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룡포

(용포에서 넘어옴)

M5.jpg
좌: 영조의 홍룡포/중: 태조의 청룡포/우: 고종황제의 황룡포

실제 영친왕이 입던 곤룡포(현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실제 고종 황제가 입던 황룡포(현재 세종대학교 소장)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옷. 한국인들이 흔히 '왕이 입는 옷'이라 하면 떠올리는 옷이 이 옷이다.
신숙주의 트라우마.

1 개요

袞龍袍.

중세~근대 동아시아에서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옷. 한국인들이 흔히 '왕이 입는 옷'이라 하면 떠올리는 옷이 이 옷이다.

곤복, 또는 용포라고도 한다. 수나라 이후 중국, 고려, 조선, 베트남, 류큐국의 황제, 국왕, 황태자, 왕태자(왕세자) 등이 착용하던 단령 형식으로 되어있는 웃옷이다. 은 동양적인 측면에서 보면 매우 성스러운 동물인데, 은 하늘의 자식이기 때문에 용으로 비유를 하였다고 한다.[1] 노란색, 또는 붉은색 비단으로 지었고, 황색 단(緞)이나 사(紗)에 붉은색 안을 넣었으며, 가슴, 등, 양어깨에는 보(補)라고 하는 금실로 수놓은 오조룡을 붙였다고 전한다.[2]

2 우리나라

649년 신라 진덕여왕이 중국식 의관을 채택한 이후 신라~고려 시대 국왕들은 단령을 입었다고 전해진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32년(1450년) 윤1월 7일의 기록으로 보면, "홍무 2년에는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께서 공민왕(恭愍王) 전(顓)에게 구장 면복(九章冕服)을 하사하셨고..."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1369년(공민왕 18년)부터는 고려 왕도 곤룡포를 입게 되었으며, 이것이 조선 때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선 초기인 태조 어진이 청색인 것으로 보면 그 전대인 고려도 청색 곤룡포를 입었을 가능성이 있다.

왕의 보는 오조룡(五爪龍), 왕세자의 보는 사조룡(四爪龍), 왕세손의 보는 삼조룡(三爪龍)으로 하였다. 곤룡포를 입을 때는 익선관(翼善冠)을 쓰고 옥대(玉帶)를 매며, 목화(木靴)를 신었다. 여름에는 대홍사(大紅紗) 곤룡포를 주로 입었는데, 조선시대 왕의 곤룡포는 주로 빨간색이었다.

이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영향이 큰데, 조선왕조실록 선조 27년(1594년) 12월 25일 기사를 보면 “《대명회전(大明會典)》에는, 황제·황태자와 친군왕세자(親郡王世子)는 모두 익선관에 곤룡포를 입는데 황제의 곤룡포는 황색이고 그 나머지는 모두 적색인 것으로 되어 있고....... 면복(冕服)은.... 위로부터 세자에 이르기까지 그 제도가 대개는 같고 단지 장수(章數) 및 물색(物色)의 사소한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라고 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명나라에서 황제의 곤룡포는 세계의 중심 중의 중심이란 의미에서 황색이었고, 왕의 곤룡포는 붉은색이었다.

색깔에 따라 서열을 의미하는데 황색>>>넘사벽>>>적색>청색 순서였다. 사실 황색은 조선 임금이 입을 수 없고 명나라 또는 청나라 황제가 입던 옷인데 고종 황제대한제국을 지칭하면서부터 대한제국에서 황색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황색은 곧 황제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조선의 왕은 황제를 상징하는 황색을 피하고, 명나라 친왕과 동격인 붉은색의 곤룡포를 입었다고 한다. 붉은색의 의미는 강력한 생명력을 표현하고, 양기의 충만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왕이 입기에 안성맞춤이었을 것이다. 이 대목을 두고 "사대주의 쩌네"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조선 태조 이성계 어진을 보면 청색 곤룡포를 입고 있는데, 원래는 다른 왕들처럼 붉은색 곤룡포를 입은 초상화도 있었다고 한다.# 참조 사극 중에서는 용의 눈물에서 이성계가 처음에는 청색 곤룡포를 입다가 나중에 홍룡포를 입는 것으로 설정했다. 왕의 남자에서는 연산군의 성격을 묘사하기 위해 청색 곤룡포를 입는 것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명나라도 초기에 청룡포를 입었고, 고려 왕실(우왕 이후)도 청룡포를 입었으므로 이를 계승한 것이며, 태종 3년(혹은 1년)에 조선 옥새를 받았다. (그때 세자도 청룡포를 입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홍룡포를 입기 시작한 것은 세종대왕 26년(1444년) 부터다. 세종 26년 기사를 보면 구장복뿐만 아니라 일상으로 입는 옷(상복常服/일상으로 입는 곤룡포) 및 그에 갖추어야 할 모든 부속 장식품까지 일습을 내린다.

또한 세종 32년 기사를 보면 사대홍직금곤룡암골타운포(紗大紅織金袞龍暗骨朶雲袍), 나대홍직금곤룡포(羅大紅織金袞龍袍)라는 이름이 나온다. 여기서 홍직(紅織)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즉 붉은 색으로 짰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부터 붉은색 곤룡포를 입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2.1 대한제국

대한제국 선포 이후에는 황제국 체제에 맞추어 홍룡포는 황태자의 용포가 되었고, 황제는 황룡포를 착용했다.[3] 참고로 영친왕이방자 여사와 결혼한 후 귀국해 순종황제순정효황후 부부를 배알할 때 입었던 것이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곤룡포 실물이며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단, 황제 곤룡포인 황금색의 고종황제 황룡포는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하나 더 남아있다.

