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성 대함미사일

국산 미사일 국산 어뢰 전력
대공 미사일신궁 맨패즈천마 단거리 미사일해궁 대공미사일천궁 중거리 미사일
천궁PIP 중거리 미사일L-SAM
대지 미사일현궁 대전차 미사일천검(개발중)239mm 유도로켓한국형 전술 탄도미사일
현무-1 탄도미사일현무-2 탄도미사일현무-3 순항미사일
대함 미사일비궁 유도로켓130mm 유도로켓해성 아음속 대함미사일차기 초음속 대함미사일
어뢰청상어 어뢰백상어 어뢰범상어 어뢰홍상어 대잠로켓
퇴역 및 프로토타입K-744 어뢰해룡 단거리 대함미사일백곰 탄도미사일
SSM-700K 해성
무게792kg
길이5.46m
너비0.34m
최대속도마하 0.85(1,013km/h)
사정거리180km[1]
가격약 20억 원

윤영하급에서 발사한 모습

1 개요

본격 현대형 대장군전

대한민국이 자체 개발한 아음속 대함 미사일. 혜성이 아니라 해성(海星=불가사리)이다.[2] 해성을 개발한 곳은 ADD. 미사일 체계 제작은 LIG넥스원이 담당하였다.[3] 해성은 1996년 5월 탐색개발을 시작하여, 1999년 11월 체계개발에 돌입하였다. 그리고 2003년 9월 ROC검증이 끝남으로써 전투사용사 합격판정을 받음으로 사업완료가 되었다. 개발예산은 총 1,000억원.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후기형과 세종대왕급 구축함에 탑재된다. 또 윤영하급 고속함과 인천급 호위함에도 탑재되었으며, 차기 구축함에도 장착될 예정인, 앞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있어 표준적인 대함무장이 될 아음속 대함미사일이다.

2 상세

대한민국 해군은 1970년대 엑조세 미사일과 하푼 미사일을 일본이 판을 짜 준 덕에 도입하고 난 뒤, 북한의 소형함을 타격 할 수있는 좀 더 정밀한 대함타격 체계에 대한 소요제기가 있었다. 그리하여 1981년 9월에 선행 및 실용개발에 착수 ADD해룡 미사일을 개발하였지만, 해룡 대함미사일은 반능동(Semi-Active) 레이저유도방식을 채택해 해무가 끼는 상황에서는 명중률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후 백지화 된 해룡 미사일을 두고 국방부는 1993년 새로운 함대함 유도탄의 국내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며 ADD에 함대함 유도무기의 국내 개발 가능성을 타진했다. 최초소요 1993년부터 2003년 개발완료까지 10년이 걸렸으며, 2005년부터 양산화되기 시작했다.

파일:Cstar 01.jpg

사거리는 180km에 달하며, 비행 중에는 최대 8개의 변칭점(Waypoint)을 통해 아군의 함정과 섬들을 피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표적 적함에 유도(Homing)할 때 상대편의 요격과정을 피하기 위한 회피기동을 하는데, 하푼보다 강력한 엔진을 가지고 있는 데다, 양 측면에 공기흡입구를 가지고 있어 복잡한 회피기동에서도 안정적으로 터보팬 엔진에 공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 덕분에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회피기동을 할 수 있다. 시스키밍 기동(Sea Skimming)[4]과 팝업 기동[5], 재공격[6] 등의 다양한 공격 모드를 지원하지만, 미사일의 공격 모드는 군사 기밀이기 때문에 이 이상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외에도 대전자전 능력(ECCM)을 보유한 Ku 밴드 마이크로파 탐색기, 스트랩다운(strapdown) 관성항법장치(INS)[7], 위성항법장치(GPS), 전파고도계 등을 활용하는 정밀유도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높은 생존성과 명중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최초 ROC 발사검증부터 매년 실시되는 림팩 훈련과, 발사 훈련 전체 아울려 실사격 명중률은 100%를 보여주고 있는 상태이며, 이 때문에 해군에서 매우 신용하는 대함타격체계라고 한다. 그러나 2016년 5월 26일에 실시된 해군, 공군의 합동훈련에서 강원함에서 발사된 해성이 도중 추락하며 명중에 실패하였다.

