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Perk

1 개요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목록.

2 상세

퍽을 얻기 위해서는 레벨 업을 해야하며, 레벨이 올라갈 때마다 매지카/체력/지구력 강화가 가능하고, 퍽 선택 포인트 하나씩 얻는다. 각 스킬의 레벨이 오를 수록 기본적인 스킬의 효과들이 좋아지며, 캐릭터 레벨에 주는 경험치도 많아진다.

  • 무기 스킬의 경우, 경험치는 오로지 무기의 기본 공격력과 공격횟수에 비례한다[1]. 따라서 기본 DPS가 높은 무기일수록 스킬을 쭉쭉 올려준다. 반대로, 제련이나 인챈트, 퍽이나 스킬, 물약 등의 효과는 계산에서 제외되는 동시에 공격력을 강화시켜 상대적으로 덜 때려도 적이 죽게 만들기 때문에, 좋은 무기나 이른 퍽 투자는 무기 스킬의 성장을 더디게 만드므로 적절한 시기에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워어택 역시 추가 경험치를 주지 않으며, 은신 중 타격도 무기 스킬을 올려주긴 하지만 일반 타격과 경험치는 동일. 양손에 한 손 무기를 각각 한 개 씩 든 경우, 각각의 타격이 따로 경험치를 주기 때문에 파워 어택 시 다수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는 점을 노려 빠르게 경험치를 쌓을 수 있다. 따라서 빠르게 자주 때릴 수 있는 한손무기가 더 빠르게 성장하는 편이며, 파워어택으로 한 방에 죽이는 걸 선호하는 양손무기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더디게 느껴진다.
  • 방어구 스킬의 경우 경험치 증가가 조금 특이한데, 감소되기 전의 대미지에 비례해서 올라간다. 적이 원래 100의 공격력으로 공격한 거라면 현재 자신의 방어수치에 따라 50의 피해를 받았든 100의 피해를 다 받았든 경험치는 동일하다. 즉, 무기와는 달리 좋은 방어구와 퍽의 효과로 입는 피해를 줄일수록 더 편하게 올릴 수 있다. 적이 파워 어택 등을 하는 경우 데미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경험치도 증가한다. 적의 공격횟수는 따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2], 한 방에 죽지 않을 정도만 되면 자이언트를 상대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쉽게 방어구 스킬을 올리는 방법. 한 방에 안 죽기가 어려울 뿐 또한, 투구/갑옷/손목/신발에 각각 몇 개의 경갑/중갑 방어구를 착용했는지에 따라 경갑/중갑 스킬의 경험치가 달라지며(방패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천옷이나 로브 종류는 갑옷으로 계산하지 않아 경험치를 주지 않는다.
  • 방어 스킬은 방어구 스킬과 같지만 배시 타격으로도 경험치가 오르며,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우 방패나 방어구 종류에 상관없이 오로지 방어스킬만 오르고 방어구 스킬은 전혀 오르지 않으니 주의. 활이나 쇠뇌 우클릭으로 근접 공격을 하는 것도 배시로 인정되나 방패 배시보다 양이 적다.
  • 화술 스킬의 경우 NPC간의 거래/협박/설득 횟수에 비례한다. 올리기가 힘든 편으로 설득/협박 대화문을 띄울 수 있는 경우가 지극히 한정되어 있어, 그 외의 수련은 물건을 사고 파는 식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이래서는 너무 느리다.
  • 마법 스킬의 경우 공통적으로는 인챈트 등으로 감소되기 전, 주문에 기본으로 정해져 있는 소모 매지카 양에 비례하며 추가로 마법의 종류에 따라 이하에 비례하여 경험치를 받는다.
변이사용 횟수, 해당 마법에 영향을 받는 오브젝트의 개수
소환소환 횟수, 소환물이나 부활한 시체의 공격 횟수, 소환한 무기로 주는 DPS
파괴해당 마법으로 주는 대미지
환영사용 횟수, 해당 마법에 영향을 받는 오브젝트의 개수
회복사용 횟수, 회복량
  • 자물쇠따기의 경우 해체한 함정 및 상자와 그 난이도에 비례해서 경험치를 주고, 실패해서 락픽을 부러뜨린 경우 해체 난이도 관계없이 고정치의 경험치를 준다.
  • 제련이나 연금술의 경우 생산한 물품의 가치에 비례하며, 가죽 무두질하거나 무두질한 가죽을 가죽 끈으로 만드는 것, 광석을 주괴로 만드는 것은 경험치를 주지 않는다.
  • 마법부여의 경우 마법추출과 부여 횟수에만 비례한다. 또한 마법부여의 경우 무기의 소모된 인챈트 용량을 소울젬으로 재충전하는 것으로도 올라가는데, 소울젬의 크기에 따라 경험치가 늘어나긴 하지만 실제로 충전된 인챈트량이 얼마인지는 따지지 않기 때문에 소울젬이 풍족하거나 아주라의 별, 블랙 스타 등이 있는 경우 무기 인챈트가 1이라도 소모될 때마다 충전을 반복하면 쉽게 올릴 수 있다.
  • 늑대인간과 뱀파이어 스킬은 캐릭터 레벨업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별도로 시체먹기나 흡혈로 올라간다.

드래곤본 DLC에선 미락을 죽인후, 검은책 '백일몽'을 다시 읽으면 미락과의 마지막 전투 장소로 가게 되는데, 드래곤 영혼 1개를 비용으로 원하는 스킬 하나의 퍽을 초기화할 수 있다. 사실상 최종 보상. 대장 마부 연금으로 필요한 작업만 다 해두고 싹 리셋해서 전투에 몰빵하는 식으로, 보다 효율적인 퍽 트리 운영이 가능하다.

2.1 전설화

숙련도 100을 찍은 스킬은 스킬창에서 PC판 기준으로 스페이스를 눌러 초기화시킬 수 있는데, 이를 전설화(Legendary)라고 하며, 이것을 거친 스킬을 전설적 스킬(Legendary Skill)이라고 한다. 전설화가 되면 스킬 트리의 레벨이 15로 되돌아 가고 옆에 드래곤본 문양이 새겨지고 전설화 횟수가 표시된다. 보통 주력 전투 스킬은 숙련도가 빠르게 성장하므로, 최신버전 기준으로는 100을 찍을 때마다 전설화를 해서 더디게 오르는 스킬 (ex) 연금술, 제련 등) 에 퍽 포인트를 공급해 주어야 전설 난이도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균형있는 캐릭터 성장을 빨리 이룰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택할 때 전설화 직후에 필연적으로 화력의 공백이 생기므로, 주력 전투 스킬은 최소 2가지를 생각하고 있어야 하며 든든한 동료와 함께 다니는 것도 좋다.

3 전사(Warrior) 계열

치명타 관련 옵션들은 최종 데미지에 2배를 해주는 것이 아니고 무기의 기본 데미지(base damage)에 2배를 해주기 때문에 초반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나중엔 체감하기 힘든 효과이다. 퍽을 아끼기 위해서는 과감히 크리티컬 스트라이크 관련 퍽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전략.

공격계 스킬은 때려서 수련하는 방식이라 스킬 수련이 가장 정직하다. 물론 가장 쉬울 수도 있지만 가장 귀찮기도 하다. 편법이랄게 없는데다 때려야 하는 적이 최우선 선결조건이므로 이리저리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 수련치의 증가율은 오로지 적에게 입힌 무기 자체의 피해량에만 영향를 받는다.

3.1 궁술 (Archery)

  • Overdraw(활시위 당기기)(0/20/40/60/80) /5랭크 - 활의 데미지를 20%씩 증가시킨다. 이후 1랭크마다 20%씩 누적된다. 5랭크 모두 찍으면 2배의 데미지.
  • Eagle Eye(매의 눈)(30) - 궁술의 스킬레벨 30, Overdraw - 조준 중에 방어버튼(기본설정키: 마우스 오른쪽 버튼)를 누르면 시야가 줌인된다. 줌인중에는 스테미나가 소모된다. (선행: Overdraw) 이글은 독수리인데... 이게 다 어크 발번역 때문이다.
  • Critical Shot(급소 공격)(30/60/90) - /3랭크 - 치명타 시 10%의 확률로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이후 1랭크마다 5%씩 확률 증가, 3랭크시 20% 확률 (선행: Overdraw)
  • Steady Hand(안정적 손놀림)(40/60) - /2랭크, 궁술의 스킬레벨 40, Eagle Eye - Eagle Eye로 줌인을 했을 때, 주변의 시간의 흐름이 25% 감소한다. 소위 말하는 불릿타임, 그거 맞다. 2랭크 시 50% 감속 (선행: Eagle Eye)
  • Power Shot(강력한 일발)(50) - 가장 큰 몬스터(예시: 자이언트, 매머드)들을 제외하고 화살에 맞은 적을 50%의 확률로 휘청거리게 만든다. 줌인시 불릿타임을 선사해주는 바로 위의 스테디 핸드 퍽과 함께, 근접전의 무리수를 던져볼 수 있게 해주는 퍽. 던가드에서 추가된 쇠뇌는 기본적으로 50% 넉백이 붙어있으니 합치면 75%의 확률로 경직을 띄울 수 있다. (선행: Eagle Eye)
  • Hunter's Discipline(사냥꾼 수련)(50) - Critical Shot - 죽은 시체로부터 화살을 더 많이 회수할 수 있다. 찍건 말건 별로 상관없지만, 이 퍽은 바로 아래의 퍽을 찍기 위해 반드시 찍어야 되는데, 이 아래 퍽의 옵션이... (선행: Critical Shot)
  • Ranger(순찰자)(60) - 활시위를 당긴 상태에서도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가장 유용한 퍽들 중 하나. (선행: Hunter's Discipline)
  • Quick Shot(빠른 발사)(70) - 활시위를 30% 더 빠르게 당긴다. (선행: Power Shot)
  • Bullseye(정조준)(100) - 대상을 15%의 확률로 몇초간 마비시킨다. (선행: Quick Shot, Ranger)

블록 스킬의 퀵 리플렉스와 더불어 불릿타임을 연상케하는 퍽이 있다. 장거리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스닉 어택이 수월해져 로그계열 플레이어들이 많이 선택한다.

버릴 퍽이 거의 없다. 활의 기본 데미지를 뻥튀기시켜 주는 기본 퍽부터 시작해서, 줌인을 시켜주는 퍽에, 줌인을 하는 동안 불릿타임을 주고, 화살에 넉백을 부여하다 못해 최종 퍽은 확률적이지만 아예 마비까지 걸어버린다. 살짝 모자란 연사력은 숙련도 70의 퀵샷 퍽이 해결해 주고, 활시위를 당기는 동안의 답답한 움직임은 레인저 퍽이 해소해 준다. 화살 자체는 구하기 쉬우므로 시체에서 줍는 화살을 2배로 늘려주는 퍽이 좀 애매한 편.

다만 아무리 좋은 퍽으로 가득 차 있더라도 근접전 위주의 플레이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전투 시스템상 활을 전면전에 쓰기에는 벅차다. 소수 상대나 은신에서만 유용하지만 난이도가 높아져서 높은 등급의 적 한두마리만 섞여있어도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간다. 정 전면전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소환마법과 추종자로 탱킹을 시키고 뒤에서 보조하는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다. 전면전 위주로 쓰기보다는 멀리 있는 적에게 선빵을 놓고 시작할 때 혹은 스닉 플레이에 적극 이용하자. 아니면 보조 무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무기 참조.

퀵 샷(리로드 30% 단축)과 던가드 추가 유니크 활인 제피르(역시 리로드 30% 단축)를 적극 이용해보자. 제피르는 드웨머 재질 무기이므로 강화 자체도 쉽고 전설급일 경우에는 데이드릭보다 DPS가 뛰어난 활이다. 그외 DPS 무기로 아우리엘의 활이 있는데, 이 쪽도 제피르와 공속이 같다. 여기에 퀵샷이 더해지면 리로드시간이 체감상 절반으로 줄어버리니 활을 이용한 블록어택[3]과 포효를 짬짬이 섞어주며 적극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단, 이 경우에는 아차 하면 골로 가니 중갑에다 소음제거 퍽을 바르고 머플 인챈을 바르는 등 수고는 좀 해야 할 듯. 다만 퀵 샷 퍽을 쓰면 가끔 활을 최대로 당겨도 화살이 중간까지만 날아가는 버그가 있다.

마지막으로 Bullseye. 이 퍽은 화살에 맞은 대상을 마비시키는 것이 아니라, 화살발사와 동시에 해당 대상에게 보이지 않는 마비주문을 쏘는 것이다. 문제는 마법은 직선으로 날아가고, 화살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기 때문에, 화살이 닿기도 전에 마비마법이 대상을 눕혀 오히려 화살이 빗나가는 상황이 생긴다.(...) 가까운 적에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멀리서 저격하다 보면 화살은 맞지도 않고 마비 주문 맞고 누워버리는 적을 보면 황당할 것이다. 애초에 저격중이면 원거리일텐데 적이 안 죽고 벌렁 드러누워버리면 사실상 은엄폐 한거랑 마찬가지다. 이쪽이 높은 고도에 있다면 모를까 평지거나 저지대에 있다면 후속타는 절대 안맞는다고 보면 된다. 은신 저격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안 찍는게 낫다.사실 마비 효과 퍽 중에 궁술 마비가 가장 쓰기 쉽다.

다른 무예관련 퍽도 마찬가지지만, 마비효과를 주는 최종 퍽을 찍느니 그냥 무기에 마비 인챈트를 바르는 것이 몇 배는 효과적이다. 단 1초짜리 인챈트만 발라줘도 마비효과가 터지기만 하면 어쨌든 맞은 놈은 한번 드러누운 다음에 밍기적거리면서 일어나야만 하므로, 말이 1초지 사실상 누웠다가 일어나는 모션이 재생되는 그 몇 초 동안 공짜로 실컷 두들겨 팰 수 있게 된다. 기껏 일어났는데 마비효과가 또 터져서 다시 드러눕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스급 적이라도 아무것도 못 하다가 골로 가게 된다. 게다가 인챈트로 발사되는 마비는 위에서 설명된 퍽 효과와는 달리 온힛으로 발동되므로, 불스아이 퍽을 찍었을 때 염려되는 활 저격이 실패하는 경우도 없다. 마비 면역이 없는 인간형 적들을 상대로 사용해 보면 사실상 사기.

던가드 추가 무기인 쇠뇌 역시 퀵샷 등의 퍽이 적용되며, 재장전 시간이 단축된다. 게다가 파워샷퍽+쇠뇌자체의 숨겨진 효과로 휘청거림에 대한 저항이 없는 적은 75%의 확률로 휘청거리게 만드므로 주무기로 쓰기 편하다.

3.2 방어 (Block)

  • Shield Wall(방벽)(0/20/40/60/80) - "5랭크 - 방어의 효율이 20% 증가한다. 이후 랭크당 5%씩 증가. 5랭크시 40%의 효과.
  • Deflect Arrows(화살 회피)(30) - 화살을 방패로 방어 시 데미지를 완벽히 무시한다. 활이 무진장 아파진 스카이림에서 방패를 든 전사의 생존성을 대폭 올려주는 완소 퍽이지만, 명시해 놨다시피 아쉽게도 방패를 들었을 시에만 적용된다. 그리고 방패 이외의 다른 데에 맞으면 데미지가 완벽히 무시되지는 않으니 조심.[4] DLC Dragonborn에 등장하는 드워븐 발리스타의 쇠뇌살은 특수 효과로 아예 관통을 해 버리기 때문에 방패로도 막을 수 없다![5] (선행: Shield Wall)
  • Quick Reflexes(뛰어난 반사 신경)(30) - 상대방이 파워 어택시 방어하고 있으면 주변의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 활 트리의 스테디 핸드 퍽과 성능이 비슷하다. 적의 강타에 반격할 시간을 벌어준다. 양손무기 전사에게도 적용되니 이건 꼭 찍자. 아 물론 방어동작 자체가 없는 쌍수 전사들은 얄짤없지만 (선행: Shield Wall)
  • Power Bash(강타)(30) - 파워 배쉬가 사용가능하다. 방어 동작 도중 공격을 하면 공격하던 적을 밀쳐내 비틀거리게 하는 공격이 나가는데, 이 공격의 파워어택 버전. 양손 무기도 동작이 어정쩡하지만 어쨌건방어중 카운터가 되기 때문에 얼마든지 이 퍽을 쓸 수 있다. (선행: Shield Wall)
  • Elemental Protection(원소 방어)(50) - 방패로 방어 시 화염, 냉기, 전격의 데미지가 50% 감소한다. 명기해 놨다시피 또 방패 전용이다. 방패 스킬을 어느 정도 찍고 이걸 찍으면 드래곤 브레스도 선풍기 바람이 된다. 양손전사들, 힘내시라. (선행: Deflect Arrows)
  • Deadly Bash(치명적 강타)(50) - 파워 배쉬 공격시 5배의 데미지를 입힌다. 소소한 딜링 증가.(선행: Power Bash)
  • Block Runner(견제 주자)(70) - 방어 상태에서도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양손검 방어 상태에서도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양손전사들에게는 이만한 계륵이 없다. (선행: Elemental Protection)
  • Disarming Bash(무장해제 강타)(70) - 파워 배쉬 시전시 상대방을 무장해제시킬 수 있다. 양손전사 역시 사용가능한 완소 퍽. 형편이 되면 찍어주자. 양손무기 플레이어가 상대적으로 쓸 만한 기술이 없는 반면에, 몹이 양손무기를 쓰면 굉장히 위협적이므로아 물론 당신이 바로 아래에 적혀 있는 퍽을 찍고 방패를 들었다면야 들이박아버리면 그만 이걸로 무기를 날려버리자. (선행: Deadly Bash)
  • Shield Charge(방패 돌격)(100) - 스카이림 최강최흉의 캐사기 퍽. 방패를 들고 돌진하여 상대를 넉아웃시킬 수 있다. 방패만 가능한 기술이지만, 양손무기도 꼼수를 이용하면 순간적으로나마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 적혀 있으니 보시라.(선행: Block Runner, Disarming Bash)

공격이 강하면 강할수록 잘 오르니 필드에 막 널려있고 단타 공격이 겁나게 아프지만 뛰어서 달아나면 못쫓아오는 거인이 가장 좋은 수련대상일듯. 단, 블록 강타도 방어로 들어간다. 꼭 방패치기만 해당이 아니라, 양손무기로 방어후 밀어치는거나 활/석궁으로 후려치는 것도 해당.

Block 계열의 퍽들은 최초 퍽부터 시작해 양쪽으로 트리가 갈라져 올라가다가 최종 퍽에서 다시 합쳐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왼쪽 트리는 방패의 방어 성능에 관련된 퍽이고, 오른쪽 트리는 방어 중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나가는 배쉬 공격에 관련된 퍽이다. 이 중에서 오른쪽 트리의 방어 중 공격 관련 퍽은 방패 뿐만이 아닌 한손무기(무기를 들고 다른 손에 아무 것도 들지 않는 경우)나 양손무기 착용시의 방어동작에서도 적용이 되므로, 양손무기를 쓰는 전사라도 충분히 찍을 가치가 있는 좋은 퍽들이다. 단, 왼쪽으로 올라가는 방어성능 관련 퍽들은 대부분 방패에만 적용된다. 왼쪽 퍽 중 유일하게 양손무기 방어에도 적용되는 퍽은 블록 러너.[6] 덧붙여, 한손무기 두 자루를 착용하는 쌍수 전사는 방어동작이 없으므로 방어 퍽을 찍어도 효과를 전혀 못 보니 조심하자.

사족으로 스카이림에서의 방패는 효율이 너무 좋아서 전사는 그렇다 쳐도, 도적계열도 방패, 법사계열도 방패를 사용하는 플레이담이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 올라오고 있다. 방어 계열의 퍽을 끝까지 찍을 경우 흉악한 돌격전사가 된다. 방패를 올리고 적들에게 우두두두 달려가는 순간...흡사 킬러ㅈ...
최흉의 최종 퍽과 더불어 Disarming Bash도 사기다 못해 치트수준으로, 난이도 급갑의 주 원인. 플레이어가 해제시킨 무기를 다 먹어버리면 구석으로 가서 벌벌 떨다가 곧 무기를 찾으러 던전의 끝이나 어딘가 저편으로 달려가는 비범한 AI를 볼 수 있다. 일부 먹히지 않는 적도 있다(소환수나 이벤트형 적 등). 참고로 소환계열 마스터 주문 퀘스트에서 이벤트로 소환하는 데이드라에게는 먹히는데 인챈트가 빵빵하게 된 에보니 무기를 종종 얻을 수 있다(…).

