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석

1917년 1월 17일 ~ 1950년 7월 4일

1 생애

대한민국군인. 평안남도 평원군 청산면에서 태어났다. 1933년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일본 구마가야(熊谷)비행학교에 소년비행병 2기생으로 입교하여 비행술을 배워 1934년 졸업하였다. 그를 담당한 교관은 그가 조종술에 대단히 뛰어났다고 평했다고 한다. 만주사변시 제64비행전대에서 Ki-27 전투조종사로서 참전하여 첫 출격에서 격추를 기록하였으며 그때부터 만주 주둔 일본군부대에 배속되어 근무하였다. 만주에서 근무하면서 중국군 전투기 18대를 격추시키는등의 활약을 하였다. 이후 제77비행전대 소속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출되었으며 영국 공군을 상대로 5대를 추가로 격추시키는 기록을 세우게 되지만 1941년 12월 25일에 영국 공군 제67비행대대 소속의 브류스터 버팔로에게 격추되어 영국군포로가 되었고 이후 4년간 포로생활을 한다.[1] 광복 후 귀국하여 김정렬·최용덕·장덕창·이영무·박범집·김영환과 함께 공군 창설 7인 간부의 일원으로 항공부대의 창설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미 군정은 그들의 경력을 인정하지 않아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서 기초군사교육을 받아야 했다. 1948년 5월 5일에는 경기도 고양군 수색 소재 조선경비대 제1여단 사령부 내에 항공부대의 모체인 항공기지부대가 편성되어 통위부에 편입되었다. 이근석은 5월 14일 육군 소위임관하여 육군항공총감부에 배속. 7월 9일에 항공기지부대 초대 부대장이었던 백인엽 소령이 제4여단으로 전출되고 후임부대장으로 최용덕 대위가 부임되자 이근석은 군수참모로 업무를 수행하였다. 1949년 10월공군육군으로부터 독립하여 나오자 공군사관학교의 초대 교장으로 부임하였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비행단장에 보임되어 당시 보유중이던 10대의 건국호(T-6)를 3개 편대로 편성, 직접 지휘하여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려고 시도하였다. 북한군의 공격 방향을 고려하여 3개 편대를 개성·문산 방면과 의정부·동두천·포천 방면, 춘천 방면으로 출격시켜 북한군을 정찰하는 정보획득·위협비행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단순 정찰로 적의 남하를 저지할 수 없음을 인지한 이근석 대령은 건국기 육군 병기창에서 제조한 15kg의 국산 폭탄을 싣고 저고도로 비행하며 적진에 투하하는 작전을 지시하여 직접 폭격을 하기도 하였다. 한국 공군의 공중폭격은 당시 한국 공군이 보유하고 있던 폭탄 274개 전량을 소모할 정도로 긴박하게 전개되었다.

한편 1949년 창설된 북한 공군은 항공기 200여 대와 2200명의 병력을 갖추었으며, 이에 대비하기 위해 대미군사원조를 요청하게 되었다. 당시 한국 공군의 조종사는 교육중인 인원을 제외하고 64명이었으며, 훈련 없이 전투기를 조종할 수 있는 인원은 극소수였다. 이근석은 한국 공군 조종사를 대표하여 F-51 전투기 인수단장으로 김신·장성환 중령, 강호륜·박희동 대위, 김영환·김성룡·정영진·이상수·장동출 중위 등 9명과 함께 일본 이타즈케 기지로 갔다. 당시 미극동 공군이 보유한 F-51 전폭기는 정비가 필요했고, 일본에 6월 27일 도착한 이근석 대령 일행은 T-6 연습기 2대로 유지비행을 실시한 후 정비를 마친 일부 F-51 전투기로 연습비행을 하려 했으나 기상상황으로 인해 지상교육만 받게 되었다

