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EZ/난이도 표기 문제

< VOEZ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VOEZ 수록곡에 대해서는 VOEZ/수록곡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틀:VOEZ의 하위 문서

리듬게임의 난이도 표기 문제
beatmania IIDX팝픈뮤직DanceDanceRevolution유비트리플렉 비트(VOLZZA 2)
유구의 리플레시아
사운드 볼텍스GROOVE COASTERBEATCRAFT CYCLONDJMAX TECHNIKA
(1 · 2 · 3)
EZ2AC (최신 버전)
EZ2DJ (AEIC 이전)
펌프 잇 업
(수록종료)
CytusDeemoDynamix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VOEZ태고의 달인LanotaGITADORA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Hachi Hachi
같이 보기
물렙곡불렙곡

1 개요

본 항목은 VOEZ 안에서 난이도 표기에 문제가 있는 곡들의 패턴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문서는 2023-08-11 17:49:53 기준 최신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1.1 작성 시 주의 사항

  • 개인적인 감상이 아닌 여러 유저들도 공감할 수 있는 수준의 경우만 표기하도록 한다.
  • 이 문서는 FC(Full Combo) 난이도를 기준으로 한다.
  • 같은 레벨대에서 어렵거나 쉽다고 무조건 불렙/물렙으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벨 7 중에서는 하위권이나, 일반적인 레벨 6 곡들보다는 강하거나 레벨 6 지뢰곡들과 비슷할 경우에는 물렙곡에 속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최소한 해당 레벨의 평균대보다 1 이상 격차가 있는, 그러니까 레벨이 한 단계 이상 상승/하락해도 위화감이 없는 패턴들을 작성할 것.

1.2 작성 기준

이 문서는 이 토론 에서 작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는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추가 토론 없이 수정·이동할 경우 편집권 남용/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불렙곡(불렙)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붉은색(red)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의 난이도가, 해당 곡보다 레벨이 1 높은 곡들의 평균적인 난이도보다 어렵거나 비슷할 경우.
    • 대부분의 플레이어(90% 이상)를 대상으로 불렙이라는 의견에 이의가 없을 때
      • 다시 말해, 개인차로 인해 난이도가 적정레벨로 떨어진다면 불렙으로 작성하지 않는다.
  • 물렙곡(물렙)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푸른색(blue)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의 난이도가, 해당 곡보다 레벨이 1 낮은 곡들의 평균적인 난이도보다 쉽거나 비슷할 경우.
    • 대부분의 플레이어(90% 이상)를 대상으로 물렙이라는 의견에 이의가 없을 때
      • 다시 말해, 개인차로 인해 난이도가 적정레벨로 올라가면 물렙으로 작성하지 않는다.
  • 개인차 곡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보라색(purple)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이 플레이어에 따라 난이도가 1 이상 차이나는 경우[1]
    • 해당 곡이 특정 패턴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 ※ 작성 시 주의사항
      • 곡이 불렙, 물렙 조건을 만족해야 각각 불렙 개인차, 물렙 개인차로 작성할 수 있다.
      • ex) 8레벨 패턴이 6~7레벨 수준으로 평가되면 물렙 개인차로 서술하나, 7~8레벨 수준으로 평가되면 개인차로 서술해야 한다. 이 때에 위에 있는 조건도 모두 만족 해야한다.
  • 패턴 밀집곡은 아래와 같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며, 녹색(green)으로 작성한다.
    • 노트가 밀집된 구간의 체감 난이도가 나머지 구간에 비해 3레벨 이상[2] 상승할 수 있고 불렙/물렙이 아닌 경우
    • SS(All Max Perfect) 기준 스코어 판정의 35% 이상을 특정 구간이 차지하는 경우
  • AP(All Perfect) 주의곡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주황색(darkorange)으로 작성한다.
    • FC(Full Combo) 난이도와 별개로 AP(All Perfect), SS(All Max Perfect) 난이도가 높을 경우[3]
  • 체력곡은 아래와 같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며, 회색(gray)으로 작성한다.
    • 곡의 길이가 4분을 넘는 경우
    • (11레벨 이상인 곡에 한해) 곡의 길이가 3분을 넘고, 표기레벨 수준에 해당하는 패턴이 쉬는 구간[4]없이 이어지는 경우
  • 는 위의 6조건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경우 곡 제목을 두 가지 이상의 색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각 문서는 불렙물렙개인차패턴 밀집곡AC 주의곡체력곡순으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복합채보도 동일하다.
같은 레벨의 같은 속성의 곡이라면, VOEZ 내 수록곡 정렬 순으로 적도록 한다.

