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19

러시아(소련)의 제트전투기
도입/개발미그수호이야코블레프라보츠킨기타 제조사
1940년대MiG-9 파고
MiG-15 파곳
Yak-15
Yak-17
Yak-19
Yak-23 플로라
Yak-25(1947)
Yak-30
Yak-50
La-150
La-15 팬테일
La-168
La-160 스트렐카
알렉세예프
I-211/215
1950년대MiG-17 프레스코
MiG-19 파머
MiG-21 피쉬배드
Su-7
Su-9 피쉬포트
Yak-25La-250 아나콘다일류신 IL-28 비글
1960년대Ye-150
Ye-151
Ye-152
Ye-8
Su-11 피쉬포트
Su-15 플라곤
Su-17 피터
Yak-28 파이어바
Yak-32
투폴레프 Tu-28
1970년대MiG-23 플로거B
MiG-25 폭스배트
MiG-27 플로거D
Su-24 팬서Yak-38
Yak-45
1980년대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MiG-33 슈퍼펄크럼
Su-20
Su-22
Su-27 플랭커
1990년대MiG-MFI (Project 1.44)Su-30 플랭커C
Su-32 풀백
Su-33 플랭커D
Yak-141
(Yak-41M)
2000년대Su-37 터미네이터 (플랭커F)
Su-35 플랭커E (Su-27M)
Su-47 베르쿠트
2010년대MiG-35 펄크럼F
MiG-29K 펄크럼D
Su-34 풀백
Su-35S(Su-35BM)
수호이 T-50(PAK-FA)
Yak-130
2020년대MiG-LMFSSu-FGFA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개발/도입년도중국인도이스라엘일본대한민국터키이란대만
1940년대J9Y 깃카
Ki-201
1950년대J-2,J-5
1960년대J-6
J-7
HF-24
1970년대J-12네샤
크피르
미쓰비시 F-1
1980년대J-8 / J-9
J-7E/G / J-13
라비
1990년대JH-7
J-11
나메르아자라크쉬F-CK-1 경국
2000년대J-10
FC-1
F-2 바이퍼 제로사에케
M-ATF
2010년대J-15/J-16
J-20/FC-31
테자스FA-50 골든이글카헤르 313
보르한
샤파크
도르나
2020년대AMCA
FGFA
F-3KFXTFX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파일:Attachment/MiG-19.jpg
640px-MiG-19.JPG

MiG기 계보
MiG-17MiG-19MiG-21

Mikoyan-Gurevich MiG-19 'Farmer'
Микоян и Гуревич МиГ-19

운용과 퇴역
초도비행1953년 9월 18일
도입1955년 3월
퇴역북한 공군 운용 중 알뜰하다 참
생산2,172기(중국 생산기 포함)

1 제원

MiG-19P 제원
분류 : 쌍발단좌 터보제트 전투기
전장 : 12.54m
전폭 : 9.0m
전고 : 3.9m
주익면적 : 25.0m²
공허중량 : 5,447kg
최대이륙중량 : 7,560kg
엔진 : 투만스키 RD-9B 후연소기 장착 터보제트 엔진 2기, 추력 31.9kN

성능
최대속도 : 1,455km/h (909mph)
항속거리 : 1,390km/2,200km(외부 연료탱크 장착시)
실용상승한도 : 17,500m
상승률 : 180m/s
익면하중 : 302.4kg/m²
추력대 중량비 : 0.86

무장
기총 : 30mm NR-30 기관포 3문 (주익 내측 2문(1문당 탄약 75발)/동체 1문(탄약 55발))
하드포인트 : 주익 하면 4개소
무유도 로켓, 빔펠 K-13(AA-2) 공대공 미사일, 250kg까지의 폭탄 탑재 가능

