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15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개발/도입년도중국인도이스라엘일본대한민국터키이란대만
1940년대J9Y 깃카
Ki-201
1950년대J-2,J-5
1960년대J-6
J-7
HF-24
1970년대J-12네샤
크피르
미쓰비시 F-1
1980년대J-8 / J-9
J-7E/G / J-13
라비
1990년대JH-7
J-11
나메르아자라크쉬F-CK-1 경국
2000년대J-10
FC-1
F-2 바이퍼 제로사에케
M-ATF
2010년대J-15/J-16
J-20/FC-31
테자스FA-50 골든이글카헤르 313
보르한
샤파크
도르나
2020년대AMCA
FGFA
F-3KFXTFX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Chinese+J-15+Flying+Shark+and+Varyag+Aircraft+Carrier++takoff+operational+carrier+landing+missile+sd-10+pl-12+pl-10+asr+bvr+ramjet+pgm+ls-6+(1).jpg

20121125120309451.jpg

중국 해군항공대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Su-27기반의 함재기. 현재까지 목격된 기체는 시제기로 보이며 제대로 된 도장없이 프라이머만 도포된 상태에서 기체번호 정도만 마킹되어 있고, 기체 곳곳에 이착함 데이타를 얻기 위한 듯한 마킹이 그려져 있다. 비슷한 기종으로 공군의 J-11이 있다.
선양J-15
沈阳歼-十五
Flying Shark飞鲨

1 개요

J-15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항공대의 항공모함 함재기이다. 2012년 9월 취역한 랴오닝함에 탑재될 예정이다.

원래 중국은 바랴그 항공모함을 재생하기로 결정하면서 함재기로서 Su-27의 함재기형인 Su-33을 라이센스 생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Su-27의 라이센스 사업인 J-11 사업에서 러시아 측은 중국이 계약을 어기고 지적 재산권을 침해했다고[1] 주장하며 중국과 더 이상의 라이센스 계약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래서 WZ-10 헬리콥터 뿐만 아니라 함재기도 도입할 길이 막힌 것이다.

그러나 2001년 중국측은 우크라이나에 손을 뻗어 우크라이나가 보유하고 있던 Su-33의 원형기인 T-10K-3을 손에 넣었다. 마침 중국은 이 시험기의 원형기인 Su-27 복제사업을 해봤기 때문에 T-10K-3을 분석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러시아가 애비오닉스 부품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에 J-15는 껍데기만 Su-33의 모습이고 안의 부품은 중국산이 들어간다. 그러나 초도비행시 장착했던 엔진은 러시아제 AL-31 [2]이며, 양산형에는 중국제 FWS-10가 들어간다고 한다.

러시아인들은 이런 중국측의 불법복제에 대해 "짝퉁은 원판에 못미친다.."고 시니컬하게 반응하고 있다. J-15가 초도비행을 한게 2009년 8월이었는데, 2009년 3월까지 중국은 러시아에 애걸하면서 Su-33의 라이센스 생산을 위해 노력했으니, 이것은 중국측이 J-15를 카피하면서도 상당히 성능에 만족하지 못한 듯 하다.

어쨌든 그래도 2010년 모의 항공모함에서의 발착을 성공적으로 마친 모양이며, 2016년에 본격적으로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당분간 랴오닝급은 함재기 없는 빈 배로 다녀야 할 처지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2013년 현재 36대를 탑재하고 있다고 중국 언론에 보도되었다.


일부 해외 전문가들이 중국제 함재기들은 몇년간은 항공모함에서 이착륙을 못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을 비웃듯이, 2012년 11월 25일, 중국 당국은 J-15가 랴오닝 함에서 성공적으로 발착하는 것을 공개했다.

2 양산 계획

하지만 양산은 순탄치 않은 모양이다. 2014년 10월 "중국군의 WS-10A 엔진에 대한 인내심은 한계에 도달했으며, 중국 공군 및 해군항공대는 WS-10A를 때려치우고 AL-31F 엔진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 정부가 거부하고 있고, AL-31F 엔진의 보유 수량마저 부족해 충분한 양을 확보할 때까지 J-15/16 전투기의 양산을 중단해야할 판" 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

캐나다에 서버를 둔 중국군사 전문 매체인 칸와 디펜스 리뷰에 의하면 양산계획이 엎어져버렸다. 앞으로 전력공백을 어떻게 메울지..

하지만 출처인 칸와 디펜스 리뷰는 그다지 신뢰할만한 매체가 아니다. 이 매체는 중국어로 발행되면서도, 이름부터가 일본식 한자 읽기를 시전하고 있는데, (중국어에서 漢和는 한허(hanhe)로 읽어야 한다. 칸와는 일본식 읽기) 사실 캐나다에 서버를 둔 친일-친대만계 매체이다. 이 잡지의 편집자이자 주기고자인 핑커푸 (平可夫) 일본어 위키페디아 해당항목 란 인물은 가명으로, 일본에서 유학한 중국인인데, 일본여자와 결혼해서 현재 일본 거주중이며, 귀화 혹은 망명 반정부인사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과장 [3]이나 허위사실까지도 인용하며 일본(자위대)을 옹호하거나 중국정부를 디스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매체의 주장은 상당히 걸러들어야 한다.

중국 국방부는 7월 공식매체를 이용하여 4월에 있었던 J-15기의 추락사고를 발표했다. 조종사 장차오 대위(29세)는 안타깝게 순직했다고. 이때문에 J-15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거 아니냐는 분석 있다. 물론 어차피 신형기의 사고는 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함재기는 중국이 처음으로 만들어보는 물건이기 때문에) 생산초기 잦은 사고는 불가피할 듯. 과부제조기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기사(영문)

중국으로서는 J-15이외의 다른 대안도 없는데, 현재 함재 전투기를 만드는 세 나라중, 미국(F/A-18)과 프랑스(라팔-M)는 서방진영으로서 외계인이 쳐들어오지 않는 한 중국에 함재기를 팔리 없고, 러시아는 J-11사업에서 중국이 불법복제를 했다고 주장하면서 디스한 바 있으므로, 분명히 함재기가격은 비싸게 부를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남중국해의 급박함을 생각하면, 함재기든 항공모함이든 일단 배치하고 시행착오를 고쳐나가는 방향으로 나갈 듯 하다. 어차피 경험없는 나라가 항공모함을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할 시행착오이기 때문이다.

3 관련 항목

  1. 부품을 뜯어봤다는 이야기.
  2. 중국 국산 J-10에도 이 엔진이 들어간다.
  3. 이 매체는 이즈모급에 F-35 배치가 확정적이라고 오보를 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