곡명 뒤에 곡에 해당하는 난이도 (EASY, HARD, SPECIAL) 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각 레벨별 난이도 표기 문제

2.1 레벨 1

  • Time Phase Pt.1 EASY - 1레벨임에도 불구하고 변속이 있다. 때문에 처음 20초와 이후의 박자에 모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2.2 레벨 2

  • Imperium EASY - 2레벨 노트수 2위(195개)이며, 중간중간 박자를 꼬아놓은 부분도 나와서 스코어링도 어렵다. 2레벨 전곡을 통틀어 SS 달성자가 가장 적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 Time Traveller EASY - Imperium 이지가 가지고 있던 2레벨 최다 노트수 타이틀을 가져온 채보. 노트 수만 200개를 넘으며 노트 밀도도 3레벨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이다. 중간중간 엇박도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스코어링은 Imperium 이지보다는 쉽지만 그래도 2레벨 치고는 난이도가 높다. 3레벨로 올라가도 괜찮은 채보.
  • Scherzo EASY - 박자가 은근히 까다롭다. 4분의 3박자 곡인데 첫 플레이 시 박자를 잡기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박자를 얼마나 빨리 잡느냐에 따라 개인차로 이어지게 된다.
  • Sprout EASY - 초반부에 순간 밀도가 4레벨 이상급인 3연타가 한 번 나온다. 이후에도 중간중간 노트 밀도가 높아지는 구간이 간헐적으로 나오니 주의.

2.3 레벨 3

  • dynamo EASY - 3레벨 스코어링 보스곡. 초반부터 라인이 빠르게 움직인다. 게다가 움직이고 있는 라인에서 노트가 나오는 구간이 거의 대부분이기에 간접미스가 나기 쉽다. 또한 같은 이유로 박자 잡는 것도 어려우며, 노트 수도 적어 스코어링도 어렵다.
  • scent EASY - 전체적인 노트 배치가 2레벨과 비교해도 좀 더 쉬운 축에 속한다. 뻘판정만 주의해주면 어렵지 않게 SS도 가능하다.
  • Ancient Rose EASY - 스와이프 노트 입문곡. 채보의 곳곳에 스와이프 노트 기습이 계속 나타난다. 스와이프 노트에 적응이 빨리 되면 간단하게 깰 수 있으나 반대의 경우 상술한 dynamo EASY 못지않은 악랄함을 느낄 수 있다. 이후의 다른 곡들의 상위 채보를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곡이기도 하다.
  • Lv.0 EASY - 곡 중간에 변속이 존재한다. 홀딩 잡으면서 변속에 대응할 수는 있으나 그게 스코어링까지 책임져 주지는 않는다. 그리고, 첫 변속 이전에 하나 등장하는 스와이프 즈레(어긋난 동시치기)도 스코어링 작업에 엄청난 걸림돌이니 더더욱 주의. 이 때문에 3레벨 중 SS 달성자 수가 적은 편이다.

