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복신

(七福神에서 넘어옴)

칠복신(七福神).

파일:Attachment/칠복신/7.jpg

용선을 타고 가는 칠복신을 그린 그림.
첫 번째 그림 속 뱃머리의 용 표정이 영 안 좋지만 신경쓰면 지는 거다 용무룩

파일:Attachment/칠복신/77.jpg
왠지 중국풍이 강하게 느껴지는 칠복신 그림.

IMG_4566.jpg
헬로키티와의 합체.

파일:Attachment/shichi.png
사자에상 일가 버전. 월요일을 가져다주는 신들

400px
신세기 에반게리온 버전.

1 개요

칠복신이란 일본 전통 민간신앙에서 숭배하는 일곱 명의 복(福)신으로, 일본 각지의 이나 신사, 대중매체에서 친숙하게 만날 수 있는 신이다. 우리나라에 복을 주는 신격으로 삼불제석이나 칠성신, 돌부처, 중국에 관우나 재신(財神), 복신(福神), 팔선(八仙)이 있다면 일본에는 칠복신이 있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수능 기도철만 되면 갓바위 돌부처님을 찾아가거나 전국의 절/신당에서 흔하게 칠성신을 모시고 북두칠성 숭배를 하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각지에 칠복신 관련 신사와 절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참배하고 있다. 이렇게 각지의 칠복신과 관련된 사원을 참배하는 것을 "칠복신 순례(시치후쿠진메구리:七福神巡り)"라고 하며, 이를 위한 웹사이트도 있다.

일본에서는 새해 전날 복을 나누어주기 위해 타카라부네(宝船, 칠복신이 타고 다니는 배)를 타고 복을 주러 온다고 하여, 정월에 잠자기 전 배를 탄 칠복신 모형이나 그림을 머리맡에 두기도 한다.

우에다 레이나에 따르면 행복씨, 만복씨, 숙면씨, 따뜻씨, 사랑씨, 고독씨, 가족씨라는 것 같다

2 외형적 특징

칠복신은 각각의 복장이나 외모에 특징이 있다.

  • 에비스 - 낚싯대를 들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커다란 도미를 옆구리에 끼고 있기도 한다.[1]
  • 다이코쿠텐 - 등에 산타클로스도둑처럼 커다란 보따리를 들고 있으며 손에는 망치를 쥐고 있다.
  • 비샤몬텐 -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고 있어서 마치 고대 중국장수와 흡사한 모습이다.
  • 벤자이텐 - 여성으로 손에 비파를 들고 있다.
  • 후쿠로쿠쥬 - 머리통이 길고 이마가 굉장히 넓은 대머리이다. 손에는 지팡이를 들고 있다.
  • 쥬로진 - 학창의를 입고 머리에 화양건을 쓴 사족(士族) 풍의 노인이다.
  • 호테이 - 다이코쿠텐처럼 커다란 보따리를 들고 있으며 다이코쿠텐과의 차이점이라면 망치 대신 부채를 들고 있다는 점이다.

3 칠복신의 구성

3.1 에비스

해당 항목 참조.

3.2 다이코쿠텐

daikoku.jpg
tumblr_ls4r2dRwtc1ql7gyfo1_400.jpg
대흑천(大黒天). 인도의 마하칼라가 불교(정확히는 밀교)의 유입과 함께 일본에 들어오면서 토착화된 존재이다. 토착화되면서 이름만 같은 다른 존재가 되었다. 담당하는 주 분야는 금전운과 사업운.
우리나라 통도사에도 모시는 곳이 있다고 한다.
참고로 오리지날 마하칼라는 이렇게 생겼다.

...이 그림과 인도라는 걸 생각하면 알겠지만 마하칼라라는 건 시바신의 다른 이름이다.

3.3 비샤몬텐(비사문천)

파일:Attachment/칠복신/bisha.jpg
일본 동대사의 비사문천상*
사천왕 중 북방을 지키는 비사문천(다문천왕). 담당하는 주 분야는 불교와 마찬가지로 악귀, 마물 , 재해를 막는 역할.@

3.4 벤자이텐(변재천)

shichifukujin4.jpg
마찬가지로 불교의 신인 변재천. 칠복신 중 유일한 홍일점으로, 변재천은 비사문천의 아내(혹은 여동생)라고 한다. 담당하는 주 분야는 풍요와 예능.# 인도 신화에서는 사라스바티여신이다. 사족으로 일본의 조운선 겸 상선인 변재선의 변재도 여기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3.5 후쿠로쿠쥬(남극노인, 남극선옹)

Fukurokuju.jpg
중국 도교의 신으로, 남극성을 신격화한 남극노인이다.# 남극성 신앙은 중국의 전통 민간신앙으로, 이 별을 보면 장수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후기에 이 남극성 신앙이 유행한 적이 있다. 담당하는 주 분야는 불로장생.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남극성은 팔분의자리의 시그마별, 즉 남쪽 정 가운데에 있는 주극성을 말하는게 아니라 여기서 봤을때 남쪽에서 빛나는 별, 즉 용골자리카노푸스이다

3.6 쥬로진(노자)

Jurojin.jpg
노자. 동시에 남극성의 화신이며, 위의 후쿠로쿠쥬와 동일한 존재라고 한다.@가만, 그럼 육복신이라고 해야 되는 거 아닌가? 담당하는 주 분야는 장수와 지혜. 왜정시대 지폐에 주구장창 나오는 수노인이 바로 이 양반.