2.2 왕세자

참고로 조선시대 왕세자의 용포는 선조 때까지는 붉은색이었다가 광해군 때 검은색 또는 아청색[4]으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세자의 옷색깔이 아청색으로 확실하게 변화된 것은 현종 즉위년 5월 9일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용을 보면 "사왕(嗣王)이 평천관(平天冠)을 쓰고 검정 곤룡포를 입고 규(圭)를 받들고 여차에서 나오자...."라고 되어 있다.

3 중국

중국에서는 통일왕조를 세운 수문제가 처음 황색으로된 용포인 황룡포를 착용하였다.


당태종의 황룡포

송나라 황제들은 주로 붉은 색상의 단령을 착용한 것으로 남아 있다.

파일:Attachment/Xuanzong of Ming-horz.jpg

좌측은 명나라 선덕제, 우측은 그의 아들인 정통제의 어진.

원래 명나라의 황룡포도 조선의 홍룡포처럼 몸 앞뒤와 양 어깨에 용보를 붙이는 정도였지만, 정통제토목보의 변으로 폐위되었다가 천순제로 복위하면서 황제의 위엄을 높이기 위해 용보의 갯수도 늘이고 원래 곤복에만 붙이던 12가지 문양[5]을 곤룡포에도 붙이도록 했다. 그래서 천순제 이후 명나라 황제들의 어진을 보면 곤룡포가 화려하다 못해 어지러울 정도.

4 관련 이야기

세종대왕 시절, 신숙주는 이 곤룡포를 이불로 사용한 적이 있다. 알다시피 세종이 갸륵히 여겨 덮어준 것이긴 하지만, 신숙주에겐 왕보다 먼저 피곤해서 잤다는 정신적 벌칙(…) 겉옷을 덮고있는데 왜 이렇게 춥죠

포청천 시리즈 가운데 '이묘환태자' 에피소드의 결말에서, 송인종은 자신이 생모를 돌보지 못한 불효를 저질렀으니 그 죄를 어떻게 벌줘야 하는지 묻고 공손선생이 이에 곤장 수십대에 해당한다고 대답한다. 이에 황제가 스스로 곤장을 맞으려 하자, 공손선생은 곧바로 '황상의 곤룡포는 곧 황상의 옥체와 같으시니 용포의 장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라는 굉장한 꼼수(...)를 말하고 송인종 대신 송인종의 용포가 곤장을 맞게 된다. 이묘환태자는 이 때문에 '타용포'라는 제목을 가지기도 한다.

인조가 백성에게 곤룡포를 하사했다는 민담이 있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가던 인조는 추위와 피로로 인해 제대로 거동을 할 수 없었다. 그러자 인근에 살던 나무꾼인 서흔남이란 백성이 직접 인조를 업고 피신하였다. 이에 인조는 보답으로 어떤 소원이든 들어주겠다고 하자, 서흔남은 인조가 입고 있는 곤룡포를 입어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자 인조는 선뜻 곤룡포를 하사했다는 이야기.

5 기타

여담으로, 원래 곤룡포는 한 번 입으면 태워버리는 일회용(…)이었다. 검소한 생활을 강조한 정조가 태우지 말고 그냥 빨아서 다시 입겠다고 한 기록이 있다.
초기에는 용보를 금실로 옷에 직접 수놓았으나 워낙 영조 어진에서 보듯이 크기도 만만찮고 고가였기 때문에 탈부착식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새 용포에 용보를 교체하는 것.

2000년대 이후로 결혼식 폐백용 복장이 기존의 문관 관복인 사모, 단령에서 허영심 업그레이드되어 몇몇 결혼식 업체에서는 신랑에게 익선관곤룡포를 입히는 경우가 있다. 물론 고증은 안드로메다로~
어떤 만화의 어떤 직장에선 사장이 바뀐 후 직원들 제복으로 새로 디자인되어 쓰이고 있다.곤룡포의 굴욕 참고로 작가와 정식 계약되어 팔리기도 했으나 지금은 판매 중단했다.

생전 이구씨가 양자로 지목했던 이원씨의 곤룡포는 검은색인 흑룡포이다.

koreanyellow.jpg
노무현대통령도 한 번 입은 적이 있다.

  1. 그래서인지 왕과 관련된 말을 보면 용과 관련된게 많다.(용안-얼굴, 용덕-덕성, 용포-옷, 용위-위엄 등)
  2. 보의 크기는 시대마다 다른데, 태조영조 등의 어진에 그려진 보는 매우 커서 가슴과 복부를 거의 다 덮을 정도이고 금실로 옷감에 직접 수를 놓아 만들었지만, 고종황제의 사진이나 영친왕의 실물 곤룡포 등 조선 말기의 보는 크기가 줄어들어 있고, 보를 별도로 만들어 옷에 부착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예복 간소화 정책의 영향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3. 명나라 후기처럼 12가지 문양을 넣지는 않고, 명나라 초기처럼 심플한 황룡포를 사용했다.
  4. 국내 사극에서는 완전 검은색보다는 어두운 자주색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5. 일(日), 월(月), 성신(星晨, 별자리), 용(龍), 산(山),화(火).화충(華蟲, 꿩).종이(宗彛, 동물이 그려진 옛 술잔), 조(藻, 해초).분미(粉米, 쌀알).보(黼, 왕권을 상징하는 도끼).불(黻, '己'자 2개를 서로 반대로 하여 왕권을 상징하는 문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