2.4 레벨 4

  • Czarte EASY - 4레벨 가독성 끝판왕. 노트 개수부터 200개가 넘어가기 때문에 The Longest Night EASY만큼 대책없이 많은 건 아니어도 4레벨 치고는 노트 수가 많은 편이며 중후반부부터의 노트 밀도가 5레벨은 가볍게 상회하는 것으로도 모자라, 처음부터 라인 갖다가 각종 특수효과를 마구 작렬시켜 눈에 엄청난 피로를 가져다 주며, 노트 배치가 스크린의 양 끝에서 나오는 구간은 시선이 분산될 수밖에 없어 대량의 판정을 잃게 된다. 최소 6레벨 중하위 수준.
  • Like Asian Spirit EASY - 초중반부의 까다로운 박자도 그렇고 중후반부부터 시작되는 계단의 범위가 넓은 축에 속해 손을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그리고 4레벨 중에서도 유난히 판정이 어렵다.
  • Tsuioku EASY - 스와이프 하나와 함께 시작되는 롱잡의 향연이 4레벨 치고 엄청나게 격렬하다. 5레벨 곡들과 비교해도 거의 비슷하거나 그 이상 수준의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어째 코바야시 신이치는 투고하는 곡마다 특정 구간이 미쳐 날뛰는 애들밖에 없는 것 같다.
  • Warp Drive EASY - 총 노트 수가 69개로 4레벨 최저 노트 수인 것도 모자라 그나마 여기서 가장 어려운 게 초중반부 이중 무빙 홀딩인데 2레벨을 쉽게 FC할 정도의 실력이 된다면 넘길 수 있다. SS 달성자 수는 이미 랭킹 범위를 초과했으며[5] 체감 난이도가 사실상 1레벨에 가까운 심각한 물렙에 속한다.
  • Beat it Beep EASY - 박자도 단순하기 그지없고 노트 배치도 단순한 좌우 번갈아 치기, Max Perfect 판정밖에 없는 슬라이드 노트 등이 전부다. SS 달성자 수가 30명을 초과할 정도로 어지간한 3레벨 곡들보다도 훨씬 쉽다.[6] 2레벨로 내려가도 중위권 수준이다.
  • Keep You Safe EASY - 채보 자체는 4레벨에 적합하다. 다만, 보컬 가성 부분이 문제인데 조합이 단타 직후 홀딩(경우에 따라 무빙 홀딩)인지라 스코어링이 어려워질 수 있어 이 구간의 처리 능력에 따라 개인차가 갈리며, 실제로도 이 때문에 SS 달성자 수가 4레벨에서 가장 적다.
  • Soul in Call EASY - 다 좋은데 중반부 8연타가 문제. 그냥 친다면 모르겠으나 SS를 노리는 유저라면 여기서 뒷목 연거푸 잡게 된다(...). 스코어링을 위해서라면 주의하며 처리할 것.

2.5 레벨 5

  • Aquamarine EASY - 노트 수만 무려 390개다. 5레벨 평균 노트 수가 200~280 정도라는 걸 감안하면 그야말로 사람 잡는 노트 수. 추가로 후반부의 단타 세례도 까다로운 박자와 높은 밀도와 맞물려 스코어링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된다. 5레벨 SS 달성자가 10명도 안 되는 곡들 중에서도 가장 악랄한 채보.
  • Highlander EASY - 5레벨 보스곡. 이 쪽은 초반부와 후반부의 롱잡이 꽤 격렬해서 스코어링이 장난 아니게 어렵다. 심지어 4레벨 대표 롱잡곡 Eastern Horoscope EASY나 상술한 Tsuioku EASY에 적응 다 하고 와도 썰리기 쉽다. 5레벨 중에서는 나온지 얼마 안 된 점을 감안해도 SS 달성자 수가 단 2명밖에 없으니 말 다했다(...).
  • Until the Blue Moon Rises EASY - Aquamarine처럼 체력곡 성향이 강하며, 중반부부터 전체 노트 수의 2/3을 넘는 양의 노트들을 여기서부터 다 쏟아부어 후살이 꽤나 빡세다. 상술한 Highlander 이지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5레벨 중에서는 꽤나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 Refel EASY - 총 노트 수 96개(...). 게다가 전체적으로 노트 밀도가 1레벨 수준이다. 5레벨씩이나 준 이유는 아무래도 초반부와 클라이맥스 부분의 지진 효과와 함께 나오는 이중 지그재그 무빙 홀딩 때문인 듯하다. 처리법을 모를 경우에 한해서 그나마 레벨 값에 적합하겠지만 익숙해질 경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하기 전에 랭킹 차트를 보면 SS 달성자 수가 40명을 넘어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는데, 해 보면 왜 그런지 바로 납득하게 된다(...).
  • Flash Gun EASY - 179개밖에 안 되는 노트 수에 패턴 또한 단순하기 그지없다. 4레벨로 내려가도 중위권.
  • Bataille Industrielle EASY - 채보 자체는 간단한데도 SS 달성자 수가 상당히 적은데, 가장 큰 원인이 바로 무빙 단타 세례 4연발이다. 상술한 dynamo EASY 같은 곡에서 무빙 단타를 얼마나 숙지하고 도전하느냐에 따라 스코어링 난이도가 판이하게 달라진다.