2 개요

하늘을 나는 농부
MiG-17을 더욱 개량하여 쌍발 엔진을 탑재하고, 무장을 강화하였으며, 초음속 성능을 부여한 구 소련의 전투기. 1953년 첫 비행하였고, 1955년 처음으로 실전 배치되었다. 소련의 전투기 중 최초로 수평비행에서 음속을 돌파한 기체로, 등장 당시에는 슈퍼 미그라 불렸다. 미국 최초의 초음속 전투기인 F-100 슈퍼 세이버와 같이 이전의 MiG-15/17보다 큰 후퇴각을 가진 후퇴익을 적용하였고, 기수에 인테이크가 있는 것도 같다. 이 덕분에 F-100의 라이벌 기체라 평가될 정도였지만, 해당 항목을 읽어보면 알 수 있다시피 슈퍼 세이버는 흑역사 레벨이었다. 실제로 F-100보다 추력-대비-중량비가 더 높으며 기동성 자체도 더 좋았다고 한다. 다만, 조종사들 사이에서는 이전 모델인 17보다 조종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허나 MiG-21의 등장이 빨라 베트남 전쟁에서는 그다지 많은 수가 투입되지 않아 큰 활약은 못보였으나, 이들을 상대해본 미군기 조종사들이 가장 무시무시한 미그기로 손꼽았다.[1]

또한, 중동전쟁 등에서는 상당한 활약을 펼쳐 "최고의 격투전기"라는 칭찬도 듣는다. 이 기체 또한 당시 다른 서방제 전투기들에 비하면 선회성능이 워낙 좋아 서방제 전투기들이 한참의 거리를 두고 돌 때 19는 어느새 휙 돌아서 그 꼬리를 잡는 경우가 많았다[2]. 이후 사용된 MiG-21MiG-23보다도 선회성 만큼은 최고라고 인정받을 정도. 전문가들은 4000m 이하 저고도 고아음속 기동성 자체로만 놓고 보면 F-16보다 낫다고 한다. 단 고속으로 비행시 불안정하여 상당히 큰 펜스를 세워놨다[3]. 때문인지 중국은 19를 Q-5라는 대지 공격 전용기로 개조하여 생산하였다.

그러나 MiG-15의 피를 이어받은 소형기인 이상 전자장비의 탑재 공간 따위 없는거나 다름없어 레이더가 탑재되지 못 하고[4] 심장인 엔진도 두통꺼리였다. 처음엔 률카 엔진국의 AL-5 단발 엔진을 사용하려다 극악의 정비성과 신뢰성 때문에 더 크기와 출력이 작지만 신뢰성 좋은 미크린 설계국의 AM-5(후에 Am-9B, 이후 RD-9로 명칭이 바뀜) 엔진을 사용하게 되었고 부족한 추진력을 보강하기 위해 쌍발로 탑재하게 된다. 다만 개량되었다는 쌍발엔진조차 수명이 극단적으로 짧고 정비성 나쁜 것은 여전해 베트남같은 열악한 환경에서는 가동률이 바닥을 기었기 때문에 가난한 북베트남 공군 경우 17을 더 선호했다.

중국에서도 이미 1990년대 초반 모두 퇴역했고, 개조형인 Q-5가 아직 현역으로 있지만, 전적으로 지상공격 임무에만 할당되어 있다가 점진적으로 J-16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지금은 돈없는 북한에서나 현역으로 굴리는 형편이다.

단, 대지상공격기로 사용시 아직도 그럭저럭 못봐줄 정도는 아니다. 거기에 소련 전투기의 마스코트인 감속낙하산이 최초로 장착되기 시작했고 장갑도 25mm로 충실한 편이다.[5] 기본적으로 유압조종장치지만 기압식 조종 장치가 백업으로 있다.

이처럼 지금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대지상공격기같은 형태이지만 사실 당시 "소련의 고고도 방어를 책임진다. 인민로켓 미그기!!"로서 상승률은 MiG-21보다 좋았으며 SM-20부터 SM-50 까지의 파생형은 동체아래 로켓추진기까지 장착되어 Tu-95미사일 발사대에서 발사되어 고고도 정찰기등을 격추시키는 테스트를 받기도 했다. 최대 24km까지 상승했으니 웬만한 고고도기는 잡을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용 풀페이스 헬멧과 G슈트가 설계되는 등 공을 들였고 11차례 이상 시험비행도 성공적으로 마쳤으나 소련 방공군의 톱 스타 Su-9가 등장하는 바람에 채용되지 않았다.

