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G24(t), G33/40(t), VK, G98/40 |
반자동소총 | G41/43, VG 1-5 |
자동소총 | FG42, MKb 42, MP43, StG44 |
기관단총 | MP18 및 MP18의 파생형, MP38/40/41, EMP44, MP3008, ZK-383, MAB 38, KP/-31 |
권총 | 루거 P08, 발터 P38, 발터 PPK, 마우저 C96, 마우저 M1934, 마우저 HSc, 드라이제 M1907 |
지원화기 | 기관총 | MG07/12, MG08, MG13, MG30, MG26/30(t), MG34, MG35/36, MG37(t), MG42, MG131 |
대전차화기 | PzB 38/39, 졸로투른 S-18,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돌격권총, 흡착지뢰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
박격포 | 8cm 그라나트베르퍼 34,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르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
맨패즈 | 플리거파우스트 |
유탄 | 막대형 수류탄,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시스베허) |
발사기가 장착된 Kar98k. 소음기가 아니다
1 개요
Gewehrgranatengerät (Schießbecher)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했던 총류탄발사기.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총류탄 장치)는 시스베허(발사 컵)로도 불린다.
기존에 사용하던 총류탄발사기들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42년부터 1944년 3월까지 1,450,114정이 생산되었다.
2 상세
소총에 공포탄을 장전한 뒤 발사기 앞부분에 유탄을 집어넣고 발사한다. 다만 유탄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탄이 잘못 흘러내릴지도 모르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7.92mm 구경의 소총들인 Kar98k, FG-42, StG44와 호환된다.
일본의
2식 총류탄발사기가 이것을 카피했다고 한다.
물론 일본군의 무기들이 썩 멀쩡하지 않다는 건 잘 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