최종 퍽인 쉴드 차지는 기본적으로 방패로만 가능하지만, 약간의 버그와 꼼수를 이용한다면, 양손무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커맨드까지 적어놨다. 이것이 본격 투핸디드 챠지!!!!철산고

다만 방어 퍽도 버그가 몇개 있는데 퀵 리플렉스드는 파워어택을 피해버리면 가끔 시간이 느려진 상태가 유지되어버리는데 이것을 풀려면 다시 적이 파워어택을 해서 맞거나 오랜 시간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7] 다만 이 효과가 발동하면 다대다 난전도 순식간에 처리할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느려진 상태에서는 대기도 루팅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귀찮아지는것은 감수해야 할것이다. 해당 버그를 고쳐주는 모드들도 있으니 찾아서 깔자.

실드 차지는 가끔씩 이게 발동이 안 되는 버그와 무한 실드차지[8] 버그가 있다. 발동이 안 되는 버그일경우에는 pc판의 경우에는 콘솔로 퍽을 지웠다 다시 생성시켜주면 되지만 다른 기종은 세이브를 로딩할수밖에..무한 실드차지는 그냥 세이브를 로딩해야 한다.

방어 관련 퍽이 찍혀 있는 리디아와 같은 동료를 착실히 데려다니면서 검방전사로 키웠을 경우, 왜 스카이림의 방패가 사기인지를 여실히 체감하게 된다. 좁은 던전과 같은 데서는 장판파가 따로 없다.

3.3 중갑 (Heavy Armor)

  • Juggernaut(돌격병) (0/20/40/60/80) 5랭크 - 중장갑옷의 방어율이 20% 증가한다. 이후 랭크당 20%씩 추가, 5랭크시 2배의 방어력.
  • Fists of Steel(강철 주먹) (30) - 중장갑옷의 건틀렛을 끼고 맨손공격시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선행: Juggernaut)
  • Well Fitted(어울림) (30) - 모든 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중갑 착용시 25%의 아머 보너스를 받는다. (선행: Juggernaut)
  • Cushioned(충격 흡수) (50) - 모든 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중갑 착용시 낙하에 의한 데미지를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선행: Fists of Steel)
  • Tower of Strength(흔들림 없는 자) (50) - 중장갑옷 착용시에만 휘청거릴 확률 50% 감소. (선행: Well Fitted)
  • Conditioning(익숙함) (70) - 착용한 중갑의 무게가 나가지 않고 이동 속도가 감소[9]하지 않는다. (선행: Cushioned)
  • Matching Set(깔맞춤) (70) - 같은 재질의 중갑 세트로 맞춰 무장했을 시 25%의 방어 보너스를 받는다. 전신을 에보니 세트로 다 맞춰 입거나, 드워븐 세트로 다 맞춰 입거나. 다른 부위는 다 데이드릭인데 뚜껑만 에보니면 안 된다. (선행: Tower of Strength)
  • Reflect Blows(반사 공격) (100) - 모든 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중갑 착용시 10% 확률로 근접 공격의 데미지를 적에게 반사한다. (선행: Matching Set)

맨손 관련 퍽이 유일하게 하나 있는게 특징. 하지만 제대로 써먹기는 힘든데, 건틀릿의 기본 방어력만큼의 데미지를 추가로 주는 것. 기본 방어력이다. 강화 이후의 수치는 추가로 계산되지 않는다.

장비한 갑옷의 무게를 없에주는 퍽은 경갑에도 있지만 이쪽은 무게가 무거운 중갑이므로 효율이 더욱 좋다. 게다가 달릴시의 지구력 소모 페널티도 사라진다.

어째 경갑에 비해 잉여로운 퍽이 좀 많은 느낌이지만, 스미싱에 손대지 않는 한 데미지 감소율이 훨씬 더 높고, 대부분의 유니크 아이템, 팩션 유니폼들이 중갑이라는 점이나 상술판 퍽들을 조합해 보면 결과적으로 봤을 때 중갑 퍽도 유용하다. 산맥이 많은 스카이림에서 추락데미지 반감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투자해도 티는 안나지만, 고렙때 포효맞고 추락했을 경우 가슴을 쓸어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을 것이다. 또 하나 티가 잘 안나는건 Tower of Strength퍽. 방패전사라면 파워어택 맞고 비틀거리다가 방패 못들어서 몇대 더 맞는 경우를 줄여주고, 메인퀘 도중에 얻는 기술로 75% 까지 상승 가능하니 나쁘지는 않은 퍽이다. 특히 양손무기는 비틀거림 효과에 걸리면 DPS가 심하게 낮아지니 양손검사에게는 꽤 좋은 선택. 더구나 중갑전사는 강철의 주먹(Fist of steel)의 효과로 주먹싸움에서는 상당히 유리하다![10]

반사 퍽은 스카이림에서 손꼽히는 쓰레기 퍽인데, 전작의 마법 반사나 마법 흡수와는 달리 작동해도 피해량 감소는 전혀 없고, 정작 반사하는 피해는 피해량 감소 후의 수치를 되돌려준다. 예컨대 게임상에서 가장 강한 1회성 근접공격은 전설적 드래곤의 물기 300pts(쉬운 계산을 위해 드래곤 전용 퍽 제외, 실제로는 Fortify unarmed와 몹 전용 Augment로 훨씬 강하다.)인데, 방어도 567(=80%감소)인 도바킨이 여기에 맞아서 반사가 발동하면 300pts를 그대로 맞으면서 되돌려주는 피해량은 60pts인데, 드래곤은 상시 50%피해감소가 적용되므로 돌려주는 피해량은 총합 30pts이다. 여기서 전설적 드래곤의 체력은 4363이므로 1%의 체력도 못 깎는 셈이다. 물론 이는 난이도 보정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반면 같은 위치에 있는 경갑의 회피는 같은 확률(사실은 버그로 발동률이 11%이므로 발동률조차 1%높다.)로 발동하면서 데미지 감소율은 당연히 100%이다. 이렇듯 쓰레기 퍽이니 퍽 포인트를 주체할수 없을 때나 찍자.

제련술에 퍽을 투자할 경우 Juggernaut는 1포만 찍어도 상관없다. 다른 스킬들과 달리 상위 퍽중에 방어력을 올려주는 퍽이 워낙 많기 때문. 물론 고난이도에선 좀 올려놔야 초중반이 편하고, 드래곤본 dlc에서 퍽을 리셋할 방법이 생겼으니 선택은 자유.

Well Fitted 나 Matching Set 의 경우, 투구/갑옷/손목/신발이 조건을 만족하면 모든 방어율을 올린다. 즉, 방패를 낀 경우라면 방패의 종류가 뭐던지 간에 관계없이[11] 투구/갑옷/손목/신발만 Well Fitted 나 Matching Set의 조건을 만족하면 방패의 방어력까지 같이 올라간다. 이는 같은 조건을 가진 경갑퍽에서도 동일하다. 이를 버그로 보기도 한다.

3.4 한손무기(One Handed)

  • Armsman (무장전사)(0/20/40/60/80)5랭크 - 한손 무기 사용시 데미지가 20% 증가한다. 이후 1랭크당 20%씩 증가. 5랭크시 데미지 2배.
  • Fighting Stance (전투 태세) (20) - 한손 무기로 파워 어택시 스태미나의 소모율 25% 감소. (선행: Armsman)
  • Hack and Slash (마구 찢기) (30/60/90)/3랭크 - 도끼로 공격시 추가 출혈 데미지를 입힌다. 이후 랭크당 출혈 데미지 증가. (선행: Armsman)
  • Bone Breaker (뼈 박살내기) (30/60/90)/3랭크 - 메이스로 공격시 적의 방어력을 25%를 무시한다. 이후 랭크당 25%씩 증가. 3랭크시 방어력 75% 무시. (선행: Armsman)
  • Bladesman (검사) (30/60/90)/3랭크 - 검으로 공격시 치명타를 입힐 확률이 10% 증가한다. 이후 랭크당 5%씩 증가. 3랭크시 20% 확률로 치명타. (선행: Armsman)
  • Dual Flurry (이중 난무) (30/50)/"2랭크 - 쌍수로 한손 무기를 각각 들고 공격시 20% 더 빠르게 공격한다. 2랭크시 35% 더 빠르게 공격. (선행: Armsman)
  • Savage Strike (잔혹한 일격) (50) - 제자리에서 파워어택시 25%의 추가 데미지를 입히고, Killcam에 참수 모션을 추가해준다. 참수 동작은 적이 일격에 죽는 체력 + 주위에 다른 적이 없을 것(즉 난전중이라면 마지막 남은 적) + 머리를 조준하여 클릭할 것을 만족하면 나온다.(선행: Fighting Stance) 은신이나 쌍수도 모두 적용된다.
  • Critical Charge (치명적인 돌진) (50) - 달리는 도중에 파워어택이 가능해지며 공격시 2배의 치명타 데미지를 입힌다. (선행: Fighting Stance)
  • Dual Savagery (두 배의 맹습) (70) - 쌍수로 사용하는 파워어택의 데미지가 50%증가한다. (선행: Dual Flurry)
  • Paralyzing Strike (마비의 일격) (100) - 후진하면서 파워 어택시 25% 확률로 마비시킬 수 있다. (선행: Savage Strike, Critical Charge)

쌍수무기 관련 퍽들이 있는 게 특징. 쌍수무기를 장비하고 왼손 오른손 공격을 동시에 하면 쌍수무기 특유의 공격이 발동된다. 사실상 쌍수 이용의 의의 중 하나. Dual Savagery 퍽을 찍으면 그렇잖아도 쏠쏠하던 딜이 더욱 강해진다.

스태미너 부족에 허덕이고 싶지 않다면 Fighting Stance도 좋은 선택이고, 전투 중 마지막 적을 참수하고 싶다면 Savage Strike도 취향껏 찍으면 된다. 검방 스타일의 경우 후반부에는 거의 쓸모가 없기는 하지만 초반에 쉴드 차지 퍽을 찍기 전까지는 Critical Charge 퍽이 유용하게 쓰인다.

쌍수 관련 퍽들은 적용 조건과 효과가 꽤 복잡하고[12], 단검은 Armsman 외의 보너스를 거의 못 받으니[13] 퍽 찍기 전에 주의할 것. 단검 스닉의 15배 뻥튀기에 조금이나마 일조해 보려고 왼손에 한손검을 들고 쌍수 강타 데미지 증가 퍽을 찍는 경우도 보인다.[14][15]

추가로, Hack and Slash 퍽의 출혈의 경우 데미지는 퍽의 레벨과 무기의 재료에만 영향을 받는다. 자세한 수치는 다음과 같다.
(재료 : 퍽 1의 경우 초당 데미지*지속시간, 2의 경우 초당 데미지*지속시간, 3의 경우 초당 데미지*지속시간)

철 : 1*3, 1*4, 1*5
강철 : 1*3, 1*5, 1*6
드워븐 : 1*5, 1*7, 2*4
오키쉬 : 1*4, 1*6, 2*8
에보니 : 2*5, 2*6, 3*5
데이드릭 : 2*6, 2*7, 3*6
드래곤 : 2*6, 2.5*6, 3*6
엘븐 : 1*6, 2*4, 2*5
글래스 : 2*4, 2*5, 3*4

출혈효과는 중첩이 불가능하며, 공격이 적중할 시마다 지속시간이 초기화된다. 당연하지만 출혈효과는 생명체에게만 적용된다.

3.5 양손무기 (Two Handed)

  • Barbarian(야만전사)(0/20/40/60/80)/5랭크 - 양손 무기 사용시 데미지가 20% 증가한다. 이후 랭크당 20%씩 데미지 증가. 5랭크시 데미지 2배.
  • Champion's Stance(용사의 태세)(20) - 양손 무기로 파워 어택시 스태미너 소모율 25% 감소. (선행: Barbarian)
  • Limbsplitter(찢어발기기)(30/60/90)/3랭크 - 배틀엑스로 공격시 출혈 데미지를 추가로 입힌다. 이후 랭크당 출혈 데미지 상승 (선행: Barbarian)
  • Deep Wounds(치명상)(30/60/90)/3랭크 - 대검으로 공격시 10% 확률로 치명타를 입힌다. 이후 랭크당 5%씩 증가. 3랭크시 20% 확률 (선행: Barbarian)
  • Skull Crusher(두개골 부수기)(30/60/90)/3랭크 - 워해머로 공격시 방어률의 25%를 무시한다. 이후 랭크당 25%씩 증가. 3랭크시 방어률 75%를 무시 (선행: Barbarian)
  • Devastating Blow(엄청난 일격)(50) - 제자리에서 파워 어택 시 25%의 데미지 보너스를 입히며 상대방을 참수시킬 수 있다. (선행: Champion's Stance)
  • Great Critical Charge(강력한 급소 돌진)(50) - 달리면서 양손 무기로 파워어택을 할 수 있으며 성공시 2배의 치명타 데미지를 입힌다. (선행: Champion's Stance)
  • Sweep(싹쓸이)(70) - 양손 무기를 들고 측방에서 파워 어택시 전방의 모든 적에게 데미지를 입힌다. (선행: Devastating Blow, Great Critical Charge)
  • Warmaster(전장의 주인)(100) - 후진하면서 파워 어택시 25%의 확률로 상대방을 마비시킨다. (선행: Sweep)

한손검과 마찬가지로 때려가며 수련해야 하는 스킬. 양손무기는 애초에 은신크리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낭패를 볼 일은 거의 없다. 한손검방이나 은신궁수부터 시작해서 레벨링하다보니 뒤늦은 양손을 올리기가 힘든 경우도 왕왕 있다. 이럴 때는 에보니 블레이드를 추천.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해보면 알겠지만 무한 피채우기 옵션이 붙어있는데 공속은 한손검인 물건이다. 물론 제대로 쓰려면 npc 10명분의 목숨을 갈아넣어야 하지만 별다른 컨트롤 없이 얻어맞아가며 그 어떤 어느정도 생존이 보장되는 물건이라서 갑옷류 수련하고도 궁합이 좋다. 다만 경갑은 에보니 블레이드의 흡혈속도를 따라가기 힘든 편이니 중갑옷 수련을 추천.

최종 단계인 워마스터는 양손무기의 긴 리치 때문에 효율이 좋은 편이다. 한손무기는 짧아서 후방 파워어택이 빗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양손무기는 적당히 휘둘러도 적들에게 거의 무조건 명중하기 때문이다. 마비 확률도 나쁘지 않은 편이고, 이 퍽의 효과는 설명과는 달리 한손 스킬의 2초 마비와 달리 넉다운 효과(윈드시어에 얻어맞고 헐떡이는걸 떠올리면 된다.)이기 때문에 마비 저항인 적들에게도 통하므로 때문에 방패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이익을 충분히 상쇄할 만 하다.[16]

양손무기는 주로 Sweep을 이용한 다수 공격과 배쉬를 이용한 카운터 어택이 공격의 주가 되기 때문에 파워어택이 한 번 빗나가면 스태미나가 상당히 빠듯해진다. 한손과 마찬가지로 무기특화 퍽은 다 찍을 필요 없다. 취향대로 하나만 선택하자.

사족으로 관련 퍽을 찍고서 단거리 스프린팅 어택에 숙달되면 닥치고 둔기쪽에 투자해서 한 방을 노릴 수도 있다. 일반 둔기론 공속이 떨어져서 쓰기가 애매하니 볼렌드렁을 통해서 일격을 날린 뒤에 무한 파워어택으로 적을 저승으로 보내주자.

3.6 단조기술 (Smithing)

  • Steel Smithing(강철 단조)(20) - Steel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군. Bonemold(뼈다귀) 중갑 방어구 제조 가능.
앞으로 배울 단조 기술의 시초가 된다.
  • Elven Smithing(엘븐 장비 단조)(30) - Elven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경갑군. (선행: Steel Smithing) Chitin(키틴) 경갑/중갑 방어구 제조 가능.
  • Dwarven Smithing(드워븐 장비 단조)(30) - Dwarven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군. (선행: Steel Smithing)
  • Advanced Armors(고급 단조)(50) - Scaled and Plate(미늘 & 판금) 방어구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경갑군. (선행: Elven Smithing) Nordic Carved(노르딕) 중갑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 Orcish Smithing(오키쉬 장비 단조)(50) - Orcish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군. (선행: Dwarven Smithing)
  • Arcane Blacksmith(비전 대장장이)(60) - 마법이 걸린 무기와 방어구 업그레이드 가능 (선행: Steel Smithing)
  • Glass Smithing(글래스 장비 단조)(70) - Glass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경갑군.(선행: Advanced Armors)
  • Ebony Smithing(에보니 장비 단조)(80) - Ebony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군. (선행: Orcish Smithing) Stalhrim(스탈림) 경갑 방어구와 무기
  • Daedric Smithing(데이드릭 장비 단조)(90) - Daedric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군. (선행: Ebony Smithing)
  • Dragon Smithing(드래곤 장비 단조)(100) - Dragon 방어구와 무기 제조 가능, 업그레이드 효율 증가. 중갑, 경갑군. (선행: Daedric Smithing 혹은 Glass Smithing 택일)

인챈트, 연금술과 동시에 본격 신이 되는 퍽. 다만 인챈트와 연금술은 몰라도 단조 퍽은 적 NPC들이 레벨링에 따라 각종 버프를 받는 스카이림 시스템 상에서는 사실상 필수 스킬이나 마찬가지다.[17]

위 퍽 소개에서는 '중갑군/경갑군'으로 나눠놨지만, DLC가 나온 이후로 의미가 조금 퇴색했다. 뒤에 붙은 볼드체 표기는 DLC가 확장되며 해당 퍽에서 추가로 제작이 가능한 물건들이다.

생산 및 강화 행위로 경험치를 얻게 된다. 1.5 패치 이전까지는 무쇠 단검을 만들든 데이드라 갑옷을 만들든 증가치는 동일하여 무쇠 단검만 줄창 만들면 금방 100을 찍을 수 있었으나, 1.5 패치 이후로는 생산된 물건의 가치에 따라 경험치를 받으므로 효율을 계산해서 적은 주괴로 많은 가치를 내는 물건을 만드는 게 유리하다. 일단 중갑 트리를 타서 데이드릭 단조까지 찍이면 나머지 10은 쉬운데 그 이유는 데이드릭 무구의 값이 엄청나서 무구와 활 같은 것들을 만들고 제련을 하면 그대로 95까지 경험치를 받기 때문. 물론 재료들이 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메이룬스 데이건 신전 파밍이나 나줄버 광산 파밍을 하지 않으면 재료가 딸린다.

숙련도 작업에는 드워프 유적에서 고철을 쓸어담아서 주괴로 만들고 드워븐 활을 마구 찍어내거나, 금·은괴와 보석을 싹싹 모아다가 한 번에 몰아서 장신구를 만드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가죽, 가죽끈, 괴 몇 개씩 들어가는 방어구나 무기에 비해 필요한 재료 종류와 수가 적어서 중간에 모자란 것 채우느라 흐름이 끊기는 일이 비교적 적다. 드워븐 활을 찍어낼 때는 철괴가 부족하지 않도록 계속 무기점과 대장간을 순회해야 한다.

돈을 최대한 덜 쓰고 수련하고 싶다면 정직하게 스카이림 전역의 광산을 순회해서 광물 모아 수련하는 수밖에 없다. 어느 지역에 어떤 광맥이 얼마나 많이 있는지 파악하고서 레벨에 맞춰 광물을 모으면 된다.

철 - 화이트런 멈춘 시냇가 야영지. 스카이림의 광산 중에서 철 광맥이 가장 많은 데다가 금속변환 마법책과 매머드 상아 등 건질 게 매우 많다.
월장석 - 리치 솔준드의 싱크홀. 마을과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접근성이 낮고 내부에 드라우그들이 비글바글해서 처하기도 귀찮기에 잘 가지 않는다.
드워프제 금속 - 므줄프트, 느츄안젤. 므줄프트는 윈터홀드 대학 퀘스트를 진행해야 열리므로 마르카스 지하 유적인 느츄안젤을 터는 것이 좋다. 몇 번이고 왕복해야 할 정도로 고철이 깔려 있으며 전부 모으면 주괴를 400개 넘게 얻을 수 있다. 이 정도면 스미싱 스킬 레벨을 30에서 90 가까이까지 올릴 수 있다. 잠금해제와 은신 스킬이 받쳐주면 마르카스 드웨머 박물관을 같이 털어주자.
오크제 금속 - 팔크리스 바일걸치 광산, 오크 요새 내의 광산들. 오크제 금속 장비는 드워븐 장비보다도 성능이 낮고 가격도 떨어지기에 수련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드워프제 금속 주괴가 떨어졌을 때나 어쩔 수 없이 찾는 정도.
수은 - 던스타 퀵실버 광산. 노르딕 장비의 재료이지만 강철 주괴가 주 재료이기 때문에 많이 필요하지는 않다.
공작석 - 이스트마치 카인즈그로브 뒷편 스팀스코치 광산. 경갑 테크를 탔다면 글래스 장비를 만들기 위해 한번 들러주자. 윈드헬름 남쪽에 있어서 접근성이 나쁘지 않다.
에보니 - 나줄버 글룸바운드 광산, 쇼어의 돌 레드밸리 광산(비공식 스카이림 패치 적용 시 노스윈드 광산), 레이븐락 광산. 레이븐락 광산은 퀘스트를 끝내야 에보니 광맥으로 가는 길이 열리기 때문에 초반에는 비추천.
금 - 리치 콜스케그 광산. 포스원을 처리하면 된다.
은 - 리치 카스웨이스텐 광산. 마르카스의 시드나 광산에도 은 광맥이 있지만 퀘스트 때 외엔 채취 후 수집 불가능.