또한 19는 진귀한 기록 하나를 가지고 있다. 바로 초음속 비행 중 상대 전투기의 기관포에 맞고 격추되는 굴욕을 당한 것으로 이는 제트 전투기 역사상 유일한 기록이라고 한다. 의외로 이 때 19를 격추한 건 기총 문제로 골머리를 썩혔던 F-4였다. 물론, E형이라 기총을 장착한 모델이었다. 사실, 처음부터 기총을 들이댄 건 아니고 AIM-4 팰콘을 쐈지만 잉여질을 하자 빗나가서 어쩔 수 없이 기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중국J-6, 수출명은 F-6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하여 북한에 150대, 파키스탄엔 90대 등 다른 나라에 수백대씩 뿌렸는데 놀랍게도 부품 수명도 퍽 길어지고 정비성도 훨씬 높아졌다. 물론 그래봤자 지금 시점에선 노인 학대지만...그리고 이것을 개량해서 중국은 지상 공격기인 Q-5를 만들었다. 공기흡입구를 기체 옆으로 옮기면서 모양은 매우 달라졌다. 아직까지도 Q-5는 중국의 주력 대지공격기이다.

특히 파키스탄은 F-6을 여러 모로 마개조하여 잘 써먹었는데, 무장은 미제 사이드와인더[6]에 사출좌석은 영국제를 장착했으며 인도와의 전쟁에서 인도 공군 소속의 Su-7이나 MiG-21, 영국제 호커 헌터 등을 격추한 전적도 있다. 파키스탄은 이 중국제 전투기의 성능에 꽤 감명받았고 이후로 A-5(미 해군의 정찰기가 아니라 Q-5)와 F-7, 그리고 JF-17까지 중국제 전투기를 계속 도입하고 있다.

NATO 코드명는 <Farmer>(농부). 뭐냐 이 평화로운 이름은 소련의 경우에는 군용기의 제식명을 설계국의 이름을 따서 분류하기 때문에 2차 대전 이후로 모든 전투기를 F, 폭격기를 B 등으로 구분하는 미국의 제식명 작명법과는 달라서, 소련산 전투기들을 전부 F로 분류하기 위해 F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달아서 생긴 일이다. F로 시작하는 단어 중에 전투적인 단어만 있는 건 아니니까 어쩔 수 없이 이런 요상한 이름들이 붙기 시작했다. 어차피 적기인데 폼나는 이름 붙여주고 싶지도 않았을 거다 요건 B자로 분류된 러시아제 폭격기들도 마찬가지...지만 러시아 사람들 입장에서는 썩 마음에 안들 건 당연지사. 그래서 Su-37에는 체르미나토르(=터미네이터)라는 별칭을 붙여서 해외 판촉 중이다. 물론, 그래봐야 나토 코드명은 슈퍼만 더 붙은 super Flanker지만...

3 망명 사례

중국제 J-6는 중국 인민해방공/해군 파일럿들의 대만 망명을 책임진 기체다. 1962년 처음 실시한 이후 대만은 망명한 중공 군인에게 포상을 하는 포상제도를 대대적으로 실시하였고 중국도 마찬가지였다. 현실적으로 개인이 가져올 수 있는 최고의 군사 장비인 전투기 등의 항공기의 경우 그 포상이 대단했다. 금전은 물론 안정적인 직업/완벽한 안전 보장등 일단 성공하면 로또인지라 대만이 포상제도를 대폭 축소하기 전인 1989년 9월 15일까지 기종을 불문하고 많이 망명했다. 지리적으로 대만과 먼 지역에서는 한국을 거쳐 망명한 사례도 많으며 한국을 거쳐 간 것은 ★로 표기.