2.6 레벨 6

  • MadteK EASY - 6레벨에서 가장 트리키한 채보를 보유하고 있다. 노트 수도 310개로 6레벨 최다 노트 수. 7레벨과 거의 동급이다.
  • Emotion in Motion HARD - 처음으로 접할 수 있는 하드인데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난이도가 5레벨 중하위권 수준으로 상당히 쉽지만, 홀딩으로 점철된 후살이 은근히 무섭다. 이 구간 때문에 SS를 노리다가 다 말아먹는 일이 많으므로 주의.
  • Gigantic Saga EASY - 채보 자체는 6레벨에 적합한데, 그 놈의 스와이프가 스코어링을 갉아먹는 주범이다. 스와이프에 강하다면 AP까지는 문제가 없으나 아닐 경우 상당히 고전할 수 있다. 물론 스와이프에 강하다고 해도 스와이프의 까다로운 판정으로 인해 SS는 꽤 어렵다.
  • Sprout HARD - 6레벨 최악의 롱잡곡. 게다가 BPM도 느린 주제에 판정선이 6레벨에서 가장 좁다. 롱잡 처리 능력에 따라 개인차가 나뉘며 AP는 쉬우나 SS는 엄청 어렵다. VOEZ의 To My Love라고 보면 된다.
  • PUPA EASY - Emotion in Motion HARD와 함께 6레벨의 후살을 담당하는 곡이다. 특히 기습 이중 노트 세례가 한 번 나오니 당황해서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풀콤보를 노릴 수 있다.

2.7 레벨 7

  • Imperium HARD - 2레벨 문단에서 상술한 이지 패턴에서의 킬링 구간을 몇 배 더 강화시켜서 대량의 판정을 앗아간다. 가독성도 은근히 떨어져서 더더욱 어렵다. 후술할 Event Horizon 이지와 최소 동률, 아니면 그 이상의 난이도를 보여준다.
  • BLANKET HARD - 동시치기의 압박이 어마무지하다. 이 동시치기 덕분에 7레벨 중에서도 노트 수가 엄청나게 많아 체력을 쏙 빼먹는다. 채보의 마무리를 짓는 S라인 무빙 홀딩도 압권. 8레벨 초중반 수준의 난이도를 보여주며, SS 달성자 수도 7레벨에서 가장 적다.
  • Event Horizon EASY - 박자 낚시는 기본이요 빨강색&파란색 라인으로 도배된 상태에서 무빙 단타가 쏟아지질 않나, 게다가 후살은 아예 엇박 3단타 작렬이다. 흡사 Max Burning!!이 연상되는 수준. 8레벨이여도 별말 없었을 난이도를 자랑한다.
  • citanLu EASY - 전체적인 노트 밀도가 7레벨은 커녕 5레벨보다도 낮다 못해 3레벨이나 가야 비슷한 밀도가 나올 정도로 미친 듯이 낮다(...). 그나마 가장 레벨 값 하는 구간이 중반부 무빙 단타하고 후반부 이중 홀딩 구간인데 무빙 단타조차도 5레벨인 Bataille Industrielle 이지의 그것이 더 어렵고 이중 홀딩도 상술한 6레벨 물렙곡(...)인 Emotion in Motion 하드의 그것이 더 처리하기 까다롭다. 실질적인 난이도는 아무리 잘 쳐줘도 4레벨 최하위권이다.
  • Carnation HARD - 짤막한 단타 폭격이 존재하긴 하지만 Akari HARD를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는 유저라면 가볍게 넘길 수 있으며 SS 난이도도 시탄루와 함께 7레벨에서 가장 낮다. 6레벨 중상위 수준.