장신구를 만들겠다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화이트런 근방의 Halted Stream Camp에서 얻은 다량의 철광석과 '금속변환 (Transmute)' 주문을 활용하여 금광석을 잔뜩얻고, (매지카 부족 현상은 주문 사용후 T키를 눌러 제자리에서 1시간 대기하여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그렇게 얻은 금광석으로 장신구를 찍어내 수련할 수 있다. 인챈트를 통한 인챈트 레벨링과 매입을 하여 얻는 골드와 화술 경험치는 덤.

또는 '콜스케그 광산'에서 포스원을 처리해달라는 퀘스트를 하는 방법도 있다. 이 안에는 금 광맥만 열 일곱개에, 아이템 상태로 떨어져있는 금광석이 여섯개, 금괴가 세개이며, 광산 입구에 바로 용광로가 있다. 거기다 콜스케그 광산의 리젠 타임은 게임상으로 열흘. 또한 해당 퀘스트를 끝낼 경우, 마르카스의 '레프트 핸드 광산'의 친밀도가 올라 아이템 상태의 철 광석 네 개를 공짜로 주을 수 있다. 레프트 핸드 광산을 털 경우 추가로 철광맥 4개쯤을 긁어낼 수 있다. 여기에 위에서 언급한 광석변환을 합치면, 이 퀘스트만으로도 금광석이 4~50개는 모이며, 이걸 전부 장신구로 찍어내면 상당한 숙련치와 넉넉한 돈이 쌓인다.

중갑은 데이드라[18], 경갑은 드래곤스케일이 가장 방어력을 높게 받는다. 드래곤 트리에는 무기가 없었기에 지금까지는 데이드라 무기가 최강이었으나, DLC인 던가드에서 드래곤 뼈로 만드는 드래곤뼈 무기가 추가되었다. 제조에는 드래곤뼈와 에보니 주괴, 그리고 가죽 끈이 필요한데 데이드릭 무기보다 더 강하게 나와서, 데이드릭 퍽을 찍은 중갑 전사들도 드래곤 스미싱 퍽을 찍어야 할 이유가 생기게 되었다! 경갑캐들이 좋아합니다. 대신 데이드릭 무기보다는 무게가 좀 더 무겁다. 아, 물론 중갑의 방어력과 룩은 여전히 데이드릭이 최강이다.

퍽을 아끼면서 강한 무기를 쓰고 싶다면 경갑 계열 트리(왼쪽 스킬트리)를 탈 것을 추천한다. 중갑을 입고 싶다면 루팅하거나 대장간에서 사도 된다. 또 룩이 많이 구리긴 하지만왼쪽 트리에도 중갑을 만들 수 있는 퍽이 2개 있다. 강화 역시 인챈트와 연금술을 통해 스미싱 레벨 자체를 끌어올리는 것으로 2티어분의 퍽을 아낄 수 있다.[19][20][21]

그리고 스미싱은 돈주고 훈련받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소매치기 꼼수를 이용해서 훈련비용을 회수할 것이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훈련비용으로 재료를 사고 무기를 만드는게 돈도 벌고 퍽도 잘 오른다. 정말 급할 때만 훈련받자.

  • 무기와 방어구 업그레이드 설명
숫돌(Grindstone)이나 작업대(Workbench)를 통해 무기와 방어구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등급은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아이템에 해당하는 퍽을 가지고 있는지와 자신의 제련스킬 레벨에 따라 정해진다. 강화횟수는 딱히 제한되어 있지 않고 현재 플레이어의 제련스킬만큼 강화되기에 재료를 아끼고 싶다면 스킬이 높을 때 한번에 제련하는 것이 이득이다. 그리고 제련스킬 100을 찍은 상태에서도 물약과 아이템 등으로 장비 및 도핑을 하면 그 이상의 수치로 제련도 가능하다. 이 경우 3배정도의 능력치도 기대할 만하다. 가장 높은 업그레이드 레벨은 Legendary 등급이다. 가장 낮은 등급은 Fine.

다음 표는 관련된 스킬의 퍽의 존재 유무에 따른 스미싱 레벨 요구 기술 숙련치이다.

등급Superior(중급)Exquisite(상급)Flawless(완벽)Epic(영웅)Legendary(전설)
퍽 비선택3165100134168
퍽 선택2240577491

관련 퍽이 없을 경우 물약이나 마법부여된 장비의 버프를 받지 않는 이상 Flawless 레벨까지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그리고 강화 가능하며 사용하는 재질 관련 퍽이 있는 일부 데이드릭 아티팩트(던브레이커, 볼렌드렁, 스펠 브레이커, 몰라그 발의 철퇴, 메이룬스의 면도칼) 또한 관련 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 에보니 메일은 퍽의 영향을 받는다.

전에는 스미싱 레벨 100에 찍는 드래곤 트리보다 스미싱 레벨 90의 데이드릭 트리가 더 강력한 성능을 지닌 것으로 취급받았다. 물론 경갑의 경우에는 데이드릭 경갑이 없어서 최고의 경갑을 얻으려면 드래곤 스미싱 트리를 타야 했지만, 중갑 같은 경우는 데이드릭 중갑의 성능도 성능인데다, 드래곤 트리는 무기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 거기다가 데이드릭 중갑은 룩마저 드래곤 중갑을 압도한다. 하지만 이제 던가드를 통해 드래곤 트리의 무기가 데이드릭 무기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갖고 추가되면서, 수많은 모드들이 사장당했다스미싱 트리의 판도가 조금 바뀌었다.

드래곤 무기들이 추가되기 전에도, 경갑 쪽으로 드래곤까지 스미싱 트리를 타고 올라간 경갑 전사들은 용뼈와 용비늘 같은 재료수급도 쉬웠고 무기는 글래스로 버티다가 게임 내에서 아쉬운 대로 데이드릭을 대체할 만한 좋은 아티팩트나 유니크 장비를 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나 중갑 쪽으로 데이드릭까지 스미싱 트리를 타고 올라간 중갑 전사들은 제작 재료인 데이드라의 심장 수급에 애로사항을 겪어야 했다.

드래곤 트리에 무기가 추가되었다고 데이드릭 트리가 망했다거나 한 건 아니다. 중갑 전사들은 통상적으로 한손무기나 양손무기를 이용한 근접전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제 무기 공격력은 약간 딸릴지 몰라도 방어구의 성능에서는 여전히 최강인 데이드릭 트리는 아직 그 매력을 잃지 않았다. 재료 수급이 어려운 만큼 바람직한 성능을 뽐내는 데이드릭 갑옷과 방패, 무기들은 쓸만한 유니크 양손무기가 없어 무엇을 낄지 몰라 허덕이는 양손 전사들에게도, 방어기능이 아예 없어 적을 녹이지 못하면 이쪽이 녹아야 하는 쌍수 전사들에게도, 유니크 방패들의 나사빠진 성능에 실망한 한손방패 전사에게도 여전히 정말 고마운 존재이다. 그리고 정히 데이드릭 무기가 드래곤 무기보다 공격력이 딸리는 게 아쉽다면, 퍽 포인트 하나 투자해서 드래곤 스미싱을 찍어버리면 그만이다.

단검+방패 경장갑 암살자 컨셉일 경우엔, 데이드릭 무기를 위해 애초에 경갑쪽 트리를 아예 타지 않고 스미싱을 중갑 트리로 타고 올라가면서 데이드릭 퍽을 거쳐 드래곤 퍽을 찍는 식으로, 드래곤 퍽을 찍기까지의 중간의 방어구 공백은 다크 브라더후드 퀘스트나 도둑 길드 퀘스트로 얻는 뛰어난 유니크 경갑 풀세트들로 땜빵하여 드래곤 경갑과 데이드릭 무기를 같이 쓰는 방법이 있었으나 DLC인 던가드에서 드래곤 무기가 추가되면서, 굳이 경갑 테크트리를 포기하지 않고도 최고의 무기를 손쉽게 손에 넣을 수 있게 되었다.[22]

4 도적(Thief) 계열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올리기 귀찮은 스킬들이 대거 포진해있다. 은신이야 은신하다보면 오른다지만 다른 것들은 그렇지가 않다. 소매치기는 한명 두명이 아니라 마을 단위로 싹 털어가며 진행해야 그나마 빨리 오르는 편이고 [23] 화술은 설득이나 협박 선택지가 한정되어 있어 버그를 쓰지 않는 이상 상거래에 크게 의존해야 한다. 자물쇠는 던전이 주기적으로 리셋되니 수련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다소 오래 걸리는 편.[24] 마지막으로 연금술은 3대 생활계열 스킬중 가장 올리기 어렵다.

4.1 연금술 (Alchemy)

  • Alchemist(연금술사)(0/20/40/60/80)/5랭크 - 포션과 독약의 효과가 20% 강해진다. 5랭크 달성시 효과 2배.
  • Physician(의술사)(20) - 체력, 매지카, 스태미너를 회복시키는 포션 제조시 효과가 25% 증가한다.(선행: Alchemist)
  • Poisoner(독술사)(30) - 독 제조시 효과가 25% 증가한다.(선행: Physician)
  • Benefactor(특혜)(30) - 좋은 효과를 주는 재료들을 섞어 포션을 제조하면 효과가 25% 증가된다.(선행: Physician)
  • Experimenter(실험가)(50/70/90)/3랭크 - 처음 먹은 재료의 효능을 2가지 알아낼 수 있다. 이후 랭크마다 1가지씩 추가. 3랭크 도달시 4개까지 알 수 있음 (선행: Benefactor)
  • Concentrated Poison(농축된 독)(60) - 독이 발린 무기로 여러번 공격할수록 독의 지속 시간이 더 길어진다.(선행: Poisoner)
  • Green Thumb(원예가)(70) - 한 식물로부터 2개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선행: Concetrated Poison)
  • Snakeblood(뱀의 피)(80) - 모든 독에 대해 50%의 저항력을 얻는다. (선행: Experimenter, Concetrated Poison)
  • Purity(고순도)(100) - 제조한 포션의 부정적인 효과와 독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거한다. 즉, 단점 없는 포션과 극약을 만들 수 있다. (선행: Snakeblood)

각종 시약을 조합해 포션과 독을 조제하는 기술이다. 잘 모르는 상태에서 되는대로 막 해서는 정말 올리기 힘들다. 일단 어느 정도 레시피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레시피를 알려면 가장 원초적인 방법인 재료를 먹어봐서 무슨 용도로 쓰는지 파악하거나 무작위로 섞어봐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재료낭비의 일등공신이며, 문서상태의 레시피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상점에서 사는것도 한계가 있어 재료 구하기도 쉽지 않다. 필드에서 눈대중으로 봐도 저게 무슨 약초인지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해야 할 정도. 물론 필드, 던전별로 존재하는 약초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이마저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100까지 올리려면 엄청난 인내심을 요구해야 한다. 그리고 연금술 마스터 트레이너가 다크 브라더후드의 바베트 하나뿐이라 닥부 전멸 루트로 가버리면 후반 수련이 힘들어진다.

일단 연금술은 만드는 포션의 가격에 비례해서 레벨업을 하기 때문에, 일단 무조건 비싼 포션을 만들면 땡이라는 걸 기억해두자. 나쁜 효과가 섞여도 어쨌건 가격은 올라가기 때문에 내가 먹을거 아니니까 막 만들어도 된다는 심보를 가지고 찍어내자. 또한 제작한 포션의 효력이 높을수록 비싸지므로 가급적 연금술 능력을 올려주는 퍽과 장비를 갖춘 상태에서 제작해야 레벨업이 더 빨라진다. 아래 레시피를 참고해서 필요한 재료를 잔뜩 긁어모은 뒤 도적 선돌 버프+Well rested 버프를 받아둔 상태로 포션을 만들면 금상첨화. Alchemist 퍽과 연금술 장비를 충실히 갖춘 상태에서 수제 포션를 만들면 상점 판매가가 크게 올라서 재료값은 물론 그 동안 쏟아부은 연금술 훈련비용까지 모조리 건지고도 남는다. 나중에는 포션 하나 팔면 상인의 여유금이 순식간에 증발해서 스카이림 전역을 돌아다니며 포션 장사를 해야 할 정도가 된다.

숙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 거인의 발가락(Giant's Toe) + 곰 발톱/덩굴 이끼/밀/푸른 들꽃 : 체력증가(Fortify Health) 포션. 거인의 발가락+곰 발톱 + 덩굴이끼면 거인의 발가락으로 만들 수 있는 최고가의 포션이 나온다. 곰 발톱 + 덩굴이끼만으로도 체력 증가와 한손검 강화 효과를 포함한 상당히 비싼 포션이 완성.
  • 연어알[25] + 노르드 따개비/달걀/Histcarp물고기= 수중호흡 포션

참고로 이 두가지 레시피가 제대로 가격을 보려면 거인의 발가락/연어 알이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 두 재료가 가격에 몇 배 보너스가 들어가는 희귀 재료들이기 때문. 거인의 발가락은 연금술 수치와 마법부여 상황에 따라 1000~5000 대의 가격의 포션이 튀어나오고, 연어알은 2000~10000대의 가격의 포션이 튀어나온다.

  • 멧돼지 엄니[26] + 라벤더 + 푸른 들꽃 : 지구력/체력 증가 포션.

멧돼지 엄니는 지구력 증가와 체력 증가 효과에 ×5.9의 가격 보정이 동시에 붙어있어, 라벤더와 푸른 들꽃을 섞어 지구력 증가와 체력 증가 효과가 동시에 나오도록 해주면 비싼 포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 습지균꼬투리=늪지 방귀버섯(Swamp Fungal Pod)+임프버섯(Imp Stool) / 회색 뿌리(Canis Root) / 장미암술(브라이어하트 심장)/인육: 마비 포션

포션 효과중에서 4번째로 비싼 마비 효과을 발휘하며 재료 수급이 쉽다는 게 장점. 늪지 방귀버섯은 데스벨과 함께 모쌀의 늪지에 흔하게 자라며, 임프 버섯은 동굴(대표적으로 화이트런 근방의 쇠주먹 하즈바가 있는 화이트런 감시탑이라는 던전. 임프 버섯이 20개쯤 자라고 있다.)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어서 재료 수급이 쉽다. 그런데다 이 두 재료들은 허스파이어 정원+온실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즉 최초 재료만 몇개 줏어서 정원, 온실에 심고 시간만 보내면 공짜 재료를 대량으로 수급 가능하다. 사소한 주의점으로는 첫 번째로 Swamp Fungal Pod는 한번 심어서 경작하면 3개씩 나오고, Imp Stool는 4개씩 나온다. 즉 동수로 심는것보다는 4:3으로 맞춰서 심어줘야 재료가 1:1비율로 수급이 되며, 두 번째로 데스벨 같은 경우에는 소금가루와 함께 비싼 포션도 제작 가능하면서, 큰 화분에 빼곡히 심어도 파랗고 예뻐서 하우징에도 크게 이바지하는데 반해, Swamp Fungal Pod는 큰화분에 빼곡히 많이 심으면 눈알같기도 해서 사람에 따라 징그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Swamp Fungal Pod이 꼴보기 싫다면 Canis Root=회색 뿌리를 심어주는것도 괜찮다. 이 경우 체력 회복 효과는 빠지지만 Canis Root는 4개씩 나오며, 생김새가 분재를 연상케하는 자그마한 나무 형태라서 미관상 괜찮다. Canis Root는 한손검 강화 포션+궁술 강화 포션의 재료기도 하기에 경작 용도로 더더욱 쓸만하고, 경작 가능한 궁술 강화 포션 재료인 향나무 열매나 인동딸기 등과 섞어주면 더욱 비싸고 효용성 높은 포션도 나온다. 대신 Canis Root는 위의 두 재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구하기 어렵다. 모르쌀 습지나 길 가, 연금술 상점을 매의 눈으로 보던가, 리프튼 메이븐의 별장 ~ 던가드 성채 가는길에 4개 정도, 모르쌀 도시 옆 초소 가는 길쪽의 습지 부근 5개 정도, 윈터홀드의 지지의 전당안에서 총 5개, 솔스타임 넬로스의 집에 5개가 있으니까 이것들을 한번 경작해서 수확한 후 또 심어주던가 하자.

  • 누에 나방 날개 + 흡혈귀 가루/넌루트/카우러스 알 : 투명화 포션

카우러스 알을 첨가할 경우 독이 되지만, 가격은 상승한다. 카우러스 알은 서리흐름 등대만 털어도 몇백개는 얻을 수 있다. 넌루트는 사레시 농장에서 뜯어오면 된다.

  • 데스벨 + 소금 가루 : 둔화 포션

데스벨은 모쌀에 깔려있고 재배도 가능하다. 소금 가루는 사냥꾼이나, 음식을 파는 상인이면 무조건 1개 이상씩 팔고, 연금술 상인은 5개 정도 팔며 종종 산적 소굴 등 인간이 살 법한 곳의 음식 재료 통을 뒤지다 보면 2-5개씩 나온다. 즉, 재료를 거의 무한히 수급할 수 있다.
이 세 시약 조합들은 위의 연어알+거인의 발가락이라는 가격뻥튀기시약 and 자린 뿌리나 크림슨 넌루트라는 퀘스트 전용 템 격인 이 4시약들로 제작된 포션들을 제외하고, 비싼 가격 기준으로 정렬시 공동 10위권 안에 들 정도로 일반적인 포션들과 비교를 불허하는 비싼 가격을 가지고 있다. 장점으로 바로 아래 서술된 포션군과는 달리 2가지 시약을 섞어도 둔화,마비,투명화 + 한 개 정도의 효과만 달려서 나올 정도로 시약들의 속성이 좀 널널하게 남는 편이라 적당히 추가적인 시약를 섞어주면 바로 아래의 포션군과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비싸진다. 예를들어 데스벨+소금가루로 제작된 포션의 가격이 500원이라면, 여기에 마늘을 추가시켜주면 이상한 효과가 2개 붙어서 1000원짜리 포션이 나오는 식.

  • 빛나는 가루 + 나이트쉐이드
  • 푸른 꽃 + 카우러스 더듬이
  • 드워프 기름 + 덩이뿌리

이 두 레시피들은 각각 두 재료의 네 가지 속성이 모두 같다. 즉 이거 두개를 섞기만 하면 4가지 효과가 주렁주렁 달려서 나오며 가격 역시바로 위의 포션들과 동일한 가격대가 나온다.다만 재료 수급이 쉬운 위의 재료들에 비해서 이 쪽은 재료 수급이 상당히 어렵다는게 단점. 카우러스 더듬이는 카우러스 헌터를 잡아야해서 굉장히 수급이 힘들고, 덩이뿌리=Taproot는 스프리건들을 잡아야해서 역시 많이 얻기 힘들다.

  • 트롤 지방+팔머의 귀 = 광분, 독 저항, 체력 손상.

두 재료가 한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셋이 일치한다. 덕분에 기본적으로도 세 효과가 겹쳐 기본적으로 100셉팀을 넘기며, 여기에 다시 양손무기 향상이나 자물쇠 따기 향상이 들어간 재료를 넣으면 해당 효과까지 추가되어 200셉팀을 그냥 넘긴다.

  • 파란 나비 날개 + 파란 들꽃 / 밀/ 늘어진 이끼/ 스프리건 수액/ 달걀 = 지속 매지카 피해 포션

바로 위 포션과 비슷한 가격대. 파란 들꽃은 돌아다니면 되고, 나비 날개는 숲을 조금만 돌아다니면 된다. 귀찮으면 사도 되고. 늘어진 이끼는 지나가다 보이면 뜯으면 되고, 밀은 농장가면 천지에 깔려있다.


다른 시약의 조합을 알고싶다면 http://rp.eliteskills.com/skyrim.html 를 참조하자 근데 이 링크에는 연어알이 시약으로 등록되지 않아서 부족한 점이 있다 또, 영어이다. 하지만 별로 어렵지는 않으니 대강 감만으로도 충분히 사용할수 있을것이다. 게다가 설명 동영상도 있으니 참조하자. 아래 표는 연금술 레벨이나 연금술 강화 등의 조건이 같은 상태에서 뽑아낸 가격 및 효과이다. 비싼 인챈트 재료만 구매하거나 해서 올리는 것도 좋은 방법.

