
모 대학 간호대 1학년주30시간×30주900(600시간 강의, 300시간 실습)
모 대학 약대 1학년주27시간×30주840(600시간 강의, 240시간 실습)

수업시간이 적지는 않은 편이다.아니 많은데?

수의대 졸업 요건으로 졸업 시험을 치르는 학교가 있고, 본인이 제 1 저자로 쓴 논문 1편 이상을 요구하는 학교가 있다. 졸업 시험을 치르는 학교는 국가고시의 형태와 난이도, 합격 커트라인 등을 본따 치르는 경우가 많으며, 논문을 요구하는 학교는 졸업 전까지 지도 교수의 지도를 받아 논문 한 편을 써내는 것이 보통.

2.4 수의사 국가시험

① 수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사람은 제5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다.

1. 수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수의학과가 설치된 대학의 수의학과를 포함한다)을 졸업하고 수의학사 학위를 받은 사람. 이 경우 6개월 이내에 졸업하여 수의학사 학위를 받을 사람을 포함한다.
2. 외국에서 제1호 전단에 해당하는 학교(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인정기준에 해당하는 학교를 말한다)를 졸업하고 그 국가의 수의사 면허를 받은 사람
② 제1항제1호 후단에 해당하는 사람이 해당 기간에 수의학사 학위를 받지 못하면 처음부터 응시자격이 없는 것으로 본다.
ㅡ수의사법(시행 2014.3.18.)#

수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수의과대학이 설치된 전국 10개의 대학교의 수의예과에 진학하여 예과 2학년과 본과 4학년의 총 6년의 과정을 수료하고 국가 수의사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해야 한다. 이 시험은 매년 1월 중순 금요일, 농림축산검역본부 주재하에 치러지는 시험으로, 수의과대학 졸업 예정자나 졸업자만 볼 수 있다. 통상 시험 결과는 시험 다음 주 화요일 즈음 검역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험은 2010년, 제 54회 수의사 국가고시까지는 10과목[4]으로 치러졌으며, 2011년 제 55회 시험부터 20개 과목으로 늘어났다. 합격점수는 평균 60점이며, 한 교시라도 40점 미만이 되면 불합격이 된다.

시험은 총 4개 교시로 나뉘며 각각 1교시 기초수의학(100문제), 2교시 예방수의학(100문제), 3교시 임상수의학(130문제), 4교시 수의법규와 축산학(20문제)으로 총 350점 만점인 시험이다. [5] 과락 퍼센트인 40%은 각 교시 별로 해당하는 것이기에, 4교시 20문제 중 8개 이상 못 맞히면, 나머지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맞아도 국시에서 떨어질 수 있다. 각 교시별 시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1교시 : 기초수의학 = 수의생리학, 수의약리학, 수의독성학, 수의생화학, 수의해부학, 수의조직학
  • 2교시 : 예방수의학 = 수의병리학, 수의전염병학, 미생물학, 조류질병학, 어류질병학, 기생충학, 실험동물의학, 수의공중보건학
  • 3교시 : 임상수의학1 = 수의내과학, 수의외과학, 영상진단의학, 수의산과학, 수의임상병리학
  • 4교시 : 임상수의학2, 수의법규 = 수의산과학, 수의법규[6]와 축산학[7]

각 과목별 출제 비율은 해마다 조금씩 다르다. 국시가 10과목이던 시절의 과목, 이른바 메이저 과목들은 20개 내외의 문제 수가 출제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메이저 과목들 중에서도 내과나 외과, 산과 같은 임상 과목은 광범위한 내용에 비해 과목 수가 적은 관계로 30~40개 정도 문제가 출제된다. 반대로 어류질병학이나 실험동물의학과 같이 마이너한 과목은 등은 5~8개 가량이 출제된다.

시험에 통과하면 수의사 면허증을 받을 수 있다.

2.5 외국 대학 졸업시

외국에서 수의대를 졸업하고 수의사 면허증을 받은 경우 시험 자격을 주기도 하지만, 2007년부터는 몇 가지 제한이 따른다. 법령집 참조

  • 외국인에게 수의사 면허를 발급하지 않는 나라는 안 된다. 필리핀이 여기에 해당한다.
  • 5년제 이상이고 최저학점이 160학점을 넘어야 한다.
  • 다음 과목이 전공필수과목이어야 한다.

- 수의해부학·수의조직학·수의발생학·수의생리학·수의생화학·수의약리학·수의독성학·수의병리학·수의미생물학·수의기생충학·수의공중보건학·수의전염병학
- 수의내과학·수의외과학·수의산과학·수의임상병리학·수의방사선학·동물질병학·수의임상실습

  • 국제적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 조항 때문에 개발도상국 수의대는 대개 인정이 안 된다.

- AVMA 여기 : 멕시코국립자치대학교, 서인도제도, 그레나다 등이 포함되어 있다.
- EAEVE 여기 : 터키, 요르단, 이스라엘 등이 포함되어 있다.
- RCVS 여기 영국 학교들이다.

2006년까지는 이런 규제가 없었기 때문에 유명하지 않은 나라의 유명하지 않은 외국 대학 출신도 인정이 가능했다.

