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꾸옥응으

(꾸옥응으에서 넘어옴)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중국티베트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타이카다이어족
버마어라후어베트남어크메르어태국어라오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인도네시아어자바어필리핀어테툼어찌아찌아어
관련 문자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자위 문자 · 쯔놈
한자문화권의 문자(漢字文化圈의 文字)
대한민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중국일본베트남
한글한자가나쯔꾸옥응으
정체자간화자신자체히라가나가타카나
오늘날 쓰이지 않는 문자
옛한글구결자측천문자
서하 문자
만요가나
헨타이가나
쯔놈

1 개요

Chữ Quốc Ngữ (𡨸國語)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알파벳. 원래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로는 쯔놈(𡨸喃)이 있었으나 이는 사용하기에 불편했다. 16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적는 첫 시도를 했고 17세기 알렉상드르 드 로드에 의해 쯔꾸옥응으가 고안되었다. 쯔꾸옥응으가 고안된 이후에도 베트남에서는 일단 고유문자인 쯔놈을 사용했으나[1] 프랑스 식민 지배 하에 쯔꾸옥응으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베트남 민족주의자들도 이의 사용을 권장했으며 20세기 들어 기존의 쯔놈을 밀어내고 베트남어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완전히 정착하였다.

2 역사와 현재

그런데 이 보급 과정이 참 드라마틱했다. 식민 초기에는 서양 제국주의 국가에서 들어온 문자라 해서 민족주의자들은 이 문자의 사용을 반대했으나 어차피 쯔놈도 베트남 사람 입장에서는 어차피 베트남과 치고 박고 싸우던 옛 종주국 이웃나라 중국의 글자인 한자가 기원이라 피장파장이었다. 결국 쯔꾸옥응으가 쯔놈보다 사용하기 편하고 문맹 퇴치에 유리하다는 점이 인정되어 민족주의자들도 점차 사용을 권장하게 된 것. 이런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비일비재하다. 덕분에 지금 각종 외국 고유명사에 음차를 하느라 애쓰는 중국어와는 달리 베트남어에서 외국 고유명사는 로마자 표기 그대로 들여오는 편리함이 생겼다. 그래서 한국인, 일본인의 한자 이름은 20세기 이전에 존재한 한국인을 빼곤 베트남어식이 아니라 현지 표기 그대로 가져온다. 예를 들어 홍길동의 경우는 20세기 전(쯔놈을 쓰던 시절)에 나온 것이기 때문에 지금도 "Hồng Cát Đồng"(홍깟동)이라고 한다. 반면 프로게이머 임요환은 20세기 뒤(쯔꾸옥응으 도입 뒤)의 인물이므로 "Lâm Dao Hoán"(럼자오호안)이라 하지 않고 "Lim Yo-Hwan" 한국어 로마자 표기 그대로 쓴다. 일본인은 20세기 이전의 인물도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다. 단 중국인 이름은 대체로 베트남식으로 쓰고 읽는다.

3 목록과 발음

괄호() 안의 문자는 베트남어 표기시에는 사용되지 않는 문자이다. 발음은 북부 발음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문자이름발음문자이름발음
A aaa:N nnờn
Ă ăáaO ooɔ
 âəÔ ôôo
B bɓƠ ơơə:
C ckP pp
D dzQ qquik
Đ đđêɗR rrờz
E eeɛS séts
Ê êêeT tt
(F f)ép-U uuu
G ggiêɣƯ ưưɨ
H hháthV vv
I iii(W w)vê kép,
vê đúp,
đúp liu
-
(J j)gi-
K kcakX xích-xìs
L llờlY yi dàij, i
M mmờm(Z z)giét-

F, J, W, Z 이 4글자는 외래어를 적을 때에 한하여 사용한다. 외래어가 아니더라도 비공식적인 작문에서 이 글자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3.1 예외적 발음

베트남어 알파벳에는 몇 개의 합자가 있다. 아래 설명 역시 북부 발음 기준.

일단 nh은 발음기호는 /ɲ/이라 쓰며 우리말 '냐', '녜' 등의 '니'와 약간 비슷한 발음이다. 로망스어의 gn(프랑스어, 이탈리아어), ñ(스페인어), nh(포르투갈어) 등을 생각하면 쉽다. 어말에 -nh이 오면 /-jŋ/ 발음이 된다.

ng은 우리말에서의 받침 ㅇ의 발음(/ŋ/)이다. 다만, 한국어와는 달리 베트남어에서는 /ŋ/ 발음이 초성에서도 온다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사라진 한자음 어두의 /ŋ/ 발음 역시 베트남어에는 남아 있다.[2] 그래서 베트남에서 가장 흔한 성인 Nguyễn을 한글로 표기할 때 여러 표기가 속출한다.

g는 i, e, ê 앞에선 /z/ 발음이 나며 /ɣi/ 등의 발음을 쓰고 싶으면 ghi, ghe, ghê 이렇게 써야 하며 ng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표기가 나오는 건 베트남어 알파벳이 로망스어군 알파벳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져서 그렇게 된 것.

ch는 경구개음에 속하는 /c/ 발음이 나고, tr는 ch와 같은 발음이 난다. 다만 -ch의 경우 어말에 올 때는 /-jk/ 발음이 난다.

th는 유기음으로 ㄸ가 아니라 ㅌ처럼 발음한다. 반면 ph와 kh는 자칫 ㅍ, ㅋ 발음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ph는 영어 f와 흡사한 발음이고 kh는 IPA로 [x], 즉 중국어 h나 러시아어 x[3], 스페인어 j에 가까운 소리가 난다. 이는 역사적으로는 ㅍ, ㅋ 발음이던 것이 시간을 지나면서 지금처럼 변한 것.

tr은 영어에서와 같이 t 발음과 r 발음을 따로 발음하는 게 아니라, 두 자음을 합쳐서 /c/, 굳이 한국어로 표현하자면 'ㅉ'와 비슷한 발음이 된다. 단, 일부 중남부 화자들은 따로따로 발음해서 '뜨르'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3.2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쯔꾸옥응으 문자들은 다음 코드 포인트들에 배당돼 있다.

U+0123456789ABCDEF
002!"#$%&'()*+,-./
0030123456789:;=>?
004@ABCDEFGHIJKLMNO
005PQRSTUVWXYZ[\]^_
006`abcdefghijklmno
007pqrstuvwxyz{|}~
00CÀÁÂÃÈÉÊÌÍ
00DÒÓÔÕÙÚÝ
00Eàáâãèéêìí
00Fòóôõùúý
010Ăă
011Đđ
012Ĩĩ
016Ũũ
01AƠơƯ
01Bư
1EA
1EBế
1EC
1ED
1EE
1EF
  1. 이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도 마찬가지이다.
  2. 광동어 등 일부 중국어 방언에는 남아있다.
  3. 러시아어도 라틴 문자 전사 시 x를 kh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