가격효과
약 4500수중호흡(연어알)
1431체력증가(거인의 발가락)
770투명화
667마비
613휴대무게증가
610매지카 재생피해
569둔화
522매지카 재생, 지구력 재생, 체력 재생
366지구력 재생피해
348궁술, 한손, 양손, 방어, 소매치기, 은신, 파괴마법, 회복마법 강화
295수중호흡
291체력 피해(민물 베티)
281공포
278환영마법 강화
271독 저항
253냉기, 전격, 화염저항
252중급 광분
243체력 강화
222소환마법 강화
208매지카 강화
208지구력 강화
201지속 체력피해

이하 생략

마지막 퍽인 Purity는 연금술 조합에서 소재간의 상호관계에 주의하면 별 쓸모가 없다. 실험가(Experimenter)를 어느정도 획득해 두면 포션 제작이 훨씬 수월해진다. 연금은 기본적으로 같은 포션을 여러번 제조하기만 하면 스킬이 상승하기때문에 다른 퍽은 그렇게 필수적이지 않다. 이런 이유로 연금술은 처음 무기제작 꼼수로 뻥튀기할때 말고는 잘 쓰이지 않는다.

허스 파이어 DLC가 없고 비연금 캐릭터지만 퍽 개수가 아까워서 81만렙을 정석적으로 찍을 예정이라면 가장 마지막에 올릴 것을 권한다. 일단 기본적으로 재료 재고가 받쳐줘야하고 모자라면 돈줘서 사가면서 올려야 하기 때문. 아니면 레벨링을 하는 간간히 트레이너에게 돈주고 75 혹은 90까지 찍고 나머지 구간은 모아놓은 재료로 단번에 뚫어버리는 것도 괜찮다. 상기한 상승조건에 같은 포션을 여러번 제조할 것이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제작한 포션의 비용에 비례하여 수련치가 상승한다. 따라서 포션을 생산할 때는 가장 비싼 물건이 될 수 있도록 조합의 시행착오를 거치는 편이 좋다. (드래곤본 DLC를 설치하였다면 플레이어의 레벨제한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팁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다.)

사실 게임시스템을 갈아버리는 밸런스 붕괴급의 버그가 있었다. 연금술 제조 포션중 Fortify Restoration이 있는데, 말그대로 회복마법 효율을 올려주는 포션이다. 포션 자체는 아무 문제가 없는데, 스카이림에 마법부여/강화된 옷들 (방어구가 아니라 옷)의 마법효과가 Restoration으로 적용된다는 점. 즉 100% Fortify Restoration 포션을 먹고 원하는 마법효과가 있는 옷을 입으면, 마법효과가 2배로 뻥튀기 된다. 여기서 끝나는게 아니라, 연금술 증가 (Fortify Alchemy)효과가 달린 옷들을 준비한뒤 포션 마시고 -> 장비입고 -> Fortify Restoration 포션먹고 -> 장비 벗고 다시 입고 x반복이 가능하다는것 (...)[27] 이게 얼마나 악랄하냐면, 이렇게 중첩시킨 효과(Fortify Alchemy)로 아무 포션 하나 만들면 연금술이 한큐에 100 찍히고 이 포션을 상점에 팔면 Speech가 한큐에 100을 찍으며 (상인이 지불할 돈이 충분히 없어도 팔기만 하면된다.) 이 방법으로 만든 Fortify Enchant 포션을 만들어 마신뒤, Fortify Smithing으로 도배해주면 무지막지한 무기를 제련가능하다. 물론 이렇게 도배된 상태로 무기를 하나라도 만들면 제련술 100이 한큐에 찍히는건 덤(...)[28]

엘더스크롤 위키에 보면 이러한 중첩은

fortify restoration 78.650.224% 7천만 배
fortify smithing 78.650.224% 7천만 배
fortify enchaniting 19.662.566% 1천만배

까지 된다고 한다.(이 이상 되면 -%가 나온다) 그리고 이 3개는 전부 겹칠수가 있으므로(인챈팅 포션먹고 인챈팅 제련->리스토레이션 포션먹고 제련 인챈팅 성능 7천만%업-> 제련 포션을 먹는다) 이 한방에 작살날 지경의 무기가 나온다.

위의 행성파괴급 버그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적어두자면, 회복 포션은 둘째치고 (전체 회복 포션이 있으므로 만드는 포션이 효과가 아무리 좋아도 똑같은 효과를 본다.) 데미지 관련 포션중에는 Fortify Archery 포션이 모든 무기에 적용되는 버그가 있으므로 효율이 좋다. 버그가 싫다면, 그냥 맞는 무기 효과를 보면 된다. [29] 독약중에서는 Paralyze(마비)독약이 갑이며 [30] 그외에 유용한 포션은 Invisibility 포션. 스닉에 Silence 퍽과 조합되면, 사기금 일루젼 마법을 캐스팅 시간없이, 핫키 조정해서 무기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해진다.

이 버그는 1.9버전에서 고쳐졌다. 다만 리스토레이션 포션 중첩이 안될뿐 스카이림에 마법부여/강화된 옷들(방어구가 아니라 옷)의 마법효과가 Restoration으로 적용된다는 점은 그대로다.

그리고 궁술 포션을 제조해서 사용했을 경우 활 뿐만 아니라 단검부터 양손무기까지 다른 모든 무기의 공격력이 올라가는 버그가 있다. 단검의 경우는 다행히도 궁술 외의 추가적인 상향이 이뤄지지 않으나 한손/양손무기는 여기에 각자의 강화 포션을 사용하면... 이 버그는 상기된 프로젝트 넌 작살(...)보다는 아무래도 훨씬 약한 수준이었기에 현재도 고쳐지지 않았다. 뭔 놈의 버그가 이렇게 많어. 생각해보면 활을 강하게 쏘려면 팔힘이 강해야 하니까 다른 무기들 공격력도 오르는게 상식적으로는 맞다

4.2 경갑 (Light Armor)

  • Agile Defender(민첩한 수비자)(0/20/40/60/80)/5랭크 - 경장갑옷의 방어율이 20% 증가한다. 이후 20%씩 증가. 5랭크 달성시 2배의 방어력.
  • Custom Fit(맞춤옷)(30) - 모든 착용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경장갑옷 착용시 25%의 방어 보너스를 받는다. (선행: Agile Defender)
  • Unhindered(순기능)(50) - 착용하는 경갑은 무게가 나가지 않고 이동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 (선행: Custom Fit)
  • Wind Walker(가벼운 발걸음)(60) - 모든 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경갑 착용시 스테미너의 회복률이 50% 증가한다 (선행: Unhindered)
  • Matching Set(깔맞춤)(70) - 같은 재질의 경갑 세트로만 맞춰 입었을 시 방어 보너스 25%가 추가된다 (선행: Custom Fit)
  • Deft Movement(재빠른 몸놀림)(100) - 모든 착용부위(투구, 흉갑, 건틀렛, 부츠)에 경갑 착용 시 모든 근접 공격을 10% 확률로 회피한다. (선행: Wind Walker, Matching Set)

중갑과 마찬가지로 맞으며 수련하면 된다. 다굴치기의 달인이신 호커선생들에게 부탁하도록 하자. 전설난이도라면 돈주고 수련하는 게 이익이다. 콘솔에 tim을 치고 한숨 자고 오면 된다. 인간 앞에서 TIM 키고 자면 자고 일어났을때 기괴하게 뒤틀린 캐릭터를 볼수있다.

같은 갑옷 퍽인 중갑 계열에 비교해 효율적이다. 다만 경갑의 경우, 스미싱을 통해 글래스 계열로 가서 드래곤 경갑을 입는 것이 통상의 트리라면 룩 측면에서 호불호가 크게 갈리기 때문에 또 고민.[31] 경갑의 룩에 있어서 제일 큰 단점은 (어두운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어느정도 조합이 가능한 중갑에 비해) 단색으로 깔맞춤된 엘븐 방어구와 글래스 방어구에 있다. 구리빛 노란색의 엘븐 방어구와 우중충하고 애매한 녹색의 글래스 방어구는 다른 방어구 조합시 반드시 색이 튀게 된다. 애초에 깔맞춰도 이쁘지는 않다.그렇다고 둘 끼리 어울리냐면 그것도 아니올시다. 섞어입으면 OME를 내지를 정도로 안어울린다. 하지만 경갑의 최대 함정은 후덜덜한 스케일드 방어구. 취향은 타지만 독특한 엘븐셋의 경우 세트 아이템이라는 느낌이 물씬 들지만, 바로 다음 티어인 Scaled의 경우, 컨셉이 빈티지인지, 포스원 수준의 빈약해 보이는 세트다. 경갑방어구 제작자라면, 이 티어에서 탄력먹고 던전이나 퀘스트는 둘째치고 망치질로 글래스 티어로 넘어가고자 하는 열정이 솟아 오를 것이다.[32] 괜찮다 룩은 모드깔면 다 해결된다

4.3 자물쇠따기 (Lockpicking)

  • Novice Locks(초심자급 자물쇠) - Novice 등급의 자물쇠를 더 쉽게 딸 수 있다.
  • Apprentice Locks(견습자급 자물쇠)(25) - Apprentice 등급의 자물쇠를 더 쉽게 딸 수 있다. (선행: Novice Locks)
  • Quick Hands(잽싼 손놀림)(40) - 자물쇠를 딸 시에 주변에 사람들이 있어도 들키지 않는다. (선행: Apprentice Locks)
  • Wax Key(밀랍 열쇠)(50) - 열쇠를 소매치기할때 자동으로 열쇠 복사본을 하나 더 훔친다. (선행: Quick Hands)
  • Adept Locks(숙련자급 자물쇠)(50) - Adept 등급의 자물쇠를 더 쉽게 딸 수 있다. (선행: Apprentice Locks)
  • Golden Touch(황금의 손길)(60) - 상자에서 골드를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선행: Adept Locks)
  • Treasure Hunter(보물 사냥꾼)(70) - 50% 높은 확률로 특별한 보물을 찾을 수 있다. (선행: Golden Touch)
  • Expert Locks(전문가급 자물쇠)(75) - Expert 등급의 자물쇠를 더 쉽게 딸 수 있다. (선행: Adept Locks)
  • Locksmith(열쇠 수리공)(80) - 자물쇠 딸 때 시작하는 위치가 성공 위치와 매우 근접하게된다. (선행: Expert Locks)
  • Unbreakable(부절)(100) - Lockpick이 절대 부러지지 않는다. (선행: Locksmith)
  • Master Locks(달인급 자물쇠)(100) - Master 등급의 자물쇠를 더 쉽게 딸 수 있다. (선행: Expert Locks)

자물쇠따기의 경우 해체한 함정 및 상자와 그 난이도에 비례해서 경험치를 주고, 실패해서 락픽을 부러뜨린 경우 해체 난이도 관계없이 고정치의 경험치를 준다.

당연하지만 락픽이 없을 경우 근본적으로 수련이 불가능한 스킬이다. 마을 밖을 돌아다니는 카짓 행상인들이나 도둑길드에서 한번에 몇십개씩 쌓아놓고 팔고 있으니 보이는 족족 구입해두는 편이 좋다. 던가드를 설치했을 경우 상인 NPC 중 소린도 은근히 락픽을 자주 파는 편이다. 사실 스카이림을 플레이 하다보면 플레이어의 자물쇠 따기 스킬이 상승하기 때문에 락픽 따는 감이 생기므로 퍽을 투자하기엔 아깝다.

Wax Key 퍽의 경우에는 사본열쇠를 얻은것이 퀘스트를 받아야만 갈 수 있는 문을 열수있는 열쇠로도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되면 퀘스트가 꼬일 수 있기 때문에 이 퍽을 찍었다면 문을 열기 전에 문 밑에 뭐라 쓰여있는지 보고 여는 것이 좋다.

언브레이커블을 찍으면 해골열쇠는 그냥 장식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그런지 스카이림에 등장하는 해골열쇠는 언젠가 반드시 반납하도록 되어있다.

퍽 없다고 1렙에 마스터 레벨 자물쇠 못따는 거 아니고[33] 계속 도전하다가 적쇠를 다 써버리면 그냥 세이브 로드 노가다 할 수도 있으므로 퍽들이 진짜 잉여. 언브레이커블이랑 골든터치 트레져헌터 3개가 그나마 나은데, 언브레이커블은 적쇠가 무게도 안나가고 값도 싼데다 세이브 노가다 때문에 무시당하고 골든터치는 체감도 안되며, 이거 찍을때면 적들이 떨어뜨리는 방어구만 팔아도 1000골씩 나오는지라...[34][35] 트레져 헌터 역시 같은 이유로 무시당한다. 50%면 짭잘할것 같지만, 그 시간에 인챈팅하면 돈 더번다...[36] 설명만 보면 뭔가 그럴듯한 퍽들이 많아 보이지만, 스카이림의 자물쇠 따기 시스템의 특성상 전부다 있으나마나한 퍽이므로 괜히 퍽을 찍어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어찌보면 퍽 포인트 하나가 아쉬운 이 게임에서 싹 무시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트리가 하나 있는게 다행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4.4 소매치기 (Pickpocket)

  • Light Fingers(가벼운 손가락)(0/20/40/60/80)/5랭크 - 소매치기 보너스가 20% 증가한다. 이후 랭크당 20%씩 증가. 5랭크 달성시 100%. 아이템의 무게와 가치에 따라 성공률 감소.
  • Night Thief(밤손님)(30) - 대상이 수면 시엔 소매치기 확률이 25% 증가한다. (선행: Light Fingers)
  • Poisoned(독살)(40) - 적의 주머니에 독약을 넣어둠으로서 은밀하게 해칠 수 있다. (선행: Night Thief)
  • Cutpurse(소매치기)(40) - 골드를 소매치기할 때 50% 쉬워진다. (선행: Night Thief)
  • Extra pockets(여분 주머니)(50) - 최대 무게 제한이 100포인트 증가한다. (선행: Night Thief)
  • Keymaster(열쇠의 달인)(60) - 열쇠를 소매치기할 경우 항상 높은 확률로 훔쳐낼 수 있다. (선행: Cutpurse)
  • Misdirection(속여넘기기)(70) - 상대방이 장비하고 있는 무기를 훔칠 수 있다. (선행: Cutpurse)
  • Perfect Touch(완벽한 손놀림)(100) - 상대방이 장비하고 있는 모든 아이템을 훔칠 수 있다. 팬티기술자 (선행: Misdirection)

물품의 가치 및 횟수에 비례해 경험치를 얻는다. 처음에 아무런 버프도 없이 올리려고 하면 레알 빡치는걸 느낄 수 있다. 대부분의 아이템이 잘 해봐야 50%를 조금 윗도는 정도인데 걸리면 바로 칼 빼들고 공격해 온다. 게다가 한번 소매치기를 걸린 대상은 공격해 오지 않더라도 두번 다시 소매치기 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정답은 세이브로드 노가다. 다만 스킬치에 비례해서 소매치기 성공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한번 탄력을 받으면 수련은 비교적 쉽다. 마을과 도시의 모든 주민들을 털다 보면 가끔 마법부여가 된 악세사리들도 얻을 수 있는데, 이런 아이템들은 가치가 높아서 훔치는데 성공하면 레벨이 쑥쑥 오른다. 훔친 아이템들은 도둑 길드의 장물아비들에게 싹 팔아치우고 마법부여된 아이템은 분해해서 마법부여 스킬도 같이 올리면 좋다. 정 안 되겠다 싶으면 가끔 상점에서 파는 소매치기 성공률 증가 장비나 악세사리를 끼면 그만.

초반엔 경비병의 화살이나 간식 등을 훔치고, 중반 이후론 동네 주민들을 보면 거지 NPC 등 일부를 제외하면 다들 보석이나 장신구를 가지고 있으니 그런걸 훔쳐서 수련하면 된다. 골드는 경비병이건 주민이건 대부분 수십 골드 정도라서 초반이건 중반이건 훔치기 좋다. 또 델빈이 주는 소매치기 반복퀘는 상당히 비싼 악세사리가 대상 NPC 인벤토리에 임시 생성되니 소매치기 레벨이 어느 정도 될 때 하면 좋다.

Extra pocket 퍽은 없어도 상관은 없지만 있으면 효과가 톡톡한 퍽. 무게 제한 100이라는건 레벨 20 업해서 죄다 스태미나로 몰아 찍어야 올릴 수 있는 수치다. 후반으로 가면 무게 = 돈이기 때문에 가난에 허덕이는 도바킨이나 무게 관리가 힘들거나 무게 제한 100 늘려주는 선돌 효과 받고도 모자라다고 느껴지는 사람이라면 찍을 가치가 충분하다.

Poisoned 퍽을 이용해서 독약을 넣어둘 때 같은 종류의 독약을 여러 개 넣더라도 효과는 단 한 번만 발동한다. 효과적인 피해를 주기 위해선 다른 종류의 독약을 넣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50의 피해를 즉시 주는 독약을 2개를 사용하면 효과가 하나만 발동하여 50 데미지만 줄 수 있지만, 50의 피해를 즉시 주는 독약과 5의 피해를 10초에 걸쳐 주는 독약을 같이 넣어두면 50+(5*10)의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달랑 100 데미지 받고 죽는 적이 있느냐가 문제지. 자린 뿌리를 줍시다, 자린뿌리는 나의 희망 자린뿌리+민물베티+크림슨 넌루트 환상의조합![37] 또 한가지 팁으로 광분 독을 넣어두고 다른 독을 넣어 NPC를 죽일 경우 광분 효과로 NPC가 먼저 선공을 건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살인 카운트도 안 올라간다. 암살은 해야 되는데 살인 카운트가 신경쓰인다면 이런 식으로 강제(?)선공을 시켜버리면 된다.

Perfect Touch 퍽은 에센셜 속성의 NPC인 경우에는 옷을 벗길 수 없다.

최상위 퍽이 은근히 애매한데, 일단 입고 있는 장비를 훔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NPC가 다시 자기 장비를 착용하므로 이론적으로는 한번 밖에 (그것도 NPC를 죽여야 하는) 못얻는 장비들을 계속 얻을 수 있긴 하다. 문제는 스카이림에 딱히 쓸만한 NPC 장비가 정말 없다는 것. 뭐 굳이 따지자면 각 홀드의 경비병 제복 셋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이거 찍고 훔치는 수 밖에 없기는 하다. 정작 훔칠 수 있는 장비들을 꼽아보면 도둑 길드 옷이랑 다크 브라더후드 옷 정돈데, 얘네 둘은 기본으로 플레이어한테 쥐어준다. 정작 탐나는 나이팅게일 셋은, 주인공꺼 말고 다른 나이팅게일들의 장비는 장착 불가능이고 (코드가 다르다.) 시세로는 Perfect Touch가 안 통한다 (!) [38] 방어구 외에는 유니크템인 신화여명회의 옷이나 황제의 옷(근데 이건 기본적으로 3개나 입수가능) 웨딩드레스 셋. (다크 브라더후드 관련 퀘의 그 웨딩드레스 맞다... 드레스, 샌달, 그리고 월계관이 유니크다. 빅토리아 불쌍해요) 결국 취미 이상의 효과는 보기 힘들다는 것. 적군 옷 벗겨서 적을 약화시키는 전법도, 적에게 소매치기가 가능할 정도로 성공적으로 은신 접근했다면 괜히 인식을 유발하는 소매치기를 시도할 것 없이 스닉어택으로 한방에 보내는 게 낫다.물론 소매치기를 여태 찍으면서 은신은 안찍은 변태라면 얘기가 다르다. 바로 아래 있는 Misdirection도 만만치 않은데, 거진 모든 유니크 무기가 퀘스트 관련이나 루팅하는 방식이므로 별 효용성은 없다. 그래도 아스트리드의 비통의 단검을 두 자루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긴 하다.

소매치기는 성공 확률이 최대 90%이며 무슨 수를 써도 이 이상은 올릴 수 없다. 따라서 확실하게 성공하려면 세이브로드를 할 준비를 하자. 근데 몇몇 퀘스트 할때 빼면 소매치기 자체가 그다지라...