명중 영상은 언론 공개된게 미미한데, 대부분 언론에서 공개되지 않고 기관에서 보관중이라고 보여진다. [8]

3 기타

  • 해성을 하푼의 개량형이나 짝퉁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오히려 기술 협조 출처는 러시아다. 주로 엔진과 탐색기쪽 기술을 이전 받았다고 한다. 다만 해군이 기존에 운용하던 미사일이 하푼이니 만큼 하푼에 영향을 받은 것도 사실. 이러한 러시아 기술협조안에 미국형의 플랫폼 개발노선은 천궁 대공미사일에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전체 설계는 우리나라에서 독자적 설계. 그냥 불곰사업이였다. 1차 불곰사업으로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군수산업의 기술개발을 할수있었다.
  • 해성의 개발 성공으로 절약된 외화는 약 1조 원.[9] 그러나 해성의 구경은 하푼과 비슷해도, 하푼과 달리 고정식 공기흡입구가 동체 옆으로 튀어나온다. 그 때문에 잠수함 발사 대함미사일과 같은 일부 영역에서는 하푼을 대체하지 못했다. 또한 공군 역시 F-15용으로 하푼 블록 2를 새로 도입했다. 공군은 당분간은 해성 쓸 생각이 없는 듯. 한동안 공대함 미사일은 하푼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하푼보다 크고 무거운 외형도 문제인데, 작전반경의 중요도가 크게 올라가는 해상 소티에서 하푼과 큰 성능차이가 없으면서도 작전반경이 짧아지는 것은 공군으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물론 덩치가 큰 만큼 위력은 약간 오르겠지만... 사실 해성을 # P-3에 달아 실험한 적 있지만, 실전배치는 되지 않았다. 그냥 국군 전체가 해성의 공대함버젼에는 관심이 없는 듯 싶다. 다시 말하자면 돈 들여 달 수는 있지만 구태여 그러지 않는 것. 2000파운드 항공 폭탄도 무리없이 달고 다니는게 KF-16이므로 항자대 F-2 같은 무장이 불가능한건 아니다. 하지만 인티그레이션, 즉 무장 통합이라는게 그냥 미사일 갖다 붙인다고 되는 게 아니라 돈이 엄청나게 깨진다. [10]
  • 대량으로 생산, 보급되어 도입가가 발 당 10억 수준인 하푼에 비해서 해성은 두 배로 비싸다. 하푼은 단순히 따져봐도 규모가 엄청난 미해군뿐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수십에서 수백발씩 도입하였다. 그러나 우리 해군만이 주문한 해성의 도입수는 500발이 채 안 된다. 단순히 돈만 따지면 해성을 왜 개발했나 싶겠지만, 해성 개발로 습득한 각종 기술들은 다른 첨단유도무기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푼은 전세계에 판매되어 적이 보유하거나 정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해성처럼 우리 군만이 사용하는 독자적인 무기를 보유할 경우, 적이 대응하기가 어려워지는 이점도 있다.
  • 현재 해성은 콜롬비아에 수출된 실적이 있으며, 콜롬비아 해군은 이 장비에 대해 만족을 표하였다.
  • 현재 카더라에 포함된 정보에 의하면 사거리를 연장한 신형 대함 미사일도 개발 중. 사실은 이 장사정 대함 미사일을 개발이 선행되었고, 이 와중에 확보된 기술로 일종의 선행개발 차원에서 해성 미사일의 개발이 시작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디까지나 카더라 통신이니 시간이 지나야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있을듯 하다.