2.8 레벨 8

2.9 레벨 9

  • dynamo HARD - 9레벨 최종 보스곡. 전체적으로 노트 밀도나 폭타 수준이 11~12 레벨들과 맞먹는다. 게다가 EASY와 SPECIAL 패턴에 나오는 움직이는 패턴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어서 가독성에도 영향을 끼친다. 마찬가지로 노트수가 적기 때문에 스코어링에서도 매우 까다롭다.

2.10 레벨 10

2.11 레벨 11

2.12 레벨 12

  • Revival HARD - 후에 서술될 SPECIAL 패턴과 마찬가지로 물렙이라는 평이 많이 나온다. SPECIAL 패턴보다는 쉬운 편이지만 슬라이드 노트 사이에 단타가 끼어있어 SPECIAL 패턴보다 스코어링에 한해서는 오히려 더 어려울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노트를 처리할 때 편법을 사용했던(..) 플레이어는 이 패턴에 폭사당해 난이도가 적정레벨까지 올라갈 수 있다.
  • Ancient Rose SPECIAL - 스와이프 노트 지옥곡. 난이도 자체는 12레벨에 적합하나, 초반부터 지그재그 스와이프 3연타가 나오는 등 스와이프 노트 기습이 매우 많은 곡이다. [7] 이외에도 무빙 홀딩+단타 패턴 등 순간적으로 12레벨을 벗어나는 패턴이 많은 곡이다.

2.13 레벨 13

  • Revival SPECIAL - 이 곡의 패턴은 중후반에 배치된 슬라이드 노트에 난이도를 모두 쏟아부은 형태인데, 슬라이드를 정공법으로 처리할 경우 콤보가 끊기기 쉽지만, VOEZ 판정의 특성으로 인해 6개의 라인에 손가락을 슬라이드 노트가 다 떨어질 때 까지 대고 있으면 모든 노트가 알아서 처리된다.[8] 따라서 이 편법을 아냐 모르냐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 그러나 슬라이드를 정공법으로 처리해도 체감난이도는 적정레벨까지 올라가지 않으며, 슬라이드 노트 외의 부분은 13레벨이라 하기에는 지나치게 쉬워 꼼수를 아는 플레이어는 심각한 물렙으로 바라볼 수 있다.