꼼수가 있는데, Poisoned 퍽을 찍은 후에는 90% 상한선을 무시할 수 있다. 마비독약을 인벤토리에 넣으면 NPC가 바로 마비되어 바닥에 눕는데, 눕자마자 일어나려 할 때, 이 NPC는 죽어있는 상태가 된다. 즉 90% 상한의 소매치기가 아니라, 100%의 시체루팅이 된다는 것.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액수에 상관없이 골드를 훔칠 수 있고, 훈련을 해 주는 NPC들에게도 통하므로 돈을 주고 훈련받은 뒤 다시 빼내(...) 고레벨 훈련을 공짜로 할 수 있다.참고로 위에서 말했듯이 소매치기가 아니라 시체루팅이므로 소매치기 레벨은 올라가지 않는다. 이 시체 루팅 트릭은 용언 '얼음의 형태'로 얼었다 풀리는 적에게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 스킬은 은근히 벨붕을 일으킬수 있는 스킬이기도 하다. NPC에게 돈을 주고 스킬을 훈련받으면 플레이어가 준 돈은 그 NPC의 지갑으로 들어가는데, 이걸 소매치기로 다시 훔치는 방법이다. 특히 소매치기는 훔친 물건의 무게와 값어치에 따라 성공률과 수련치가 달라지는데 스킬은 훈련 받을수록 더많은 돈이 들어가므로 자연스레 NPC의 지갑에 매회 더 많은 돈이 쌓이고 소매치기 스킬이 순식간에 올라간다. 추가로 NPC가 수련시켜 준 스킬까지 있으니 레벨당 훈련받을 수 있는 횟수인 5회를 다 받기도 전에 레벨업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소매치기가 100에 다다르면 이때부턴 더이상 소매치기 스킬 레벨업이 불가능해서 레벨업에 필요한 스킬 수련치를 다 채울 수 없는데, 이땐 소매치기를 전설스킬로 초기화시킨 뒤 계속하면 된다. 이쯤되면 수련에 쓰인 액수가 너무 커서 초기화한 소매치기로는 훔칠 수가 없는데 이것은 소매치기 스킬과 관련된 물약이나 장비로 해결하자. 수련할 스킬로는 그냥 해서는 올리기 힘든 스킬들을 골라주자. 다만 이 방법은 최소한의 자구책이 마련된 이후에나 쓰자. 소매치기를 두번 마스터할 지경이면 수련받은 스킬 또한 녹록치 않을테고 레벨은 40에 가깝거나 넘기게 된다. 몬스터들은 플레이어의 레벨에 따라 강해지므로 이때쯤의 몬스터들은 변변찮은 장비, 전투 기술, 컨트롤을 가진 도바킨 따위는 스키버 때려잡듯이 잡아버린다. 따라서 남용은 금물. 정 써야겠다면 듬직한 팔로워를 데려다니자. 팔로워 역시 플레이어의 레벨에 비례하여 강해지기 때문이다.

4.5 은신 (Sneak)

  • Stealth(은밀)(0/20/40/60/80)/5랭크 - 은신시 발각될 확률 20% 감소. 이후 5%씩 증가. 5랭크 달성시 40%)
  • Muffled Movement(조용한 몸놀림)(20) - 방어구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50% 감소한다. (선행: Stealth)
  • Backstab(뒷치기)(30) - 한손 무기로 은신 공격시 6배의 데미지를 준다. (선행: Stealth)
  • Light Foot(가벼운 발놀림)(40) - 함정 발판이 작동되지 않는다. 동료가 밟을 시엔 작동되는 듯. 함정 카드 발동 (선행: Muffled Movement)
  • Deadly Aim(치명적인 겨냥)(40) - 활로 은신 공격시 3배의 데미지를 준다. (선행: Backstab)
  • Silent Roll(소리없는 구르기)(50) - 은신 모드 중에 달리면 조용하게 앞으로 구른다. (선행: Light Foot)[39]
  • Assassin's Blade(암살자의 검)(50) - 단검으로로 은신 공격시 15배의 데미지를 준다.[40] (선행: Deadly Aim)
  • Silence(침묵)(70) - 걷거나 뛰어도 발각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선행: Silent Roll)
  • Shadow Warrior(그림자 전사)(100) - 몸을 웅크려 잠시동안 전투를 중단하고 플레이어의 위치를 수색하는 적의 시야로부터 벗어난다. (선행: Silence)

적이 주위에 있으면서 은신에 성공할 때, 은신 중 공격할 때 오른다. 기본설정인 Ctrl키를 눌러 토글하는 식으로 은신한다. 이때의 조준점은 눈 모양으로 바뀌며 제대로 은신시엔 눈을 감고있는 모양이지만 발각되거나 소음, 피격당했을때나 접근중일 때 조금씩 눈을 뜨기 시작한다. 눈을 완전히 뜨기 전에 숨으면 서서히 눈이 감기면서 다시 은신상태로 돌아간다

스킬치가 어느 정도 되더라도 중갑옷을 입고 있으면 갑옷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은신에 불리하다. 관련 퍽을 찍어서 소음을 무마시키거나 머플 마법을 인챈트하면 좋다. 은신성공률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겠지만 몹의 시야 바깥에 있고 플레이어가 그림자 속에 숨어 있을 때 가장 높은 편. 심지어 그림자 안에 있을 땐 몹의 시야와 겹쳐도 몹이 플레이어를 못 보는 상황이 왕왕 터진다. 종합하자면 가장 좋은 수련장소는 어둡고 적이 밀집해있는 던전 내부. 수련 자체는 어려울 것 없이 그 근처를 어슬렁거리거나 하면 된다. 단검을 이용한 은신 백스텝 공격도 은신 수련으로 판정된다. 한 번 어그로를 먹고 경계를 띄운 몹들이 주변을 돌아다니다가 다시 보통 상태로 돌아가면 특히 부쩍 오른다. 맘 먹고 올리다보면 캐릭 레벨 20 초반에 은신레벨 80을 정직하게 올릴 수 있다. 던전돌다 은신한 채로 잠시 밥 먹고 왔는데 레벨이 엄청 올라있던 위키니트도 있다

NPC가 은신한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엔 경계하며 물건을 훔치는지 따라다니며 살펴보기도 한다. 물건 훔치는 것을 목격 했을땐 그 자리에서 도로 뺏고, 몰래 훔쳤더라도 깡패(Hired Thugs)를 고용하여 플레이어에게 보내는 경우도 있다.몰래 했는데 어떻게 알고

제련, 연금, 인챈 보단 많이 뒤쳐지지만 쉐도우 워리어 하나로 파괴신이 되는 스킬이다. 올리기 쉬운 스킬이 효율까지 끝내줘서 수 많은 플레이어들이 도적 계열로 시작하게 만드는 원흉.개사기 하지만 외롭다 스킬 특성상 동료를 대리고 다니기 힘들다[41] 일반 상태에서 은신하면 짧은시간 강제투명화가 되는데 이때는 화면 중앙의 조준점은 눈이 떠있는 모션이지만 강제 은신인데, 이때 치면 강제 스닉어택이 들어간다. 즉 멀쩡히 싸우다 은신-공격을 타닥 해주면 무조건 스닉어택 발동. 15배짜리 스닉어택을 언제나 등짝을 볼뒤를 잡을 필요 없이 맘껏 사용 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다크브라더 후드 계열의 장갑들을 쓰면 한손무기 은신어택 2배이므로, 전투중에 약간의 거리를 벌릴뒤 빠르게 은신 단검 공격(15배) + 장갑(2배)로 30배의 피해를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전투중 한번이 아니라 계속 30배가 가능하므로 방패혹은 한손 배쉬 -> 은신 -> 공격 콤보는 무식한 데미지를 자랑한다.[42][43][44]

정직한 방법이 아닌 꼼수로도 올리기 쉬운 스킬 중에 하나이다. 처음에 하드바(랠로프)와 같이 갈때 곰을 스닉으로 피하는 부분이 있다. 이 때 단검을 들고 하드바(랠로프)를 쳐서 구석탱이로 몰아붙인 다음에(치면 친 방향의 반대쪽으로 밀려난다) 스닉하고 스닉 어택이 제대로 됐다면(안 됐으면 하드바(랠로프)를 쳐서 다시 위치를 조정한다) 100이 될때까지 두들겨패면 된다. 정말 쉽다. 혹시 위치를 잘 모르겠다면 중간에 나무다리를 건너가는 장소에서 하드바/랠로프를 먼저 보낸 뒤 스닉상태로 화살을 날려대자. 이건 거리만 좀 벌리면 절대로 들킬 일이 없다. 게다가 플레이어를 기다리느라 래버를 가만히 내버려두기 때문에 도망가지도 않고 참 좋은 표적. 단, 이 경우는 화살 떨어지면 시망이다. 간혹 킬무드 떠서 랠로프가 한방에 가버릴수가 있다. 또 화이트런 영주와 친밀도를 쌓은뒤 영주가 자고있을때 은신후 때려도 잘오른다. 마법이나 무기 스킬도 이렇게 올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스닉에 비해서는 너무 오래 걸린다. 다만, 게임의 재미를 급속히 잃어버릴 수 있으니 그 점은 고려하자. 시작부터 쉐도우 워리어 찍고 시작하는 것을 두고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그건 은신하고 클릭하면 적이 죽는, 스카이림 아닌 다른 게임 하는 것'이라는 평도 있다. 스카이림의 은신 플레이는 잘 만든 편이니 플레이하면서 정상적으로 올리는 것을 추천한다. 또 정상 플레이로도 올리기 어렵지 않고, 처음부터 스킬 레벨 100을 찍으면 캐릭터 레벨이 20을 넘겨 장비에 비해 몬스터가 너무 세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45]

은신공격을 맞은 대상은 어디서 공격했는지는 모르지만 누가 공격했는지는 알고 있다. 그래서 플레이어가 은신을 풀고 다가가는 순간 목격자&현상금이 발생하니, 되도록이면 풀버프후에 한방에 시디스곁으로 보내주도록 하자.

참고로 난이도가 높을 수록 은신 퍽을 올리기 매우 힘들어 진다. 그 이유는 은신공격 횟수가 아닌 은신공격으로 적에게 가한 데미지에 따라서 은신 스킬이 잘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설 난이도를 처음부터 플레이할 때는 깔끔하게 포기하거나, 쉬운 난이도부터 시작하여 은신 퍽을 올리고 전설 난이도로 플레이 하는게 좋다.어쩐지 잘 안 오르더라

4.6 화술 (Speech)

  • Haggling(흥정)(0/20/40/60/80)/5랭크 - 구매, 판매시 10%의 이득이 생긴다. 이후 랭크마다 5%의 이득을 얻는다. 5랭크 달성시 30%의 차익을 남긴다
  • Allure(매력)(30) - 플레이어와 성별이 다른 상인과 구매, 판매시 10%의 차익을 남길 수 있다. Haggling과 중첩 가능하다. (선행: Haggling)
  • Bribery(매수)(30) - 경비병들을 돈으로 매수하여 플레이어의 범죄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선행: Haggling)
  • Merchant(장사꾼)(50) - 모든 상인에게 모든 종류의 물건을 팔 수 있다. (선행: Allure)
  • Persuasion(설득력)(50) - 설득 성공률이 30% 높아진다. (선행: Bribery)
  • Investor(투자)(70) - 상점주인에게 500골드를 투자하여 그가 가진 여유자본을 영구적으로 증가시킨다. (선행: Merchant)
  • Intimidation(협박)(70) - 협박 성공률이 2배 더 높아진다. (선행: Persuasion)
  • Fence(장물아비)(90) - 상인에게 장물을 팔아넘길 수 있다. (선행: Investor)
  • Master Trader(거래의 달인)(100) - 모든 상인들의 여유자금이 1000골드 증가한다. (선행: Fence)

일단 오른쪽 트리는 쳐다보지도 말자. 설득/매수/협박은 그냥 화술 레벨로 다 커버 가능하고, 정 화술 레벨이 딸린다 싶어도 도둑길드 퀘스트를 통해 얻는 '설득의 아뮬렛'이 있다면 이 세가지가 거의 무조건 성공한다.

왼쪽 트리는 상점관련인데, 한 번이라도 다 찍고 플레이했다면 다음 플레이때 금단증상(?)을 느낄 정도로 편리하다. 가격을 깎는 퍽들은 이름값은 하고, 이성에게 10% 차익은 결혼한 사람이 동성이 아니라면 유용하다. Investor는 아깝기는 하지만 유용하므로 단골 이성 상인에게 투자를 해놓으면 나중에 골드 모자랄 일이 적어진다. 게다가 리버우드에 있는 잡화점 상인에게 사용하면 잡화점 상인의 소지금이 1만으로 올라가는 버그가 있어서 매우 편해진다. 또한 각 도시의 Thane이 되려면 주민들을 도와야 하는데, 이 투자도 주민돕기에 포함된다. 무엇보다 빛을 보는것은 Merchant 와 Fence퍽. 한번 찍으면 집에 음식/버프리필 혹은 유니크템 보관하러 왔다가 집에 있는 배우자에게 모든 물건을 죄다 팔아버릴 수 있다.(배우자도 Investor퍽으로 500골 투자가능). 마지막 Master Trader퍽의 1000골은 나중에 가면 무기 하나 겨우 파는 값이니 찍어두면 여전히 편하다. 얼핏 이해가 안되는 구석이 있지만 아무래도 등골까지 뽑아 팔아먹는다는 컨셉인듯 하다.

상점은 화술 0 일때, 인벤토리에 표시되는 가격의 3배의 가격에 팔고, 1/3의 가격에 사가고 퍽 다찍고 100일때는 2배에 팔고 반값에 사간다. 전쟁의 풍파로 물가가 미칠듯이 오른 스카이림의 현실반영 또한 인챈팅중에 Fortify Speech는 100 이상 효과가 없으니, 가격 깎아주는 인챈팅달린걸 입자. 이쪽이 가격을 더 깎아준다. [46]

화술스킬과는 관련이 없지만, 매우 유용한 버그가 있다. 실내에 있는 상인에게 물건을 판매한 후, 빠른저장 > 적대하게 만들기 > 불러오기를 하면 상인의 소지금과 판매 물건목록이 초기화된다.[47] 대부분의 화술 퍽이 쓸모없어지므로(...) 너무 남용하지는 말자.

5 마법사(Mage) 계열

비 마법사 플레이어라면 대개는 학을 뗄 가능성이 높은 계열. 각종 주문의 매지카 요구량이 많으면 4백을 가볍게 넘기기 때문에 스탯을 근접용으로 투자한 플레이어들은 손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인챈트 스킬은 매지카가 모자라도 단순히 인챈된 장비를 해체하거나 장비에 인챈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련한 인챈트 스킬에 퍽을 찍어서 수련용 장비를 따로 만들면 캐릭터 육성에 큰 도움이 된다. 매지카 소모 인챈트를 도배할 경우 매지카 소모 감소율 90%도 넘어가는 흠좀무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100%을 넘기면 관련 학파 주문의 소모 매지카량이 0이 되어버리며, 사실상 마법을 무한히 사용할 수 있다.[48] 이렇게 장비를 맞춰놓으면 기본매지카 100 가지고도 할건 다 할 수 있다.

모든 마법 계열에는 Dual Casting관련 퍽이 있는데. 이것은 왼손 오른손에 동일 마법을 지정해두고 동시에 발동시키면 특수한 시전모션과 함께 지속시간이나 위력 등이 강화되어서 발동된다. 퍽이 없을때도 동시에 마법이 시전되지만 단순히 마법 두개를 쓰게될 뿐이다. 자세부터 다르다. 앞으로 나란히 자세와, 손오공 에네르기파 쏘는 자세를 취해보자. 다만 모든 마법이 듀얼캐스팅이 되는 것은 아니며, 아예 양 손으로 순차적 발동조차 안되는 경우도 있다.[49] 또한 듀얼 캐스팅 시에는 2배가 아니라 그 이상의 매지카를 소모한다. 소모한 매지카만큼의 위력이 나오기도 하나 소환수의 경우 단순히 소환시간만 길어질 뿐이니 오히려 효율이 나쁠 수도 있다.

다른 계열과는 달리 관련 퍽들이 대부분 쓸만한 편이다. 일단 특정 마법특화로 간다면 그 마법계열 퍽은 전부 찍는게 기본일 정도. 특히 후반부에 직업 불문하고 상당히 유용한 퍽들이 몰려있는 편이라 그냥 칼질만 해대는 전사를 마전사로 유혹하는 역할도 한다.

5.1 변이마법 (Alteration)

  • Novice Alteration(초심자급 변이술) - Novice 레벨 변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 Alteration Dual Casting(변이술 듀얼 캐스팅)(20) - 변이 마법을 양손으로 사용했을 때 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선행: Novice Alteration)
  • Apprentice Alteration(견습자급 변이술)(25) - Apprentice 레벨 변이 마법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Novice Alteration)
  • Mage Armor(마법사의 갑옷)(30/50/70)/3랭크 - Stoneflesh같은 보호 주문의 위력이 2배 강력해진다. 단 아머를 착용시엔 적용되지 않는다. 1랭크시 2배, 2랭크시 2.5배, 3랭크시 3배의 위력을 갖는다.(선행: Apprentice Alteration)
  • Magic Resistance(마법 저항)(30/50/70)/3랭크 - 자신이 받는 마법데미지를 랭크당 10/20/30% 만큼 감소시킨다. *패치 전에는 단계별로 10%/15%/20% 의 마법 저항을 가졌었다.(선행: Apprentice Alteration)
  • Adept Alteration(숙련급 변이술)(50) - Adept 레벨 변이 마법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pprentice Alteration)
  • Stability(안정화)(70) - 변이 마법의 지속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선행: Adept Alteration)
  • Expert Alteration(전문가급 변이술)(75) - Expert 레벨 변이 마법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dept Alteration)
  • Atronach(아트로나크)(100) - 적으로부터 마법 공격을 받았을 때, 데미지의 30%만큼 매지카를 회복한다. (선행: Expert Alteration)
  • Master Alteration(달인급 변이술)(100) - Master 레벨 변이 마법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Expert Alteration)

세 가지 방법으로 수련이 가능하다. 하나는 광물변환 스펠을 배운 다음 철광석을 잔뜩 쟁여놓고 모조리 금으로 바꾸면서 노가다하는 것과, 나머지 하나는 염동력 스펠을 계속하여 쓰는 것. 전자는 철광석이 없을 경우 쓸모가 없는 방법인데다 수련도 잘 되지 않지만[50] 염동력은 좀 쓰면서 놀다 보면 순식간에 차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초당 매지카 감소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이 문제. 장비에 매지카 소모 감소 인챈트를 떡바르자. 아니면 가장 편한 방법으로, 대도시에서 NPC가 많은 곳에서 생명체 탐지 마법만 계속 쓰고 있어도 된다. 범위에 잡히는 타겟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빨리 찬다. 제일 좋은 곳은 인구밀도가 높고 가드도 많이 돌아다니는 리프튼 중앙시장.

마법부여 숙련치가 100일 때 한번에 숙련치를 100까지 올리는 꼼수가 있다. 우선 마법부여를 사용해 변이마법 소비 매지카 감소 특성이 달린 장비들을 제작하여 매지카 소비율 감소율을 100%로 맞춰놓은 뒤, 염동력으로 물건을 집어든 상태에서 빠른 이동을 하면 플레이어가 이동하는 내내 변이 마법을 쓴 것으로 취급되어 한 번에 어마어마한 숙련치가 쌓인다. 가장 효율이 좋은 것은 가장 멀리 있는 마르카스-리프튼 간 빠른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인챈트를 먼저 빵빵하게 맞춰둔 뒤에 변이마법 트리 성장을 한방에 끝내고 싶을 때 매우 편리한 방법.

Mage Armor의 경우 아예 방어력이 없는 일반 의류,로브만 입어야 하는 탓에 고난이도에선 효율이 떨어진다. 아무리 3배로 강화된 에보니 피부를 쓴다해도 몸빵은 평균~평균 이하에 그치는데다 매번 마법을 써줘야 하므로 대응력이 떨어진다. 뭣보다 퍽을 3개이상 투자하기엔 아까운 편. 드라우그 죽음의 군주 수준의 적에겐 마법을 써봤자 순살 확정이니... 굳이 쓸거라면 소환수를 통해 적의 공격을 어느정도 차단하자. 그래봤자 화살에 끔살

다만 아트로나크를 위시한 데미지를 매지카로 흡수하는 효과는 데미지 뿐만이 아니고 소환스킬의 지속 시간과 쉐도우 워리어 지속 시간 등의 몇몇 효과[51]를 매지카 흡수 효과의 %만큼 낮추고 마법 시전이 흡수 %만큼 실패확률을 가진다[52]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존재한다. 이게 버그인지 의도한건지는 의문. 물론 버전 1.0 이상의 언오피셜 패치는 이 버그를 수정하고, 굳이 언오피셜 패치가 아니라도 이 버그를 고치는 모드가 많다. 물론 모드를 쓰지 않는 마법유저일 경우에는 매지카 흡수 효과는 절대 찍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를 수정하는 모드를 사용한다면 먼치킨의 시작이 되는데, 뱀파이어가 된 상태에서 회복 계열의 Necromage를 찍고 아트로나치 퍽+선돌을 모두 적용하면 Necromage의 언데드에게 마법 효과 +25%가 자기 자신'에게 적용이 되어서 주문흡수율 100%를 달성할 수 있다. 저항의 경우 마법+속성을 합쳐도 뎀감 97%가 한계인데, 흡수의 경우 기본적으로 뎀감 100%에 모든 해로운 효과에도 면역이 되어서(포효, 독 등등) 굉장히 사기적이다.