4 전술 함대지 미사일

파일:2015072421170236952.jpg

해성의 변형으로, 능동 레이더 탐색기를 빼버리고 그로 인해 확보되는 공간에 연료와 탄두를 더 넣은 함대지 미사일이다. 덕분에 사거리는 250km로 확장되었으며, 탄두가 광역 공격용 확산탄으로 교체되어 지상 목표 제압에 더욱 효과적이게 바뀌었다. 본래 해성이 중기 유도용으로 쓰던 GPS/INS 항법만으로 표적까지 날아가기 때문에 정확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개선된 GPS 재밍대응 시스템이 적용되는 덕분에 명중률도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KVLS 뿐만 아니라 해성 미사일 발사관과 호환되며, 덕분에 북한이 지대함 미사일로 조준하면 사거리 밖으로 피하는 것 외엔 마땅히 대응할 방법이 없던 인천급 배치1 호위함과 윤영하급 고속함에도 지상목표 타격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담이지만 해성 개조안 외에 현무2를 개조한 전술 함대지 탄도미사일도 검토되었지만, 탄도미사일은 전략 무기로 분류되어 사용 시 합참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좀더 정확히 밀하면 현재 운영중인 모든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은 전부 유도탄 사령부 소속 무기이기 때문에 육군과 해군이 이 무기 통제권이 없다. 때문에 해군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고 빠른 즉응성을 가진 전술 미사일 개발을 위해 해성 개조판을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원안대로 탄도미사일로 만들었으면 타격할때마다 복잡한 명령체계를 거처서 날려야 하기 때문에 이는 전술무기로 운용하기엔 부적합하다.

6월 2일 앞으로 건조될 인천급 배치2(대구급)에 이어, 6월 22일 기존의 인천급 배치1에도 함대지 미사일의 탑재가 진행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5 장거리 순항 미사일

2011년 9월 하순 위키리크스에 해성2라는 신형 미사일 발사의 실험 정보가 2007년 주한 미 대사관을 통해 미 본국에 전달되었다는 언급이 있었다. 이것의 정체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천룡이나 현무3 등으로 알려진 그 미사일이다. 이름만 해성이지 사실 기존의 해성 미사일과는 다른 순항 미사일이다. 함정 탑재 버전은 해성2, 잠수함 탑재 버전은 해성3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상발사 버전은 현무3. 자세한 내용은 현무 미사일의 현무3 항목 참조.
  1. ad669227cae998366c10fb931251d7da.jpg
  2. 해외에 소개되는 영문 명칭은 이를 직역한 'Sea Star'. 최근에는 눈에 잘 띄기 위함인지, 'C-Star'(C는 sea와 비슷한 발음에, combat(전투)의 머리글자를 연상시킴)로 표기되고 있다. 걸그룹 씨스타와 헷갈리지 말자
  3. ADD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ADD는 기본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지 체계설계 및 실제 조립생산은 업체에서 한다.
  4. 해면 5m가량 위에서 스치듯이 비행하는 기동.
  5. 적 함정에 돌입하기 직전 위로 급상승한 후 다이빙하듯 내리꽂는 기동.
  6. 목표에 명중하지 못했거나 회피기동 등으로 인해 스쳐 지나간 경우 다시 명중할 때까지 재공격을 시도한다.
  7. 짐벌에 장착되지 않고 고정되는 INS를 말한다.
  8. 실제로 언론에서 나오지 않는 명중영상이 방산산업 전시회 디스플레이에서 버젓히 나오고 있다.
  9. 다만 양산단가 자체는 하푼보다 해성이 더 비싸다. 아무래도 하푼은 생산된 수량자체가 워낙 많아서 단가가 싸다보니.
  10. 사실 공대함 버전을 개발하더라도 체계통합할 국산 항공기가 없다(...). P-3 같은 해외 기체의 경우 체계통합하려면 돈을 들여야 한다. 과연 우리 군이 많은 예산을 들여 수요량이 그렇게 많지도 않은 공대함 해성 미사일을 개발해서 P-3 같은 대잠초계기에 통합시키고 싶어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