2.14 레벨 14

  • MadteK SPECIAL - Hard와 동일한 레벨이긴 하나, 체감 난이도는 이 쪽이 한 수 위다. 초견살이 큰 편인데, 축연타 부분이 3번이나 나오고, 라인장난을 이용한 이동형 홀드, 손 교차 유도 패턴 등이 골고루 나와 14레벨에서 벗어나버렸기 때문. 초창기 14불렙 1순위였던 SupaMax의 입지를 줄인 것도, 신 14레벨 곡 나오는 것이 제일 두렵다는 말도 나온 이유 중 하나가 이 곡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 SupaMax SPECIAL - 14레벨 스코어링 최종보스곡 1.처음부터 경로선을 이탈하기 쉬운 이동형 홀드로 시작해 처리하기 힘들게 짜놓은 스와이프 구간과 라인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노트가 갑툭튀해서 콤보를 끊기 딱 좋은 부분 또한 나온다. 최후반에서 지속+스와이프->단타+스와이프 구간이 압권. 이런 이유로 풀콤 난이도도 쉽지 않은데다가 스코어링 난이도도 정말 악랄한데, 이 곡은 8/26 기준으로 SS를 찍은 플레이어가 한 명도 없다는 것만으로도 이 곡이 웬만한 15레벨들도 꺾고다녔던 불렙임을 알 수 있다.
  • Unbalance Voice HARD - 짧은 홀드 노트가 주가 되는 패턴이나, VOEZ 특유의 라인 장난도 많이 없는 편이며, 중반의 덥스텝 비트 구간의 단타+슬라이드가 약간 난이도가 있으나 그것 마저도 레벨 14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쉬운 편이다.
  • Toys Etude SPECIAL - 전체적으로 초견살이 매우 심한 채보인데, 그 이유는 이 곡이 라인의 이동뿐만 아니라 인식 범위를 이용해서도 장난을 치기 때문이다. . 대표적으로 단타와 함께 쏟아지는 움직이는 일자형 슬라이드 덩어리를 들 수 있는데, 사실 그 중 일부는 무시하고 다른 노트에만 집중해도 인식될 정도로 인식 범위가 넓다.
  • Tsuioku SPECIAL - 초중반부는 무난한 14레벨 구간이지만 480콤보대에 홀드노트가 난무하는 부분부터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지는게 동 작곡가의 이 것을 연상시킨다. 특히 발광 부분 중간에 나오는 슬라이드 노트가 콤보를 끊기에 좋기 때문에 꼭 조심하자.
  • Brightness SPECIAL - 하이라이트 도입부터 대량의 연타 발광으로 시작해 그 후 짤막한 3, 5연타가 곳곳에 설치되어 내려오기 때문에 퍼펙트 판정에 주의를 요한다.
  • Eastern Horoscope SPECIAL - 14레벨 스코어링 최종 보스곡 2. 무빙 홀딩부터 시작해서 홀딩과 단타를 절묘하게 조합해 손을 헷갈리게 하는 롱잡의 향연이 펼쳐진다. 초반부의 난해한 박자의 폭타도 그렇고, 중후반부에도 박자 낚시는 건재하여 스코어링이 어렵다.