마스터 마법 Dragonhide는 듀얼캐스팅이 적용되는데 듀얼로 시전시 지속시간이 길어진다.

전체적으로 마법사건 전사계열이건 수련해둘 만한 스킬트리인데 마법저항을 30%나 올려주는데다[53] 마비계열도 상당히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고 매지카소모도 심하지 않기 때문.

5.2 소환마법 (Conjuration)

  • Novice Conjuration(초급 소환술) - Novice 레벨 소환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 Conjuration Dual Casting(소환술 듀얼 캐스팅)(20) - 양손으로 소환 마법 시전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선행: Novice Conjuration)
  • Mystic Binding(신비한 구속)(20) - Bound 무기가 더욱 강력해진다.(선행: Novice Conjuration)
  • Apprentice Conjuration(중급 소환술)(25) - Apprentice 레벨 소환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Novice Conjuration)
  • Summoner(소환사)(30/70)/2랭크 - 아트로나치의 소환이나 시체를 2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소환할 수 있다. 2랭크시 3배 멀리 떨어진 곳이 가능 (선행: Novice Conjuration)
  • Soul Stealer(영혼 강탈자)(30) - Bound 무기로 공격시 대상에게 Soul Trap을 시전한다. (선행: Mystic Binding)
  • Necromancy(강령술)(40) - 소환된 언데드들이 더 오랫동안 유지된다. (선행: Novice Conjuration)
  • Atromancy(아트로나크 조련술)(40) - 소환된 아트로나치들의 유지 시간이 2배 증가한다. (선행: Summoner) 참고로 이 스킬을 찍으면 버그로 인해 생귄의 장미 같은 소환 관련 아티팩트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지만 1.5패치로 수정되었다.
  • Oblivion Binding(망각의 구속)(50) - Bound 무기로 소환된 크리처를 현세계에서 추방시키고, 일으켜진 시체들을 무로 되돌린다. (선행: Soul Stealer)
  • Adept Conjuration(숙련자급 소환술)(50) - Adept 레벨 소환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pprentice Conjuration)
  • Dark Souls(어둠의 영혼)(70) - 일으켜진 시체가 100포인트의 추가 체력을 얻는다. (선행: Necromancy)
  • Expert Conjuration(전문가급 소환술)(75) - Expert 레벨 소환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dept Conjuration)
  • Elemental Potency(원소 성장)(80) - 소환된 아트로나치가 50% 더 강력해진다. (선행: Atromancy)
  • Twin Souls(두개의 혼)(100) - 아트로나치 2기를 소환하거나 시체 여러 구를 일으켜세울 수 있다. (선행: Elemental Potency, Dark Souls)
  • Master Conjuration(달인급 소환술)(100) - Master 레벨 소환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Expert Conjuration)

이것 저것 마구 소환하거나 소울트랩 주문을 적에게 쏘는 식으로 주로 수련한다. 낮은 버전의 스카이림에서는 시체에 대고 소울트랩을 난사하는 것만으로도 어마어마한 수련치를 쌓을 수 있었으나, 버전업이 되면서 버그픽스로 막혔다. 다만 시체가 아니라면 매번 시전해서 적에게 적중할 때마다 수련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여전하다[54].

소환 마법 듀얼캐스팅은 소환수나 소환한 무기의 세기와는 무관하고 단순히 지속시간만 늘려준다. 한손검 소환마법인 Bound Sword는 듀얼캐스팅을 하게되면 왼손에 무기를 들게된다. 양손에 무기를 들고 싶으면 마우스를 동시에 누르지 말고 시간차로 눌러야한다. 동시에 소환수를 두마리 소환하고 싶을 때도 마찬가지. 다만 지속시간 보너스는 받지 못한다. 소환무기는 데이드릭급 성능을 지닌데다 소환무기 특유의 간지나는 이펙트가 합쳐져 상당히 매력적이다. 특히 활의 경우 화살까지 같이 소환돼서 금상첨화.(화살 역시 데이드릭 화살급) 게다가 추방퍽을 찍으면 길막 골치덩이 소환수들을 한방에 없애버릴 수 있어 유용하다. 관련 퍽을 모두 찍을 경우, 소량의 데미지 증가 + 재충전이 필요없는 소울트랩 인챈 + 소환수 추방 인챈이 달린 무기가 덤으로 들어온다. 특히 활의 경우 데이드릭 급의 화살 100개를 소환할때마다 주므로, 전투적인 면이나, 인벤토리 관리면에서 상당히 편해진다. 듀얼 캐스팅을 하면 시간도 충분하므로 (웬만한 상황이 아닌 이상, 지속시간 끝날때 쯤이면 매지카가 다시 차있다.) 인챈팅과 스미싱에 크게 투자 하지 않을 플레이어라면 매우 유용하다. 스킬도 마음만 먹으면 저레벨때 먹을 수 있으므로[55] 고성능 무기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물론 단점도 존재하는데, 일단 Apprentice 레벨 소환 마법이므로 마나 소모가 만만치 않다는 것. 소모 매지카를 반으로 깎는 퍽을 찍으면, 듀얼캐스팅을 포기한채, 매지카 투자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매지카 투자가 없으면, 전사나 도적 플레이어인데, 퍽이 약간 아쉽다. 또한 도적 플레이어라면, 활을 소환할때 소리가 나므로, 일루젼관련 Quiet Casting 퍽까지 찍어야 안정적인 스닉 플레이가 가능하므로, 퍽소모가 심한편.[56]

소환 마법 듀얼 캐스팅은 지속시간만 늘어나는 식이기 때문에, 애초에 지속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달인급 소환 마법은 듀얼 캐스팅이 불가능하다. 애초에 다른 달인급 마법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양손으로 시전되기도 하고.

스킬을 100찍고 달인급 마법을 배우는 순간 적에게 역다굴을 선사해주는 무시무시한 스킬이지만 정작 초반엔 매우 잉여롭다. 유용한 퍽들이 상위 퍽에 몰려있기 때문. 특히 시작을 소환사로 한 경우 초반에 기껏해야 일반 드라우거 수준의 언데드와 화염 아트로나치만 데리고 적에게 깔작대야 한다.

5.3 파괴마법 (Destruction)

  • Novice Destruction(초심자급 파괴술) - Novice 레벨 파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 Destruction Dual Casting(파괴술 듀얼 캐스팅)(20) - 양손으로 파괴 마법 시전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선행: Novice Destruction)
  • Apprentice Destruction(견습자급 파괴술)(25) - Apprentice 레벨 파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Novice Destruction)
  • Augmented Flames(증가된 화염)(30/60) /2랭크 - 화염 마법이 25% 더 강력해진다. 2랭크시 50% 더 강력해진다.(선행: Novice Destruction)
  • Augmented Frost(증가된 냉기)(30/60) /2랭크 - 냉기 마법이 25% 더 강력해진다. 2랭크시 50% 더 강력해진다.(선행: Novice Destruction)
  • Augmented Shock(증가된 전격)(30/60) /2랭크 - 전격 마법이 25% 더 강력해진다. 2랭크시 50% 더 강력해진다.(선행: Novice Destruction)
  • Impact(충격파)(40) - 양손으로 대부분의 파괴마법 시전시 상대를 비틀거리게 만든다(선행: Destruction Dual Casting)
  • Rune Master(룬의 달인)(40) - 5배 멀리 떨어진 곳에 룬을 설치할 수 있다.(선행: Apprentice Destruction)
  • Adept Destruction(숙련자급 파괴술)(50)- Adept 레벨 파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Apprentice Destruction)
  • Intense Flames(솟구치는 화염)(50) - 상대의 체력이 낮을시 화염 데미지는 대상을 달아나게한다(선행: Augmented Flames)
  • Deep Freeze(사무치는 냉기)(60) - 상대의 체력이 낮을시 냉기 데미지는 대상을 마비시킨다(선행: Augmented Frost)
  • Disintegrate(붕괴)(70) - 상대의 체력이 낮을시 전격 데미지는 대상을 분해시킨다(선행: Augmented Shock)
  • Expert Destruction(전문가급 파괴술)(75) - Expert 레벨 파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Adept Destruction)
  • Master Destruction(달인급 파괴술)(100) - Master 레벨 파괴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선행: Expert Destruction)

몹을 매우 아프게 때려주는 방식으로 수련한다. 스킬치가 높아질수록 소비 매지카에 비례하여 수련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언제까지나 초급마법으로 수련할 생각은 포기하는 편이 좋다. 따라서 비마법사 플레이어들이 가장 올리기 힘든 계열. 돌아다니다가 파괴계열 매지카 소모 감소 옵이 좋게 달린 장비들을 봤다면 수련을 위해 모아두자. 기본 매지카 소모에 비례해 수련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매지카 소모감소옵을 아무리 많이 달고 있어도 수련치가 적게 올라가거나 하진 않는다.

파괴마법은 각 랭크별로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세 종류를 전부 마스터 하기보다는 하나에 집중 투자하는 식을 추천한다. 마법의 종류로는 볼트류가 스킬 숙련 25/75에, 광역류 50이고, 이외에 각 속성별 방어와 룬 그리고 벽을 만드는 마법이 있다. 또한 각 속성별 방어마법(Cloak) 시전시 소환물이 사라진다. 두개 다 사용하고 싶다면 소환을 나중에 하면 된다.

임팩트는 꼭 찍도록 하자. 대부분의 1대1의 싸움에서 양손으로 파괴마법을 쓴다면 마나가 모자르지만[57] 적이 오기도 전에 잡아버릴 수 있다.

마스터 마법들은 듀얼캐스팅이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양손에 마법을 들지만 마우스를 동시에 누른다고해서 데미지가 2배가 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파괴마법사의 최종마법은 듀얼캐스팅으로 임팩트를 넣어주는 익스퍼트급 마법이 된다.[58]

룬 마법은 한번에 하나 밖에 깔지 못하는 함정형 마법인지라 활용하기 어렵게 보이지만, 관 속에 잠든 드로거들을 습격할 때 매우 유용하다. 관 속에 있는 드로거나 드래곤프리스트는 일정 거리 이상 다가가거나 보물 상자를 여는 것이 트리거가 되는 경우가 많아 갑작스런 습격을 당할 때가 많은데, 룬 마법으로 습격을 가하여 하나하나 쓰러뜨리면 전황을 보다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또한 룬의 달인 퍽을 찍는 순간 사정거리가 엄청나게 늘어나므로 유사시 저격용이나 전투용으로 사용해도 무방. 임펙트 퍽이 적용되지 않는 대신 스플래쉬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적이 뭉쳐 있는 상황이라면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다.

여담으로, 화로 위에서 회복마법을 쓰며 돌아다니고 있을때 어째서인지 모르지만 파괴마법도 가끔 오른다(...)

5.4 환영마법 (Illusion)

  • Novice Illusion(초심자급 환영술) - Novice 레벨 환영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 Illusion Dual Casting(환영술 듀얼 캐스팅)(20) - 양손으로 환영 마법 시전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선행: Novice Illusion)
  • Animage(동물술사)(20) - 환영 마법이 더 높은 레벨 동물에게도 시전 가능해진다. (선행: Novice Illusion)
  • Apprentice Illusion(견습자급 환영술)(25) - Apprentice 레벨 환영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Novice Illusion)
  • Hypnotic Gaze(최면의 시선)(30) - Calm 마법이 더 높은 레벨 대상에게도 적용된다. (선행: Novice Illusion)
  • Kindred Mage(유사 마법사) (40) - 모든 환영 마법이 더 높은 레벨 사람에게 적용된다. (선행: Animage)
  • Adept Illusion(숙련자급 환영술)(50) - Adept 레벨 환영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pprentice Illusion)
  • Aspect of Terror(공포의 형상) (50) - Fear 마법이 더 높은 레벨 대상에게도 적용된다. (선행: Hypnotic Gaze)
  • Quiet Casting(고요한 시전)(50) - 마법 학파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전하는 모든 마법이 다른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는다. 용언도 해당된다.(선행: Kindred Mage)
  • Rage(격노)(70) - Frenzy 마법이 더 높은 레벨 대상에게도 시전 가능해진다. (선행: Aspect of Terror)
  • Expert Illusion(전문가급 환영술)(75) - Expert 레벨 환영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dept Illusion)
  • Master of the Mind(정신 지배자)(90) - 환영 마법이 언데드, 데이드라, 기계류 몬스터에게도 적용된다. (선행: Rage, Quiet Casting)
  • Master Illusion(달인급 환영술)(100) - Master 레벨 환영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Expert Illusion)

수련을 할 때 사람이 많은 곳, 이를테면 마을 같은 곳을 고르면 좋다. 추천 스펠은 머플. 이거 쓰고 사람들 사이에서 막 돌아다니다 보면 수련치가 잘 오르는 편. 이렇게 점점 올리다가 인비저빌리티가 뜨면 그때부터 그쪽으로 갈아타거나 아니면 둘 다 번갈아가면서 쓰는 식으로 올리면 좋다. 물론 도적들 상대로 무한평온 걸면서 노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레벨상한에는 주의하도록 하자.

주문의 적용 레벨을 초과하면 아예 효과가 없는 마법특성상 어중간하게 몇 개 찍는 것보다 작정하고 다 찍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뭐가 어떻게 꼬였는지[59] Aspect of Terror 퍽을 찍으면 파괴마법의 화염 주문의 위력이 10 상승한다. (출처는 http://www.uesp.net/wiki/Skyrim:Illusion)

어째서인지 이쪽도 파괴마법처럼 마스터 마법이 듀얼캐스팅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때문에 모든 퍽을 찍게 되면 마스터 마법보다 듀얼로 시전한 하위 마법의 효과가 더욱 강력해진다.

도적, 궁수 계열 플레이어에게 좋은 마법군이다. 실제로 게임내에서도 시프길드 멤버 몇몇은 환영계열 마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특히 소음제거 마법은 중갑떡칠로 입고다녀도 은신 잡입이 가능하게 해주는 사기마법.

다만 환영계열은 어지간한 퍽들이 필수요소급이라 퍽 소모가 은근히 심하다.

5.5 회복마법 (Restoration)

  • Novice Restoration(초심자급 회복술) - Novice 레벨 회복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 Restoration Dual Casting(회복술 듀얼 캐스팅)(20) - 회복 마법을 양손으로 사용시 효과가 더욱 증폭된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Regeneration(재생)(20) - Healing 마법으로 회복시 체력을 50%만큼 더 빨리 회복한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Apprentice Restoration(견습자급 회복술)(25) - Apprentice 레벨 회복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Recovery(회복)(30/60)/2랭크 - 매지카 회복율이 25%만큼 빨라진다. 2랭크 도달시 50%만큼 빨라진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Respite(휴식)(40) - Healing 마법류가 체력뿐만 아니라 스테미너도 회복한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Adept Restoration(숙련자급 회복술)(50) - Adept 레벨 회복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pprentice Restoration)
  • Ward Absorb(흡수 보호막)(60) - 방어 마법을 시전하는 중에 마법 공격을 받으면 매지카가 회복된다. (선행: Novice Restoration)
  • Necromage(사령 마법사)(70) - 모든 마법이 언데드에게 더 효과적으로 변한다. (선행: Regeneration)
  • Expert Restoration(전문가급 회복술)(75) - Expert 레벨 회복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Adept Restoration)
  • Avoid Death(죽음 회피)(90) - 하루에 한번, 체력이 10% 밑으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250포인트의 체력을 회복한다. (선행: Respite)
  • Master Restoration(달인급 회복술)(100) - Master 레벨 회복 마법의 매지카 소모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선행: Expert Restoration)

체력을 회복시키는 방식으로 수련한다...당연하지만. 회복대상은 플레이어 자신이거나 동료 NPC이거나 상관없다. 동료를 회복시키다보면 "오오오 님 쩌는듯 기분 쥑이네여" 라는 느낌의 특별 멘트도 가끔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회복시키는 정공법보다는 드로거 등의 언데드를 상대로 도망치게 하는 스펠을 쓰는 쪽이 더 수련치가 잘 오르고 효율적이다. 체력은 회복시키다보면 꽉 차버리니 다시 몹한테 얻어맞던가 해야하지만 언데드는 도망치다 다시 쫓아오기도 하고 쫓아가면서 계속 갈궈댈수도 있고 수련치는 쫙쫙 오르기 때문.

기술수치 40의 스테미너 회복이 유용한 편이고 90의 Avoid Death도 쓸만하지만 쓰기가 애매한편. 어보이드 데쓰는 맨손 대 맨손으로 싸워야 할 일이 있을때 의외로 빛을 발한다. 아무리 방어도가 걸레인 순법사라도 에보니 피부 걸고 겁나게 패다가 죽을쯤 되면 피도 한번 채워주니 대부분의 결투에선 낙승. 마스터 등급의 스승은 화이트런 키나레스 성당의 여사제님. 선행 퀘스트를 클리어해야 한다. 워드 마법은 60의 퍽을 찍어야 한다. 성공적으로 마법을 방어하면 매지카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와드는 변이마법의 같은 효과를 가진 아트로나치 퍽에 비해 별로인 감이 있으나 아트로나치 퍽은 일정 확률로 발동하고 워드는 일단 방어에 성공하면 100%로 흡수한다. 70의 네크로메이지 퍽의 경우 설명이 다소 애매한데, 무슨 마법이든(회복마법 외 다른 마법들도 포함) 대상이 '언데드' 상대면 무조건 그 효과에 25%를 곱해 주는 셈이 된다. 즉, 언데드 상대로 파괴마법 데미지도 오르고, 변이마법의 마비 성공율도 오르고, 환영마법의 레벨제한도 내려간다. 심지어 플레이어 본인이 뱀파이어, 즉 언데드일 경우 자기자신에게 거는 버프나 회복 주문 등도 효과가 25% 상승한다. 으아니

인챈팅과 더불어 비 마법사 캐릭터가 찍어도 좋은 트리 중 하나다. 비마법사라면 매지카를 많이 투자하지 않을텐데, 관련 트리의 퍽으로 50% 까지 찍어줄수 있다. 기본 매지카(100)에 50%면 전사나 도적의 경우 회복마법을 전투 끝날때마다 써도 좋을정도. 또한 회복마법 사용시 스태미너를 회복해 주는 Respite의 경우 매우 유용하다. 만피여도 스태미나는 차므로, 던전내에서 달리다가 스태미너 딸리면 회복마법 한 두어번 써주고 또 달릴수 있게 해주므로. 또한 기본적으로 영구 10% 증가버프 가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제일 부담이 덜하다.

마스터 트레이너가 유일하게 윈터홀드 대학에 없는 경우. 본편에서 마스터 트레이너가 화이트런 여사제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접근성이 다른 마법보다 낮긴한데, 퀘스트를 해야 수련이 가능하므로 애매하다초반에 수행하려 들다간 헤그레이븐과 스프리건에게 확찢당한다. 하지만 고급 기술을 사려면 어차피 윈터홀드 대학에 입학해야 하니, 그게 그거다. 그 외 던가드에서 던가드 팩션으로 진행한다면 서브퀘스트로 좀 맛이간 아케이 사제를 구하게 되는데, 이 사람도 마스터 트레이너이다.