그렇게 미국에게 10대의 P-51 머스탱(F-51)을 인수하여 1950년 7월 2일에 머스탱을 이끌고 돌아왔으며. 7월 3일에[2] 세차례 출격을 하였으며 이것은 한국 공군에서 최초로 전투기가 출격한 작전이었다. 대령 이근석을 편대장으로 김영환·김신·장성환 등의 편대출격(영등포·노량진 방면)과 대위 박희동을 편대장으로 강호륜·김성룡·이상수의 편대출격(시흥 방면), 대위 박희동을 편대장으로 장동출·정영진의 편대출격(영등포 방면)이었다. 이때의 임무는 육군 제3사단 이응준 장군의 요청에 의한 대지 공격이었으며, 무장은 기총만 탑재하여 이루어 졌다. 목표지점에 비행중 충주 북방에서 적 기동부대에 대해 기총공격을 하였으며, 적정을 정찰한 뒤 대구기지로 귀환하였다. 이 날 연료직접소 한 곳, 탄약집적소 한 곳, 탱크 2대, 차량 2대, 적병사살 약 35명 등의 전과를 거두었다. 다음날인 7월 4일에도 육군으로부터 안양지역에 북한군 기갑부대가 집결하여 남하중이니 이를 공격해 줄 것을 요청받자, 이근석 대령을 편대장으로 김영환·박희동·강호륜 등이 편대출격하고, 김신을 편대장으로 장성환·정영진 등이 편대출격하였다. 안양에서 급강하하면서 지상공격을 하던 와중에 격추/추락하여 전사하였다. 1951년 9월 태극무공훈장과 공군 준장에 추서된다.

2 전사에 대한 이야기

그의 전사에 대한 이야기에는 다소 논란이 있다.
그중 하나는 지상공격 도중에 대공포에 피탄되자 그대로 북한군에게 충돌했다는 것인데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3] 주로 공군에서 주장하는 내용이다.

이어 2번기와 3번기의 공격이 계속됐고, 적의 탱크들은 화염에 휩싸인 채 오도 가도 못했다. 편대의 1차 공격을 끝내고 나머지 탱크에 재차 공격을 가하기 위해 이근석 대령은 급강하를 시작하며 로켓탄을 발사했다.

적 탱크를 폭파하고 기수를 올리려는 순간 난사하는 적의 포탄 중 한 발이 그가 조종하는 전투기의 엔진에 명중했다. 순식간에 기체는 붉은 화염으로 휩싸였고 도저히 수습할 길이 없었다.

모든 것을 포기한 이근석 편대장은 정신을 가다듬고 푸른 하늘로 마지막 상승을 시도했다. 그는 지상의 적정을 살핀 후 뒤따르는 편대기에게 “3번기 도로 좌방 탄약차량 공격, 건투를 빈다”라고 강한 어조의 마지막 명령을 내렸다.

이와 동시에 그의 불붙은 기체는 하늘에 반원을 그리며 적 탱크를 향해 돌진해갔다. 이어 지상에서는 화산이 폭발하는 듯한 폭음이 진동했다.

또 다른 하나는 지상공격 도중에 고도를 회복하는데 실패하고 지상에 충돌했다는 것이다. 비록 이근석 대령이 경험이 많은 조종사였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비행은 Ki-27로 했었는데[4] P-51은 Ki-27보다 훨씬 무겁고 조종특성이 다른 기체이다. 기종을 전환하는 일인만큼 당연히 충분한 시간을 두고 훈련을 받아야 했지만 상황이 워낙 다급하다보니 제대로 훈련도 받지 않은 상태로 출격한 상태였다.[5] 이 떄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김정렬 장군은 한국 공군 조종사들의 출격을 중지시키고 미 공군 고문단에게 조종사의 훈련을 요청하게 되었다.

3 기타

그대에게/BOUT-1이라는 만화에 나오는 이윤석 대령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다.
  1. 낙하산이 나무에 걸려서 매달려 있다가(...) 잡혔다고 한다.
  2. 이날은 조종사의 날이기도 한데 다름아닌 이 첫 출격을 기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3.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다.
  4. 격추될때 탑승한 기체도 Ki-27이었다.
  5. 이착륙 훈련만 간신히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