  • 1977년 7월 7일 중국인민해방공군 제2정찰비행단 1대대 2중대장 범원염(范園炎) 상교가 복건성에 위치한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훈련 비행 도중 이탈, 대만 남부의 대남(台南) 공군기지에 정찰형 J-6(JZ-6) 기체번호 3171을 타고 착륙, 황금 4000량을 받고 망명하여 대만 공군으로 복무하다 상교(上校)로 전역했다.
  • 1982년 10월 16일 중국인민해방공군 제1정찰비행단 1비행대대 2비행중대 소속 비행사 오영근(吳榮根)이 J-6 정찰형을 타고 K-16 비행장에 착륙, 같은해 10월 황금 5000량을 받고 대만으로 망명한 뒤 대만 공군에서 복무하다 소교(少校)로 전역했다.★
  • 1983년 2월 25일 북한군이웅평 상위(대위중위의 중간 계급)가 이걸 타고 수원 비행장으로 귀순오기도 했다. 당시엔 정체를 모르는 북의 최신전투기였는지라 전두환 정권에서 천군만마라도 얻은양 좋아했다. 물론 사반세기가 흐른 지금은 120여기의 로우엔드 급으로, 1996년에 북한군 이철수 상위가 이걸 타고 귀순했을 때는 "아직도 MiG-19 굴리나?" 했을 정도. 이웅평 상위가 몰고 귀순한 기체는 전쟁기념관에, 이철수 상위가 몰고 귀순한 기체는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영내에 전시되어 있다. 입수 직후에는 적성무기 평가 및 대응작전, 대응훈련 등을 위하여 한동안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에서 이들 기체를 직접 운용하기도 했다. 2012년 현재 북한의 주요 전투기는 MiG-21을 중심으로 일부 MiG-23, MiG-29이다.
  • 1986년 2월 21일 중국인민해방공군 제4정찰비행단 3비행대대 중대장 진보충(陳寶忠)이 J-6 정찰형을 몰고 랴오닝성 심양 비행장에서 이륙, 편대를 이탈하여 초저공비행으로 수원비행장에 착륙한 뒤 4월 30일 황금 5000량을 받고 대만으로 망명했다.★
  • 1986년 10월 24일 중국인민해방해군 항공대의 정재천(鄭菜田)이 J-6를 조종하여 산동성의 내산비행장에서 이륙한후 수원비행장에 착륙했다. 같은해 12월 19일 황금 5000량을 받고 망명했다.★
  • 1987년 11월 19일 중국인민해방공군 제49비행사단 중대장 유지원(劉志遠)이 기체 번호 40208의 J-6를 몰고 복건성 용계 비행장을 이륙하여 훈련비행중 편대를 이탈, 초저공비행하여 타이중 공항에 착륙, 포상금으로 황금 5000량을 받고 망명했다.
  • 1989년 9월 6일 중국인민해방공군 장문호(蔣文浩)가 복건성 용계 비행장을 이륙하여 편대를 이탈한 뒤 금문도 비행장에 착륙, 망명했다.

4 파생형

  • MiG-19M
실사격 훈련용 표적기로 개조된 무인기.
  • SM-20
Kh-20 순항미사일의 시뮬레이터 시험기로 사진은 발사 플랫폼으로 개수된 Tu-95K형에 장착된 모습.
  • SM-30
PRD-22 로켓 부스터를 장비한 ZEL(Zero-length launch) 시험기.
  • SM-K
K-10 순항미사일 시뮬레이터 시험기.

5 관련 문서

Mikoyan-Gurevich MiG-19

6 관련 항목

작성중
  1. 당시 미군 주력기인 F-4에는 기관포가 없었기 때문에 근거리 도그파이트에서 불리한 점이 많았는데 특히 MiG-19와의 상성이 최악이었고 한다. 게다가 미그19의 격투전 성능도 우월했고...북베트남이 유지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미그19를 많이 못 띄운게 다행이라면 다행.
  2. 제로센과 달리 이 경우는 속도가 딸리지 않았다.
  3. 조종이 어렵다는 말이 나온 이유가 이 때문인 듯 하다.
  4. 나중에 MiG-19P부터 탑재되긴 했으나 탐지거리 2km짜리 장식에 불과해 레이더 유도 미사일은 꿈도 꾸지 못했다. 아, 물론, 진짜 장식은 아니고 이런 레이더는 주로 탄도학 계산에 쓰인다. 기총 사격시 예측 사격 경로를 계산해주는 용도.
  5. 오죽했으면 사이드와인더 불발탄을 동체에 박고 생환했을까...
  6. 참고로 파키스탄도 현재 F-16을 운용한다. 미국 무기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는 의미.
  7. 1983년 2월 25일 이웅평이 MiG-19를 타고 남한에 귀순한 사건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위에 서술되어있는 망명 사례 항목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