5.6 마법부여 (Enchanting)

  • Enchanter(마법부여가)(0/20/40/60/80)/5랭크 - 새로 인챈트할때 20% 더 강력해진다. 랭크당 20%씩 추가. 5단계 모두 찍으면 2배의 효과
  • Soul Squeezer(영혼 쥐어짜기)(20) - 소울젬으로 무기를 재충전할때 충전량을 더 많이 얻는다.(선행: Enchanter)
  • Fire Enchanter(화염 부여)(30) - 무기나 방어구에 화염과 관련된 마법을 인챈트시 25% 더 강력해진다.(선행: Enchanter)
  • Soul Siphon(영혼 흡수)(40) - 인간이 아닌 피조물에게 죽음의 일격을 날렸을 때 희생자의 총 영혼량의 5%를 가두어, 무기의 충전량을 채운다. (선행: Soul Squeezer)
  • Frost Enchanter(냉기 부여)(40) - 무기나 방어구에 냉기와 관련된 마법을 인챈트시 25% 더 강력해진다.(선행: Fire Enchanter)
  • Insightful Enchanter(통찰의 마법부여가)(50) - 방어구에 인챈트시 25% 더 강력해진다.(선행: Enchanter)
  • Storm Enchanter(전격 부여)(50) - 무기나 방어구에 전격과 관련된 마법을 인챈트시 25% 더 강력해진다.(선행: Frost Enchanter)
  • Corpus Enchanter(신체 마법부여가)(70) - 방어구에 체력, 매지카, 스테미너를 인챈트시 25% 더 강력해진다.(선행: Insightful Enchanter)
  • Extra Effect(추가 효과)(100) - 하나의 아이템에 2개의 인챈트가 가능해진다.(선행: Storm Enchanter, Corpus Enchanter)

전부 다 좋은 퍽이라 딱히 버릴게 없다. 정 필요없다고 할만한건 안쓰는 속성의 강화퍽 정도다. 패치 이후, Soul Squeezer는 Petty Soul Gem(가장 작은 소울 젬 사이즈)도 무기의 충전량을 상당히 채워주게 만들고, Soul Siphon 퍽은 소울 젬 없이도 마법부여가 된 무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60]

모든 클래스가 병행하면 좋은 생산군이며, 스미싱과 병행하면 제작품에 인챈트를 붙여 파는걸로 소득을 훨신 더 늘릴 수 있다.[61] 생산군처럼 제작, 해체행위 자체에 경험치가 붙는 방식이므로 작업용엔 용량이 작은 소울젬이나 블랙스타를 사용하는걸 추천. 딱히 빨리 올리는 꽁수는 없다. 그저 많이 만드는 것뿐. 해체는 한번 해체한 인챈트는 이미 획득한 상태로 취급해서 해체도되지않아서 초반이외엔 스킬 레벨업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소울트랩 인챈트를 구하는게 좋다.[62]

인챈트에서 주의할 점은 단검은 한손무기인데도 한손무기 대미지 증가 인챈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한손무기 대미지 증가 퍽은 제대로 받는데도 불구하고) 역시 모드로 수정 가능하다.
또한 Extra effect같은 경우 기존에 있던 무기에 마법효과를 +1하는게 아니다. 마부 한번에 2가지 효과를 바를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장비를 버리고 가야한다는 단점이 존재. 괜찮다 제련이 있으니까 아니면 콘솔 창 열고 player.additem f 9999 치고 대장간으로 러쉬

가장 큰 단점이 있는데 갑옷(의류포함)계열의 마나회복 인챈 성능이 아주 똥이다. 상점에서 파는 것들은 100%, 125% 준수한 성능이지만 플레이어의 인챈으로는 퍽 투자 없이는 끽해야 20%를 웃도는 수준이다.[63] 거기에 각 마법 학파의 매지카 소모 감소 + 매지카 회복 옵션의 경우 매지카 회복 옵션이 10%로 고정이다. 그래서 아크메이지 로브를 따라갈 아이템이 없다. DLC 던가드에서는 매지카 회복률만 125%인 귀족 뱀파이어 의상이 등장하긴 했지만 다른것 없이 회복률만 올려줬다는 점에서 아쉬운 편.

반면에 갑옷 계열의 마나 소비율을 줄여주는 인챈 성능은 나쁘지 않을 뿐더러 옷 경갑 중갑이 동일하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어느 한 종류 마법의 마나 소비를 줄이는데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중갑세트 입었는데 파괴마법 마나 소비 제로 = 파괴신 강림 같은 짓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렙업할때 마나에 좀 신경쓴다면 중갑 전투 마법사도 꿈이 아니다.

사실 게임이 나온 극초반에는 인챈트 관련으로 이것저것 밸런스 문제가 많았다. 가령 최초 버전의 스카이림에는 최신버전에는 없는 인챈트 강화 인챈트가 있었다. 이걸 떡칠하고 인챈질을 하면 그만큼 성능 강화된 인챈이 붙는 방식으로...그리고 이걸 무한반복하면 행성파멸급 장비가 나온다. 게임상에서 등장하는 인챈트 스킬북 "방어구 마법부여 목록"에서도 해당 인챈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이 패치를 거듭하는 사이 인챈트 강화 인챈트는 쥐도새도 모르게 사장되었고, 매지카 소모 감소+회복속도 증가 인챈트 또한 초기에는 유저가 인챈트 100과 관련퍽만으로 25%/150% 옵을 달아줄 수 있었으나 점차 너프되더니 이제는 상점제조차도 25%/150%옵은 마스터급 회복계열 로브밖에 없는 실정이다. 나머지는 달인 붙어봐야 22%나 20% 정도... 다만 팔다리에 붙이는 학파계열 감소인챈의 경우 정상적으로 25% 해주는게 가능하니 비 메이지 계열 유저들도 마법수련에 큰 문제는 없다.

팁이라면, 소울트랩 인챈트의 경우 다른 인챈트와 달리 효과를 줄여도 손해가 거의 없다. 다른 인챈트의 경우 효과를 줄이면 차지횟수가 늘어나고 위력이 줄어들지만, 소울트랩의 경우 소울트랩 마법효과의 시간만 줄어들고 차지횟수가 늘어난다. 최소는 1초이고, 어차피 무기로 막타를 칠 경우 1초나 10초나 똑같이 소울이 들어오니 시간을 1초로 줄이고 차지횟수를 최대로 늘리는게 효율이 좋다. 또한 보통 소울트랩 인챈트와 비슷한 Firery Soul Trap 인챈트가 있는데, 보통 소울트랩 효과에 10데미지 화염 데미지를 주고 차지횟수를 줄이던 늘리던 이 데미지는 고정돼있다. 이 유니크 인챈이 붙은 무기는 던스타 남동쪽 산맥 남동쪽에 위치한 Ironbind Barrow 마지막 방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중후반 가면 화염대미지 10은 별 것 아닌 데미지이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단 낫다. [64] 파괴마법의 화염마법 데미지 증가 퍽이 찍혀있는 경우 화염대미지 10은 15로 바뀐다. 마찬가지로 각종 속성데미지들도 해당 속성 퍽이 찍혀있으면 데미지가 증가한다. 버그로 1.9버전 기준으로 무기에 속성데미지 인챈트를 두 개 박으면 각각의 속성 데미지 증가 퍽이 찍혀있는 경우 각 속성 인챈트 데미지가 약 2.25배 증가된다! 삼신기를 갈고닦은 경우 이 무기의 속성데미지만 65+65=130 인 괴랄한 무기가 탄생한다. 또한 각 속성인챈트의 부가효과들도 고스란히 중첩되므로 전격과 냉기피해를 인챈트하면 매 공격마다 130의 속성데미지 + 매지카, 지구력 피해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해당 무기의 데미지 강화 인챈트를 4개 바른 방어구와 파괴마법 매지카 소모 감소 100% 및 해당 무기종류 데미지 강화 인챈트 2개를 바른 방어구를 비교해도 데미지면에서 크게 밀리지 않는다.다만 이쯤 되면 스카이림의 많은 몹들이 이미 녹아 있을 확률이 높다

Muffle과 Waterbreathing 인챈은 소울젬 크기에 상관없이 무조건 같은 효과가 나오므로, 굳이 제일 비싼 소울젬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마법 부가 인챈트 레벨을 올리기 위해서는 당연히 마법 부가를 많이해야하지만, 제련과 같은 원리로 비쌀수록 수련치가 더 빠르게 오른다. 먼저 언급한 Muffle 이나 Waterbreathing은 소울젬에 상관없이 같은 효과가 나오긴 하나, 일단 기본적으로 싸다.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은 은신이고, 은신 인챈트가 불가능할 경우 한손무기 강화나 파괴 마법 강화, 마비가 비싼 편이다. 그냥 하나하나 확인해보면 된다. 참고로 최하급 소울젬으로는 Muffle이나 Waterbreathing이 경제적이나 하급부터는 그냥 은신 인챈트가 최고다. 가격비교를 하면서 인챈트를 하면 더 빠르게 마부 100을 찍을 수 있다.알케미, 스미싱과는 달리 인챈팅의 경우 결과물의 가격, 소울 젬의 크기, 인챈트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동일한 수치가 오른다. 따라서 사기 장비, 물약을 만들 경우 알케미나 스미싱은 한번에 여러 단계 스킬 레벨이 오를 수 있으나 인챈팅은 그렇지 않다. 단, 비싼 아이템을 제작할 경우 그만큼 추가로 소울 젬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스킬이 빠르게 오른다고 할 수 있다.

추방 인챈트의 경우 성능의 차이는 크지만 이 게임 최고의 창렬 인챈트이다. 어느정도냐면 연철 단검에 최하급 영혼석으로 인챈트를 해도 2천 골드가 넘기 때문(...). 수련을 위해서라면 그냥 싸고 만들기도 쉬운 연철 단검을 잔뜩 만들어서 인챈트 하고 교환소에서 소울젬을 싸그리 산 다음에 교환해도 이득을 볼 정도이다.

스킬을 빠르게 올리는 방법은, 제작관련 3스킬이 다 그렇듯이 꼼수가 없다. 인챈트를 붙여서 하나하나 정직하게 올려야만 한다. 그래도 가장 추천하는 방법이라면 일단 초중반 블랙스타 + 은신 인챈트, 그리고 추방을 얻은 이후 추방 인챈트붙은 무기들을 찍어내는것.

좀 자세히 서술하면 일단 블랙스타는 퀘스트 진행에 레벨 제한이 전혀 없이 레벨 1에서도 여관에서 소문을 들어서 마크를 띄울 수 있는데다가[65]레벨 스케일링이 잘 적용된 퀘스트라 11렙 이하에서 얻을 경우 일리날타의 심원에서는 네크로맨서 1단계가 잡몹, 3단계 짜리가 보스몹으로[66]. 검은 별 안에서는 1단계 드레모라가 등장해서 초급 화염마법을 쓰는 등 상대적으로 엄청나게 약한 적들이 등장한다. 물론 나도 약한 상태라 고난이도에서 해당 던전들을 클리어하는게 물론 꽤 어려운 편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숙련된 플레이어라면 불가능한 수준은 아니다.

팁이라면 일단 등장 몬스터 거의 전부 마법 공격을 구사하므로 아트로낙 선돌은 필수로 찍어주고 블랙스타를 얻은 후 얻을 돈을 생각하고 돈을 아끼지말고 좀 창의적으로 플레이할 경우 충분히 생각보다 훨씬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은신 궁수라면 소환 활이나 던가드에서 얻은 석궁정도만 있으면 간단하게 깰 수 있고, 소환사라면 시체 부활 주문으로 네크로맨서를 부활시켜서 몸빵을 시킨다던가 소환스킬 40찍은 후에 퐁듀먹고서 강력한 소환 수인 서리 아트로나크를 써준다던가, 근접 캐라면 마비 포션을 몇 개 발라서 던전 보스급 적에게 쓴다던가. 렙 11에서 고의로 레벨 업을 안하고 있다가 블랙스타 안에 들어간 다음에 적 나오는거 보고서 회복 용도로 레벨 업을 한다던가. 사실 난이도와 클래스 상관없이 통용되고 가장 좋은 팁은 초반 치트키 수준의 강력한 소환수+마법 공격을 하는 적 = 해당 퀘스트의 모든 적을 바보로 만드는 전격의 정령 스크롤을 두 개 사둔 후 일리날타 심원의 첫 번째 던전 보스 전에서 + 검은별 들어가자마자 써주면 전격의 정령이 알아서 나머지를 모두 정리해주는 OP급의 활약을 보여준다. 화술 낮은 초반에도 한 500원쯤 하는 싼 스크롤인데다가 마법사들이 높은 확률로 팔기 때문에 넬라카+윈터홀드 대학의 상인들과 거래하면 정말 2개는 반드시 구한다.

이런식으로 모든 종족+타입의 도바킨들이 초반부터 정말 간단하게 이 퀘스트를 클리어 가능하다. 사실 각종 마법 저항,냉기,화염 속성 저항이 있는 브레튼, 노드, 던머는 훨씬 더 쉽게 깰 수 있고..

이렇게 초반부터 블랙스타를 얻은 후 상점마다 들려서 상점에서 사든, 루팅으로 줍든, 도둑질을 하든, 은신 인챈트를 하나 얻어주면 초반부터 강도 목 하나 => 2000원(특급 소울젬 사는돈+은신 인챈트 붙은 상품 파는돈)이라는 공식이 완성되고[67] 이렇게 얻는 돈으로 스킬 수련과 함께, 한손검 or 양손검 or 파괴마법 or 궁술 등등 자기 주력 무기기술 강화 인챈트를 하나 사서, 블랙 스타로 해당 장비들을 찍어내면 초중반부터 특급 소울젬으로 만들어내는 인챈트 풀셋과 함께 게임을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는 돈으로 하우징도 빨리하고 제련 강화 인챈트 세트와 연금술 강화 인챈트 세트도 적절한 타이밍에 찍어주면 제련과 인챈트도 매우 빨리 올릴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초반부터 적절하게 인챈트 레벨을 올린 후 20~30렙 넘어서 상점에서 추방 인챈트가 나오면 사서 해체 한 후 추방인챈트를 본격적으로 찍어내자.

6 늑대인간/뱀파이어 로드 퍽

퍽 포인트당 필요 킬수
1234567891011총계
5명6명9명11명13명15명17명19명21명23명25명164명

늑대인간은 컴페니언즈 퀘스트를 하다보면 변신 가능해지며 뱀파이어 로드는 DLC 퀘스트를 진행할 때 뱀파이어 진영에 가담하거나, 던가드 진영 편에 섰을 때는 최종 퀘스트인 Kindred Judgement까지 진행한 후 세라나 (Serana)에게 뱀파이어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단, 세라나가 뱀파이어 증세를 치료하지 않았을 때만 가능하다.

변신을 해야만 스킬트리 열람이 가능해지고, 퍽을 올리려면 역시 변신한 상태에서 '인간형' NPC의 시체에 액션버튼(PC판은 E)을 눌러서 심장을 먹거나 흡혈을 해야한다. 둘을 비교하면 아무래도 흡혈귀가 유리한 편. 늑대인간은 먹을 수 있는게 인간 시체로 한정되어있는 반면, 뱀파이어로드는 파이어볼처럼 범위마법인데다가 동물로 머릿수에 들어간다!

6.1 늑대인간

  • Bestial Strength/4랭크 - 늑대인간 상태에서 공격력이 25%/50%/75%/100% 증가한다.
  • Totem of ice Brothers - Howl of the Pack이 두 마리의 아군 Ice Wolf를 소환한다. (선행: Bestial Strength)
  • Totem of the Moon - Howl of the Pack이 두 마리의 아군 Werewolf를 소환한다. (선행: Totem of Ice Brothers)
  • Totem of the Predator - Totem of the Hunt Howl(Scent of Blood)의 범위가 확장되고 대상들이 비전투중인지 탐색중인지 또는 전투중인지 보여준다.(선행: Bestial Strength)
  • Totem of Terror - 늑대인간의 Howl of Terror가 더 높은 레벨의 적에게 통한다. Totem of Fear 효과 필요. [68](선행: Bestial Strength)
  • Animal Vigor - 늑대인간 상태에서 체력과 스테미나가 100 추가.(선행: Bestial Strength)
  • Gorging - 죽은 적을 먹고 회복하는 체력이 두배로 증가. (선행: Animal Vigor)
  • Savage Feeding - 거의 모든 생명체를 먹이로 삼을 수 있다. 사람의 아닌 적을 먹으면 변신 지속시간 증가가 절반. (선행: Gorging)

가장 밑의 Bestial Strength는 4개 다 찍을시 공격력 증가량이 100%인데 당신이 레벨 45 이상이라면 죽빵 한대에 160 이라는 미친 데미지를 가할 수 있다!

Totem 류의 퍽은 컴패니언즈 메인퀘스트를 모두 끝내고 사냥꾼 에일라가 주는 토템 찾기 퀘스트를 완료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다 찍는다고 포효 한번에 모든 효과가 다 튀어나오는게 아니기 때문에 주의하자. 퍽의 효과를 보려면 각각 적용되는 토템을 활성화 시켜야한다. 에일라가 해당 퀘스트를 주기 전까지는 아무리 하고 싶어도 모을 수 없는게 토템이다보니 퍽 사용이 대단히 어려운 편.

Savage Feeding 퍽은 되도록 빨리 찍어주자. 늑대인간은 인간만 먹을 수 있어서 퍽 포인트 얻기가 뱀파이어 로드에 비해 괴랄스럽게 어려운데 해당 퍽을 찍으면 난이도가 벰파이어 로드와 비슷해지며 심지어 더 재밌다! Savage Feeding퍽이 있으면 다른 생명체, 즉 동물이나 크리쳐들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처음 4 퍽 포인트를 얻으려고 31명만 죽여 먹으면 된다. 많은 사람들이 늑대인간을 좋아하는 이유는 피터지는 잔인함 때문에다 가는길에 심심하면 지나가던 군인들이나 동물들을 죽여 단백질을 섭취하면 되기에...본격 베어 그릴스 체험기 그게 아니더라도 사람이 많은 던전[69]을 돌 경우, 미리 다 죽여둔 뒤 늑대인간으로 변신해서 이제까지 죽이고 루팅한 시체들을 한번씩 먹어주고 나가면 보다 손쉽게 클리어 가능하다.[70]
Totem of the Moon 퍽은 거의 늑대인간의 오의라고 할 수 있는 수준. 높은 난이도라면 AI한계가 조금 있지만, 보통 수준에서는 말 그대로 늑대인간이 셋으로 불어나기 때문에 엄청난 위용과 무쌍을 볼 수 있다.

6.2 뱀파이어 로드

퍽 포인트당 필요 킬수
1234567891011총계
5명6명9명10명12명14명16명18명20명22명24명156명
  • Power of the Grave - 뱀파이어 로드 상태에서 체력, 스테미나, 매지카가 50 증가한다.
  • Detect All Creatures - Night Power: 드워프 자동기계를 포함한 모든 NPC를 감지한다. (선행: Power of the Grave)[71]
  • Mist Form - Night Power: 무적 상태의 안개로 변해 체력, 스테미나, 매지카를 회복한다. (선행: Detect All Creatures) [72]
  • Supernatural Reflexes - Night Power: 빠르게 움직여 적들을 느려보이게 한다. (선행: Mist Form)[73]
  • Blood Healing - 적을 파워어택으로 죽이면 체력을 회복한다.(선행: Power of the Grave)
  • Unearthly Will - Night Power와 Blood Magic의 자원 소모가 33% 감소한다. (선행: Power of the Grave)
  • Poison Talons - 근접 공격이 20의 독 피해를 입힌다. (선행: Unearthly Will/Blood Healing)
  • Night Cloak - 전투 상태일 경우 근접거리내에 있는 적을 박쥐떼로 물어뜯게 한다. (선행: Poison Talons)[74]
  • Vampiric Grip - Blood Magic: 대상을 끌어당긴후 목을 졸라 피해를 준다. (선행: Power of the Grave)
  • Summon Gargoyle - Blood Magic: 소환자를 위해 싸우는 가고일을 소환한다. (선행: Vampiric Grip)
  • Corpse Curse - Blood Magic: 대상을 마비시킨다.(선행: Summon Gargoyle)

뱀파이어 로드가 되면 두 범주의 기술을 익힐 수 있다. Night Power는 보조형, Blood Magic은 공격형이다.

늑대인간이 기본 능력치를 높혀서 싸우는 전사형이라면 뱀파이어 로드는 특수한 마법들로 싸우는 배틀메이지형으로 보인다. 또한, 퍽중 많은 양이 포효와 비슷해서, 어느 정도는 변신 전과 비슷한 스타일을 유지할 수도 있다.

잠입 (Ctrl) 키로 근접 모드와 마법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근접 모드일 때는 발톱으로 공격하며 체력이 낮은 인간형 적을 상대로 파워 공격시 일정확률로 흡혈 공격이 발동한다. 마법 모드시에는 오른손에는 Drain Life, 왼손에는 Raise Dead 마법을 기본으로 장비하고 있다.[75] 뱀파이어 로드의 퍽을 얻기 위해서는 흡혈 공격을 하거나, Drain Life 주문으로 적을 일정수 이상 죽여야 한다. 늑대인간과는 달리 처음부터 동물이나 드로거를 죽여도 특성이 올라가긴 하지만, 물리공격에 올인한 늑인과는 달리 레벨이 올라도 마법이나 손톱 모두 딱히 강해지진 않는다.[76] 때문에 만렙까지 필요한 킬 포인트는 오히려 늑대인간보다 적다.