2.15 레벨 15

  • Twinkle wink SPECIAL - 전체적으로 어려운 채보가 고르게 나타나 있다. 그리고 판정선이 좁은 라인을 많이 사용된 부분도 이 곡의 난이도를 더 높이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중반부의 라인 장난은 초견살이 심한 편이기 때문에 FC는 15레벨 치고는 어려운 편.
  • Until the Blue Moon Rises SPECIAL - 스와이프 보스곡. 이 곡 이전에 스와이프 노트 비중이 최대였던 Ancient Rose가 뜬금없이 스와이프 노트가 나온다는 느낌이라면, 이 곡은 대놓고 거의 단타 노트 대신에 스와이프 노트가 나온다. 중반부의 스와이프 트릴과 후반부의 스와이프+반대 방향 슬라이드가 까다로운 부분이다.
  • dynamo SPECIAL - EASY와 HARD에서와 마찬가지로 라인이 빠르게 움직여 좌우 판정이 매우 악랄하다. 무난하게 시작되는 초반이후 문제의 20초간 지속되는 16비트 재봉틀+스와이프 구간이 악명높다. 또한 15레벨 치고 매우 적은 편에 속하는 노트 수 (541개) 덕분에 스코어링 측면에서 매우 악랄하다. 그러나 연타 실력과 채보를 파악하는 능력에 따라 FC, AP까지는 개인차가 갈린다.
  • Go or Stay SPECIAL - 채보의 전체적인 난이도도 그리 어렵지 않고, 외워야 하는 라인 장난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15레벨 중에서는 몇 판 플레이 안 해도 충분히 FC뿐만 아니라 AP, SS를 노릴 수 있는 쉬운 채보이다.
  • citanLu SPECIAL - 후반부 라인 장난, 움직이는 일자형 슬라이드 등 라인을 활용한 패턴으로 인해 영상으로 본다면 어렵게 보이지만 라인 장난이 암기할 수 있을 정도로 짧고, 실제로 해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채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L 시리즈 치고는[9] 쉬운 채보라는 평이 많다.
  • The Longest Night HARD - 보컬과 피아노음을 토대로 짠 채보이다. 총 노트수가 1079개로 1천을 넘어가는 부담스러운 숫자이나, 슬라이드 노트의 비중이 높고, 중후반부의 폴리리듬 부분을 제외하면 FC는 물론 AP의 난이도 또한 어렵지 않다.
  • MUSIC BOX SPECIAL - 이 채보의 특징적인 패턴은 곡 전체에 통틀어서 두 번정도 나오는 5연타 패턴, 그리고 후반부 도입 전 약 6초 간 지속되는 지그재그 스와이프 노트 패턴이다. 이 패턴을 초견으로 플레이하거나 박자를 잡기 어려워하는 플레이어는 이 구간에서 폭사당할 수 있다.
  • pheneX SPECIAL - 이 곡의 마지막 부분 후살은 무려 129연타(538콤보~666콤보)로 약 10초동안 이어지는데다, 단순히 특정 라인에서만 노트가 내려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민첩하게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Interstellar Experience의 중간 부분의 연타를 소화해 낼 수 있다면 이 곡의 후살도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부분.
  • Something Spicy SPECIAL - 이 곡 스페셜 채보의 특이점은 모든 게 단노트로 밖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 말은 즉슨, 슬라이드나 홀드같은 스코어링에 도움을 주는 노트가 없다는 것이다. 거기다 Perfect를 따기 쉽지 않은 채보들로 구성되어 있고, 어쩌면 체력곡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초견 때 당황하기 쉬운 대륙횡단트릴이 초반부, 후반부에 2번 나오니 주의하자. 최근에 수록되어 과대한 평가는 금물이지만, 상술했던 이유로 아마 15레벨 스코어링의 끝판왕이 될지도 모른다.

2.16 레벨 16

2.16.1 레벨 16 일반

  • 双龍飛閃-Dual Dragoon- SPECIAL - 초반부터 간격있는 2연타, 짧은 축연타가 등장하며, 그 직후 꼬인 슬라이드와 단타, 동타가 난무하는 패턴으로 점수와 콤보를 깎기 쉽다. 그리고 중살이라 할수있는 가독성이 매우 나쁜 슬라이드 구간이 등장하며, 최후반에 슬라이드가 몇십개가 엄청난 밀도로 쏟아지는데, 이때 폰 사양이 좋지 않으면 씹혀서 밑으로 빠지기 일쑤.
  • Owari to Hajimari no Oto SPECIAL - 슬라이드 보스곡. 전체적인 난이도는 상술한 双龍飛閃-Dual Dragoon-보다 쉬울 수 있으나, 중후반에 들어서 슬라이드 노트와 단타 노트를 복합적으로 섞어놓은 패턴이 있다. 다만 슬라이드 노트 위주의 채보이다 보니 스코어링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 PUPA SPECIAL - VOEZ의 라인 장난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한 줄로 내려오는 것 처럼 보이지만 이후 각각의 장소로 노트가 나뉘는 채보가 많다. 그리고 최후반에는 아예 상술했던 双龍飛閃-Dual Dragoon-Owari to Hajimari no Oto급 슬라이드 노트 발광을 보여준다! 후술할 Interstellar Experience 보다 어려운지는 개인차가 갈리지만, 더 쉽다는 평이 많다.
  • Like Asian Spirit SPECIAL - VOEZ 판정 최종보스곡. 전체적으로 FC하기에는 무난한 채보지만, AP를 노린다면 난이도가 180도 바뀌어 버리는 연타곡. 특히 클라이맥스 구간의 연타는 Perfect, OK 판정이 나기 쉬우며, VOEZ 판정 특성 상 노트가 밀리기 쉽기 때문에 꼭 집중하고 처리해야만 한다.