3 병역

수의학도는 보통 두가지의 선택을 한다. 예과과정 도중이나 예과 과정 종료 이후 입대하는 경우가 있고, 수의사관후보생으로 편입되어 졸업 이후 수의사 자격의 취득 이후에 장교나 공중방역수의사로 입대하는 것이다. 전자는 일반적인 병 입대와 같으며 수의병이라는 특수병과로 입대할 수도 있고 다른 병과로 갈 수도 있다. 그런데 의무병으로는 가기가 뭐하다. 입대 전에 병과를 선택할 시에 대학 학과나 자격을 보고 적성을 평가하는데 수의학이 간접특기이기 때문.[8] 따라서 의무병이 아닌 병과로 가는 사람도 많다. 또한 수의병을 뽑긴 하는데 이 숫자가 적어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므로 수의병이 안될 수도 있다. 웃기는건 일반병으로 논산에 입대했는데 수의대네? 하고 수의병으로 보내는 허탈한 경우도 있다고는 한다. 수의병은 입대해서 수의장교 밑에서 실험하거나 운좋으면 국방연구소로 보내지기도 한다. 보통은 수의장교 밑에서 군으로 반입되는 물을 포함한 대부분의 식품류 검사를 한다. 군견 진료는 수의장교의 몫. 수의사관 후보생은 본과 1학년때 신청해서 졸업한 이후에 입대하는데 복무기간은 3년이다. 약 200여명을 뽑고, 30명은 장교로, 나머지는 각 지방에서 농림부 산하에서 공중방역수의사로 일하게 된다. 장교로 뽑히는 기준은 몇년 전까지만 해도 국가고시 성적으로 잘랐으나 지금은 약간 다른듯.[9] 하지만 기본적으로 신체등위와 국가고시 성적이 제일 중요한듯 하다. 대부분의 사람은 수의장교를 공중방역수의사에 비해 헬오브지옥으로 여기며 공중방역수의사로 빠지고 싶어한다.[10] 이외에 전문연구요원같은 대체복무도 있으나 수의학도가 선호하지는 않는 편이다.

한편 공중보건의사2012년 4,054명(의과 2,538명, 한의과 950명, 치과 556명)에서 점차 줄어들어 2020년에는 3,142명(의과 1,762명, 한의과 960명, 치과 420명)으로 912명 줄어든다. 관련기사 의료 사각지대인 농어촌 등에서 필요한 공보의 인력은 3,000명 내외이다.

그 외로는 2011년 기준 징병검사전담의사는 124명, 국제협력의사는 54명, 공익법무관은 212명, 공중방역수의사는 446명이다. #

4 황우석과 수의대

대한민국 수의과 대학의 역사를 논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한 명 있다. 바로 황우석이다. 사실 1990년대 후반까지 수의학과는 수의대로 독립하여 존재하기 보다는 농대 소속인 경우가 많았고[11],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수의대의 모습 역시 농대와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다 2000년대 초반, 당시 서울대 수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었던 황우석 박사는 줄기세포 관련 연구로 전 국민적인 기대와 관심을 한 몸에 받는 소위 스타 과학자로 급부상하였는데, 이 같은 황우석 개인의 급부상은 수의학 및 수의대의 국민적 인식과 정부의 지원까지 완전히 탈바꿈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즉 황우석 교수의 인기는 수의학 및 수의대의 인식 및 위상까지 동반상승시켰으며, 정부에서도 황우석 박사 연구실을 중심으로 하여 수의대 내 관련 연구실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었다. 하지만 2005년도 말 황우석 박사의 연구가 과장(OR 사기?)임이 드러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황우석 박사 개인이 몰락하게 되었고, 더불어 2000년대 초중반 절정에 달했던 수의학 및 수의대에 대한 관심도 황우석 사태 이후 많이 사그러들게 되었다. 이상에서 보듯이 좀 심하게 말하자면 2000년대 수의대의 역사는 황우석의 개인의 부침과 함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5 국내 수의과대학 목록 (가나다순)

참고로 이상에서 보다시피 2015년 현재 수의대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은 건국대학교를 제외하면 전부 지거국이다.
  1. 자세한 사항은 각 학교 사무실에 문의해보자.
  2. 단, 학교에 따라 분자생물학-세포생물학-유전학을 1~2개의 과목으로 합쳐서 운영 가능.
  3. 조류질병학, 돼지질병학을 후수 과목으로 배우기도 한다.
  4. 수의생리학, 수의약리학, 수의해부학, 수의병리학, 수의전염병학, 수의공중보건학, 수의외과학, 수의내과학, 수의산과학, 수의법규 각 과목 당 40문제
  5. 고로 평락 점수는 210점
  6. 수의사법』『가축전염병예방법』『축산물위생관리법』『동물보호법』『동물약품 관련 법령』등이 포함된다.
  7. 축산학은 지엽적이지 않은 2~3 문제 정도 출제된다. 대학에 따라 축산학을 다루지 않는 경우도 있기에, 흔히 국시 범위로 칭하는 20개 과목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8. 웃기는건 의학이 관련된 전문대 학과조차 직접특기로 인정된다. 어차피 예과때 가면 의대던 지방 전문대건 배운거 못써먹는다. 아니 그냥 배우는게 없다. 수능성적 좋은애들이 조금 더 빨리 외우긴 하겠지만서도.
  9. 수의병과장 曰 우리가 맘에드는 사람 뽑아가는 것.
  10. 하지만 공중방역수의사도 TO가 1명인 울릉도에 가게 되면 대략 난감...이지만 울릉도는 아직까지는 모두 지원(?!)해서 갔다.
  11. 당시 서울대학교 같은 경우에는 아예 농대가 관악캠퍼스가 설치돼 있지 않고, 수원 캠퍼스에 있었던 터라 수의학과 역시 수원 캠퍼스에 위치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