회복의 피(Blood Healing) 퍽은 꼭 찍을 것을 추천한다. 대낮에 던가드 단원들과 만나도 변신 시간만 확보하면 대등하게 붙을 수 있다. 막타로 파워어택을 날리면 일정확률로 물어뜯는데, 이 퍽을 찍을 경우 물어뜯으면 체력 풀회복이 된다. 이렇게 물어뜯으면 특성수치도 오르니 꿩먹고 알먹고. [77] 다만 이 퍽은 '맹독 손톱(Poison Talons)'과 상성이 조금 떨어지는데, 막타를 넣기 어중간한 경우 독 데미지로 죽어버리는 경우가 꽤 많기 때문. '밤의 망토(Night Cloak)' 역시 조금 애매하다. 근접 전투시 생존에는 도움이 되지만, 정작 물어뜯으려 할 때는 박쥐떼가 선수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또한 Vampiric Grip퍽은 후반부에도 유용하게 쓰일수 있는 뱀파이어 로드만의 오의라고 할수 있다. 이 퍽은 집중형 주문이지만 꼭 집중하고 있을필요 없이 살짝 당겨주기만 해도 적들이 사방팔방으로 날아다니며 넉백당하는 절륜함을 보여준다. 이 주문 하나 덕에 1:1은 말할것도 없고 일대다 전투에서까지 차례대로 하나씩 넉백시켜주면 적들은 Drain Life에 피가 다 빨릴때까지 계속 넘어지며 정신을 못차린다. 넉백시간 자체는 Corpse Curse가 몇배이상 길긴 한데, 적들중에 상태이상 내성을 지니는 적들이 많은지라 변화계열 주문인 Vampiric Grip이 좀더 안정적이고 마나소모량도 적다.

  1. 다시말해 그저 무기를 휘두른다고 레벨이 올라가는 게 아니고 무기를 휘둘러 적에게 타격을 입혀야 효과가 있다는 말이다.
  2. 누적 데미지가 같다면 몇 번을 막았는지는 영향이 없다.
  3. 활도 화살을 걸기 전에 오른클릭을 하면 블록샷을 날린다.
  4. 물론 가드를 올린 상태의 방어력이 적용된 데미지.
  5. 참고로 방패 중에 가장 넓고 큰 물건은 이스그라모르의 방패다.
  6. 양손검사도 블록퍽이 거의 필수적인데, 블록 러너를 위해 결국은 모든 블록을 다 찍어줘야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7. 따라서 퀵 리플렉스드를 찍었을때 파워어택을 막게되면 방패치기로 반격하거나 그냥 맞아줘야 된다.
  8. 분명 돌진을 멈췄는데도 캐릭터에게 돌진하던 당시의 초록색 이펙트가 계속 남아 있어, 근접한 유닛을 날려버린다.
  9. 중갑 착용 페널티만을 의미한다. 냉법 맞으면 느려지기는 마찬가지다.
  10. 랫웨이의 부랑자중 '주먹의 자이언'이 쓰는 권투 글러브에서 맨손데미지 추가 인챈트를 얻으면 인챈트 레벨이 좀 빵빵하다는 가정 하에 스카이림을 주먹으로 평정하는 것도 꿈은 아니다.카짓이라면 존나좋군
  11. 방패가 경갑이거나, 드워븐으로 Matching Set 을 만족했는데 방패는 오키쉬 라거나.
  12. 속도와 적용여부가 어느 손에 어떤 종류의 무기를 드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렇다, 같은 무기라도 어느 손에 쥐느냐에 따라 효과가 180도 변하는 것이다!
  13. 쌍수 보너스를 받을 수 있기는 하다. 오른손에 검이나 메이스, 도끼를 들었을 경우에만.
  14. 스닉캐를 키울거라면 추천하지 않는다. 한손검은 단검과 달리 공격시 소음이 나므로, 한마리 잡으면 근처에 있는 적들이 수색을 시작한다, 즉 스닉 어택 연속으로 하기 힘들다는것.
  15. 양손 모두 단검을 드는 쌍수 단검 스닉은 3회 공격하는 다른 쌍수와는 달리 4회타격이다. 게다가 한 호흡으로 치기 때문에 '암살자의 칼날'효과를 연속으로 때려넣을 가능성도 높은 편. 다만 첫 일격에 왼손 단검을 역수로 쥐는 모션이 있기 때문에 약간 선딜이 있다는 것은 감수해야한다. 일단은 룩과 걸렸을때 빠른 처리를 위해서 사용한다는 마음을 먹자.
  16. 다만, 넉다운에 면역인 적에게는 효과가 들어가지 않는다.
  17. 예를 들어, 도적(Bandit)의 최상위 개체인 머라우더의 레벨은 25인데 체력은 무려 489에 데미지 2.5배라는 NPC 전용 퍽이 찍혀있다. 참고로 플레이어가 레벨 25까지 체력에만 몰빵해도 340밖에 안되는데다 무장전사나 야만전사 퍽을 풀로 찍어도 데미지 보정은 2배밖에 안된다. 도적들이 이정도고 드라우그 같은 경우 자체레벨 21인 드라우그 재앙꾼의 체력은 700(...)이다. 당연히 제련 퍽 찍지 않으면 동레벨로 붙어서 절대로 이길수가 없다.
  18. 드래곤 판금 세트는 데이드라 중갑보다 방어력이 떨어진다.
  19. 경갑 트리로 갈 경우에는 스틸-엘븐-스케일(미늘)-글래스-드래곤 루트에다 아케인 블랙스미스 하나만 더 찍어주면 완성인데 비해 중갑트리는 스틸-드워븐-오키쉬-에보니-데이드릭-드래곤으로 2티어나 차이가 난다.
  20. 단, 이 경우 퍽은 아끼지만 장비 면에서는 눈물 날 수도 있다. 엘븐 무기 자체는 오키쉬와 에보니 사이쯤의 스펙인데, 스미싱 레벨 30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시작하자마자 힐스트림 캠프에서 광석변환부터 배우고 미친 듯이 금·은붙이를 찍어내야 숨통이 트인다. 아니면 데이드릭 퀘스트를 조금 일찍 시작해도 되지만...
  21. 에보니와 수은, 강철을 갖고 있다면 노르딕 장비를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다. 제련 50에 만드는데다 위력은 에보니와 동급이다.
  22. 다만 단검중 에보니 단검의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쉬운 마음이 있을 수는 있다.어차피 스닉단검은 한방에 보내는데 뭐
  23. 사실..희대의 사기 기술중에 하나다. 바로 본론부터 말하자면 1000골드 정도를 들고 이미돈이 없거나 적은 NPC에게가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돈을 숙련도에 따라 적당한 금액을 넣었다 뺐다를 반복하면 소매치기 숙련도와 레벨업의 멈출수 없는 질주를 볼수있다 창조경제그리고 소매치기 숙련도를 정당히 올렸다 하면 다른 숙련도를 올리기위해 숙련도 교관들에게 찾아가서 배우고 돈을 다시 소매치기하고 다시배우고 그돈 다시 훔치고를 반복하면 숙련도 50~60 정도까지는 무난하게 질주할수 있다. 교관들이 당신을 손봐주라며 폭력배들을 보내긴 하지만
  24. 도둑 길드 연습실에 해제해도 곧바로 잠기는 연습용 자물쇠가 단계별로 모두 모여있긴 하다.
  25. 허스파이어 DLC가 있을 때에만 얻을 수 있다. 연어에게서 얻기는 하는데, 호수에서 노는 놈을 그냥 채취하면 연어 살 밖에 얻을 없고 폭포를 거슬러 오르는 연어를 채집하거나, 아니면 호수에서 노는 녀석들을 Fus Ro Da!로 기절시켜서 채집하면 연어알이 나온다.용언으로 임신을 시키나?
  26. 솔스타임 거주 몬스터. 리클링이 멧돼지를 자주 데리고 다니며 엄니를 소지하고 다니는 관계로, 리클링 거주지를 털면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당연히 드래곤본 DLC가 있어야 한다.
  27. 물론 상한선이 있어 어느정도 포션을 중첩하다보면 결국 포션의 효과가 마이너스가 되어버린다.
  28. 참고로 이 버그는 Restoration 포션의 효과가 너무 낮은 상태에서는 뻥튀기가 제대로 안되므로 실패한다. 잘 안되면 연금술 퍽을 찍거나 인챈트의 효과를 높이자.
  29. Fortify Archer 포션은 조준 이후 복용 가능 하므로, 스닉뎀 2/3배 와 중첩되고 스테디 에임 퍽으로 시간을 느리게하면 효율이 더더욱 늘어난다.
  30. 한손, 양손, 궁술의 마지막 퍽이 전부 마비효과라는걸로 마비효과의 유용성을 입증해준다. 다만 드래곤과 드워븐 기계에게는 효과가 없다.
  31. 솔직히 데이드릭 세트와 나이팅게일 세트 룩이 너무 우월하다. 드래곤 경갑도 은근 봐줄 만하다.
  32. 근데 의외로 스미싱 40대쯤 되면 상점에서 글래스 장비를 종종 팔기 시작한다. 게다가 정 글래스를 빨리 입고싶다면 볼키하르 성 가는 뱃나루 근방의 하이엘프 성채를 털어보자. 단, 이곳은 '전투중 행방불명' 관련 던전이라는 것을 감안하자.
  33. 엄청 어렵지만 성공한다면 레벨이 쭉쭉 오르는걸 볼 수 있다.
  34. 스카이림에서 제일 쉽게 돈 버는 방법은 골드획득이 아니라, 인챈팅이다. 후반에 가면 상자에서 나오는 몇십 골드는 줍지 않아도 무방할 정도.
  35. 아니면 바렌지아의 돌을 전부 모아버리는 것도 돈이 되는데, 농담 안하고 모든 상자와 항아리가 보물상자로 변한다. 상자만 열면 상급 석류석이 보이고 상급 다이아몬드도 심심하면 보일 지경. 콘솔로 바렌지아 퀘스트만 깬 뒤 돈이 썩어넘쳐 결국 캐릭삭제하고 2회차 넘어갔다는 이야기도 있다.
  36. 특히 패드 플레이라면 열쇠 따기가 키보드 마우스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게 대부분의 의견이라 패드 플레이어들은 이쪽은 잘 안찍는다.
  37. 여담으로 이 레시피면 연금술 올퍽 100레벨, 어떤 효과 뻥튀기도 없는 상태 기준으로 4500(…)의 생명력 피해를 주는 독약이 조제된다.
  38. 나이팅게일 셋 처럼 장비 가능 코드가 아닌 듯. 다만 시세로를 죽여야 하는 던스타 성역 퀘스트에서는 가능한 듯 하다.
  39. 이유는 알 수 없지만 NPC들은 별도로 해당 퍽을 찍지 않아도 은신 중에 구르기가 가능한 모양. 선결 조건인 가벼운 발놀림 퍽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브리뇰프세라나, 심지어 중갑 전사인 파르카스 등의 은신과 거리가 먼 동료가 은신 도중 구르기를 했다는 경우가 자주 보고된다.
  40. 다크 브라더후드 퀘스트 중 얻는 장비로 30배로 만들 수 있다. 오크의 종족특성 스킬까지 더해지면 60배까지 치솟는다!
  41. 정 은신플레이를 하면서도 동료를 데리고다니고 싶다면 스팀 라이브러리의 도구 카테고리에서 받을수 있는 Creation Kit 을 이용해서 해당 동료의 은신스킬을 100으로 만든 뒤 muffle(소음억제)인챈트가 붙은 아이템을 넣어주자. 자신이 모드제작 고수라서 ai를 수정해버리면 동료도 함께 암살플레이가 가능해지지만, 모드제작이고 뭐고 난 잘 모른다 하면 이정도만 해둬도 동료는 은신 발각시 몸빵+짐꾼으로써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
  42. 조건이 있기는 하다. 쉐도우 워리어를 쓰는 순간 나를 상대하고 있던 적은 전투를 종료하고 주변을 순찰하는 단계가 되는데, 이때 스닉어택이 들어가는 것이다. 만약 쉐도우 워리어를 써서 일순간 투명상태가 되더라도 적군이 전투를 종료하지 않고 주변에 다른 동료가 어그로를 끌어 적군이 전투상태를 계속 유지한다면 스닉어택을 사용할 수 없다. 이 점 참고하길 바란다. 때문에 필드에서 오만 몬스터와 인간의 어그로를 다 끌어먹는 드래곤에게는 스닉어택을 쓰기가 매우 힘들다.
  43. 1.6 이후로 시스템이 변경되었는지 모르겠으나 비좁은 여관에서 경비들이랑 드잡이질 하면서 연속으로 쉐도우 워리어를 활용한 스닉어택에 성공한 경우가 있다. 이제는 다른 적들의 전투상태가 유지되든 말든 강제 적용되도록 바뀐 모양? 다만 이 경우에도 동료 NPC가 있어 같이 전투에 들어간 상태면 투명해지기만 할 뿐 은신크리는 터지지 않는다.
  44. 정확히는 은신의 매커니즘때문이다. 은신이 발각되는 조건은 3가지로 시야, 소리 마지막 조건은 접촉이다. 시야 소리의 경우 은신(Hidden)/적들이 인지(눈을 서서히 뜸)/발각중 인지상태로 들어가지만, 접촉의 경우 무조건 발각상태가 된다. 결국 사정거리가 짧은 단검으로 슥슥 극다가 섀도우 워리어 은신 해봐야 계속 발각 상태라는것. 섀도우 워리어 은신을 쓰려면 거리를 벌려야 한다. 거리를 벌려 은신에 들어가도 뒤를 잡기위해 움직이다가 접촉하면 당연히 발각된다. 위에 적어놓은 고대의~ 장갑을 이용하면 뒤를 잡기위해 움직일 필요가 없어지고, 방패/한손무기 배쉬로 적을 약간 경직시켜두면 편하다.
  45. 여담으로 헬겐 던전 탈출할 때에는 중반까지 별 도움이 안 되는 은신보다는 기초 공격 스킬 (한손/양손, 궁술 등)을 한번이라도 더 올리고 나가는 편이 이득이다. 아니면 차라리 그냥 아무것도 하지 말고 맨몸으로 나가서 바닥부터 시작해 보는 것도 괜찮다.
  46. 랜덤 룻/상점은 목걸이(25%)만 획득 가능하나, 시세로의 옷과 도둑길드 마스터 후드가 각각 20%씩 붙어 있다.
  47. 대략 5초 정도 걸린다. 저장하고(2초) > 때리고(1초) > 불러오고(2초)
  48. 물론 5개의 학파가 있으므로 모든 학파의 매지카 소모량을 0으로 만드는것은 상당한 노가다를 필요로 한다. 즉, 퍽과 조합에서 어떻게 가능은 하다.
  49. 예를들어 변이마법의 광석변환의 경우, 양 손이 동시에 캐스팅하면 하나의 광물을 타겟으로 잡기 때문에 한 발은 헛방으로 날아간다. 듀얼캐스팅을 시도해도 발동도 안되고.
  50. 다만 기본적으로 매지카 회복 증가 75%가 붙은 네크로맨서의 로브나 던가드 메인퀘중 두 벌 입수가 가능한 '상급 뱀파이어 로브'(매지카 회복률 125% 상승), 아예 변이마법 학파의 로브를 입고 돌려대면 주머니와 스미싱 레벨이 덤으로 흐뭇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하이엘프의 경우 종족 고유스킬로 일분동안 금광석을 양산할 수가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
  51. 모든 버프 효과인지는 불명하나 이 두가지 효과는 확실하다.
  52. 마법까지 흡수하는것 같다.
  53. 지도자의 비석(마법저항 25%)+마라 퀘스트 보상(마법저항 15%)까지하면 70%까지 올릴 수 있다. 브레튼은 +25%로 95% 가능, 85%가 최대이므로 결과적으로는 85%. 사실 아무 종족이나 70%가 되는 시점에서 드래곤 브레스고 광역마법이고 몽땅 데미지가 1/3 수준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마법에 대한 부담이 엄청 줄어든다! 게다가 노르드나 던머의 종특인 속성저항은 또 따로 계산된다.
  54. 이전 버전에서는 매머드를 눕혀놓고 신나게 소울트랩을 난사하면 수련치가 쭉쭉 차올랐고, 픽스된 버전에서는 매머드가 충돌크기에 걸려 빙빙 도는 사이에 언덕아래나 틈새 건너에서 소울트랩을 난사하면 수련치를 금방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매지카의 소비량도 어마어마하니 매지카 관련 물약이나 소환마법 관련 인챈트는 필수.
  55. 힐그룬드의 무덤 동쪽에 있는 Fort Amol Prison 왼쪽 구석 바구니 안에 스킬북이 바로 있다. 들어가서 책만 슬쩍하고 내빼면 그만.
  56. 단순 궁수 플레이가 아니라, 소환 마법+궁수 하이브리드로 가도 나쁘지 않다. 어중간한 팔로워보다, 아트로나치 2기가 탱커로서 나쁘지는 않으므로, 매지카에 투자한뒤, 보통 스닉플레이를 하다, 발각되면 소환수 탱킹 + 뒤에서 화력지원도 꽤 할만한 플레이
  57. 인첸트가 100레벨일 때 인첸트를 파괴마법 매지카 소모 감소에만 투자할 경우 마스터 등급의 파괴마법도 매지카 소모가 0인 파괴신의 재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하면 다른 계열 마법쓸때 마나가 없어 허덕인다... 특히 갑옷은 상점표 로브처럼 마나리젠 관련 인챈 성능이 똥이라 어찌보면 비효율적이다.
  58. 다만 특정 상황에서는 마스터급 마법이 그야말로 넘사벽의 위엄을 보여준다. 일대다의 경우 영체화 걸고 적진 한가운데로 들어가 화염폭발을 날려주면 원샷이며, 드래곤이 날아올 때 라이트닝 스톰으로 지져버리면 제대로 착지하기도 전에 녹여버리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59. 불 마법은 상대를 도망치게 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 부분이 합선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Intense Flames 퍽이 그 효과를 강화시키는 퍽.
  60. 아쉽게도 인간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지만, 자이언트나 매머드를 사냥하면 비어있던 무기 충전량이 풀로 차오르는 걸 볼 수 있다.
  61. 별거없는 강철 단검 가격이 50배에서 200배까지 뛴다.
  62. 팔로워 하나 데리고 강철매듭 유적지를 가는 것을 추천한다. 영체화 포효의 한 단어가 있기도 하지만 이 던전을 끝내면 루팅을 통해 소환마법을 올려주는 책 한권, 블랙 소울젬 두개, 하급 인챈팅된 고대 노르드 투구 하나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에 더불어 용언석 앞에 걸려있는 강철도끼를 얻을 수 있다. 이 강철도끼에는 Firey soul trap이라는 유니크 인챈트가 있으며, 소울트랩 효과에 더불어 무조건 화염대미지 10이 추가로 붙는다.
  63. 인챈팅 100에 관련퍽 다 찍으면 62% 나온다...
  64. 평타였다면 딸피가 남았을 상황에서 화염대미지 10으로 막타가 들어가는 경우가 분명 존재하므로...
  65. 물론 아주라 상의 위치를 안다면 마크를 띄울 필요도 없다. 윈터홀드 밑에 있다
  66. 6렙 이전이라면 보스몹도 2단계
  67. 물론 강도 하나하나 잡을 때마다 마부대를 들리는건 귀찮은 일이니까 이렇게는 안되지만. 그래도 던전 내부에 마부대가 있는 던전들은 한번 들어가서 뽕을 뽑고나올 수 있다.
  68. 이름 때문에 오해할 수 있지만, 늑대인간의 기본 울부짖기는 Howl of Terror가 아니라 Howl of Rage다. 퍽 효과를 적용받으려면 공포의 토템이 필요.
  69. 혹은 캠프.
  70. 이 점에 있어서는 늑대인간이 뱀파이어보다 압도적으로 편리할 수 있다. 뱀파이어 로드는 어찌되었건 로드 폼에서 물어뜯거나 마법을 날려 피를 빨아야 하기 때문.
  71. '기운의 속삭임'과 유사. 다만 초음파처럼 하얀 파동이 주위로 빠르게 퍼져나가고, 짧은 시간동안 죽은 시체까지 포함해서 하얗게 표시해준다.
  72. '영체화' 포효와 이펙트만 다르고 효과는 동일.
  73. '시간 둔화' 포효와 동일'.
  74. '박쥐의 목걸이(Amulet of Bats)'와 동일 효과. 중첩이 안되니 목걸이는 그냥 버리자.
  75. 드레인 라이프의 경우 데미지 자체도 상당히 강한 편이다. 하지만 오른손의 마법은 언제나 이걸로 고정이라는게 장점이자 단점.
  76. 아주 고정된건 아니다. 라이프 드레인 마법은 1렙 기준에서 50데미지에 초당 15 체력회복이지만, 50기준으로 150데미지에 초당 25 체력 회복으로 오른다. 다만 늑대인간은 퍽을 올리는 것으로도 공격력을 폭등시킬 수 있는데 비해 뱀파이어는 레벨링 뿐이기 때문에 크게 부각되질 않는다.
  77. 의외로 라이프드레인은 회복량이 적어서, 중반을 넘어설수록 졸개 상대할때만 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