2.16.2 레벨 16 최상위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2E8B57;padding:6px 10px 10px"
{{{#!wiki style="margin-bottom: 8px;"
}}}{{{#!wiki style="margin-top: -4px; margin-right:10px; margin-left:0px;"
이 문단은 {{{#!html <a href="https://namu.wiki/topic/@토론번호@">이 토론</a>}}}에서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추가 토론 없이 수정할 경우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틀:토론 합의/설명문서}}

아래 목록의 곡들은 모두 16레벨 내에서 상당히 극악한 난이도를 보여주는 곡이므로 초심자들은 피하는 게 좋다. 여기 있는 곡들은 레벨 17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면 적절한 곡이 대부분이다.


  • Interstellar Experience SPECIAL - VOEZ 보스곡. 라인이 좌우로 교차되면서 노트가 내려오기 때문에 손배치가 좀 까다로울 수 있다. 이 곡이 보스곡이 된 이유는 중후반부부터인데, 빠른 대륙횡단 트릴로 시작해 Bataille Industrielle에서 볼 듯 싶은 스와이프-단타-단타 패턴이 나오는데, 밀도가 더 높아져서 나오고, 심화된 스와이프+슬라이드 패턴, K자->8자 모양의 난이도 높은 트릴, 미스 유발하는 꼬아놓은 이동형 홀드 등 몇개만 넣어도 16렙이 충분히 될 것을 여기선 밥먹듯이 사용하였다.(...) 본격적으로 후반으로 들어서면 16비트 수준의 빠른 폭타가 등장하는데, 이 폭타 중간에 노트가 더 밀집해서 나와 스코어링작에 어려움을 둔다. 그리고 이동하는 라인에 밀도가 x5의 속도로 해도 노트가 겹치게 보일 정도의 축연타를 넣었다. 마지막은 중후반 폭타와 비슷한 성격의 밀도 높은 트릴이 나오고 끝이 난다. 채보의 구성으로 보아 이 곡에다 17레벨을 줘도 이상할 게 없다는 평이 존재하고, 아마 지배적일 가능성이 크다.
  1. 단, 체감 레벨이 1 정도 차이나더라도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고 볼 수 없는 경우 [ ex) 7~8레벨 곡이 7렙 상위~8렙 하위로 평가받는 경우{{{#444 ]}}} 는 개인차로 작성하지 않는다.
  2. 14레벨 이상은 최소 1레벨 이상
  3. 따라서 FC 난이도도 높은 불렙은 해당되지 않는다.
  4. 적정레벨 수준에서 5레벨 이상 낮은 수준의 패턴이 나오는 구간이나 노트가 거의 내려오지 않는 구간
  5. 랭킹 범위는 총 1위~50위까지 표시된다. 따라서 SS 달성자가 50명은 넘는다는 의미.
  6. 실제로 2~4레벨 랭킹 현황을 보면 스코어링이 까다로운 곡의 경우 SS 달성자 수가 20명도 채 안 되며 Imperium 이지는 10명 안팎에 머무른다.
  7. 스와이프 노트의 비중이 대략 2/7로, VOEZ의 수록곡 중 스와이프 노트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8. 기기가 6개 손가락을 모두 인식하지 못한다면 슬라이드 노트가 나오는 범위를 두 손가락으로 흔들어주면 모든 슬라이드 노트가 쉽게 처리된다.
  9. citanLu는 L6의 하드코어 버전이다. L6의 본제인 Lunatic의 아나그램인 것과 일러스트의 제목에 L 실루엣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