3.7 호테이(포대화상)

400px
월드 이즈 마인
p3220251.jpg
칠복신 중 유일한 실존인물로, 중국에서 미륵불의 화신으로 여겨졌던 신승 포대화상을 신격화한 것이다.@ 담당하는 주 분야는 길흉을 예측하고 풍족함과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

여담으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아시아 왕조의 칠복신 카드의 아이콘에 그려진 모델이기도 하다.

4 번외:팔복신(八福神)

일부 지역에서는 기존의 칠복신에 다음 위격 중 하나를 넣어 팔복신이라 하거나, 기존 칠복신 중 하나를 대체하기도 한다.

4.1 오타후쿠(お多福)

오타후쿠 가면.*
오후쿠산, 오카메(福女)라고도 한다. 재액을 쫒고 복을 불러들인다고 한다. 일본의 사찰 청수사의 '청수사팔복신'(清水寺八福神)중 하나이다. 그러나 보통은 칠복신보다는 후쿠스케(福助)[2]와 같이 사업장에 놓고 복을 불러들이고 재액을 쫒으며 부부간의 사이를 원만하게 해 준다는 상징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식으로.*

4.2 길상천(吉祥天)

kitijyouten.jpg
일본 교토 죠우리지(浄瑠璃寺)의 길상천 불상.*
다름 이름은 공덕천(功德天). 길상천이란 인도 신화비슈누의 아내인 라크슈미 여신의 불교식 이름. 밀교에서는 비사문천의 아내라고 한다. 지바 현, 도쿄도 하치오지시에서는 칠복신에 길상천을 추가하며, 종종 직능이 겹치는 변재천 대신 들어가기도 한다.

4.3 달마


일본의 달마도.*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집이나 가게에 좋은 기운이 나온다고 걸어놓는 달마도의 그 달마대사 맞다. 요코하마시와 아이치 현 됴요하시 시에서는 달마를 추가한다.

4.4 우가진(宇賀神)

87018403_624.jpg
우가진의 모습.*[3]

모에화된 우가진.* 한때 국내에서 충공갱을 불러일으킨 일본의 모에사찰 료호지(了法寺)의 우가진 그림이다.(...)우리 우가진이 저렇게 귀여울 리 없어
321px-Hogonji11s3200.jpg
여신 모습의 우가진
우가진은 변재천의 다른 이름이지만, 우가진으로 불릴 때는 남자(혹은 여자)의 얼굴을 한 뱀으로 묘사된다. 도쿄도 분쿄 구의 소석천칠복신(小石川七福神)에 들어간다. 원래는 일본의 토착신으로, 복을 주는 신이었으나[4] 불교 도래 이후 변재천과 습합되면서 여신이나 여자 얼굴의 뱀신 모습이 되었다.

5 칠복신을 소재로 한 서브컬처 작품

6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V3 수록곡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클래식 난이도 체계
BPM난이도
115기타 표준BASICADVANCEDEXTREME
214257
기타 오픈픽234259
기타 베이스2340-
드럼매니아183870
GITADORA 난이도 체계
BPM난이도
115기타 표준BASICADVANCEDEXTREME
3.855.956.85
기타 베이스3.705.056.15
드럼매니아3.205.257.60

오노 히데유키, Jimmy Weckl, Doki Doki Dokky의 스카유닛 아열대 마지 SKA폭탄(亜熱帯マジ-SKA爆弾)의 마지막 곡. XG엔 XG3에 이식되었다.

이 유닛의 다른 곡들은 대부분 오노 히데유키 작곡인데 이 곡은 Jimmy Weckl 작곡이다. 작곡자가 작곡자이니만큼 하이햇이 꽤 많이 튀어나온다. 그나마 곡이 느리니 천만 다행이다(...)

BGA는 梅北稔博 담당. 변재천이 금발의 여성으로 나왔고 이 외의 칠복신 6명은 별의별 동물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6.1 곡 코멘트

대장의 곡이 아니라서 미안합니다.
아열대마지-SKA폭탄의 마지막 곡입니다.
일본식과 서양식이 만난 멋지고 이상한 세계관의 유쾌한 클립과 함께 즐겁게 즐겨 주신다면 기쁘겠습니다.
아디오스!!

- Jimmy Weckl
  1. 2차 창작에서는 다른 걸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2. 비틀즈페퍼상사 앨범자켓에 있는 인형이기도 하다. 어디에 있는지는 항목으로 들어가서 찾아보자
  3. 참고로 사진의 석상은 우가진의 상징인 꼬리의 구슬이 없고 웃는 모습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유물들을 보면 불두를 올린 것도 있고, 표정이 굳어있어 상당히 섬뜩한 모습들도 있다.
  4. 대부분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재물을 파손하는 쥐를 잡아먹는 뱀 신앙은 복, 풍요와 관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