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 중국 근현대사 프로젝트

이 문서는 우만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우만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의 내용을 꼭 숙지해 주세요.

1 프로젝트 목적

청말~현대에 이르는 중국 근현대사 분야를 보완하기 위한 프로젝트

2 참가자 서명

3 작성이 필요한 문서

3.1 인물

3.1.1 청말~북양정부

3.1.2 국민혁명~국공내전

3.1.3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3.2 사건

3.2.1 청말~북양정부

3.2.2 국민혁명~국공내전

3.2.3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3.3 단체

4 보완이 필요한 문서

4.1 전반적 보완이 필요한 문서

4.2 부분적 보완이 필요한 문서

5 프로젝트 성과

  • 전에 역사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술됐던 것도 기재한다.

5.1 프로젝트 이후 작성된 문서

5.1.1 완료된 문서

5.1.1.1 인물
5.1.1.2 사건

5.1.2 작성 중인 문서

5.2 프로젝트 이후 보완된 문서

6 참고문헌

6.1 저서

  • 장제스 평전, 조너선 펜비, 민음사
  • 중일전쟁, 권성욱, 미지북스[13]
  • 일본 근현대사 시리즈, 어문학사.
  •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야마무로 신이치, 소명출판.
  • 쇼와사 1,2권, 한도 가즈토시, 루비박스.
  • 쇼와육군, 호사카 마사야스, 글항아리.
  •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산헉정, 노기식 등 저, 소명출판.
  • 중화민국과 공산혁명, 신승하, 대명출판사.
  • 학문의 제국주의, 폴 코헨, 순천대학교출판사.
  • 중국의 붉은 별, 에드거 스노, 두레.
  • 덩샤오핑 평전, 벤자민 양,
  • 웨드마이어 회고록과 논평, 이종학, 충남대학교.
  • 중국의 당과 국가, 니시무라 시게오, 고구분 료헤이, 한울 아카데미
  • 중국혁명사, 서진영, 한울아카데미.
  • 모택동 vs 장개석, 이건일, 도서출판 삼화.
  • 군신정권, 진지양, 고려원.
  • 중국현대정치사론, 장옥법, 고려원.
  • 중국소비에트운동사, 뢰트바이트, 고려원.
  • 장개석은 왜 패하였는가, 로이드 이스트만, 지식산업사.
  • 일본의 전통과 군사사상, 하정열, 팔복원.
  • 일본 군사사, 후지와라 아키라, 제이원씨.
  • 해방의 비극, 프랑크 디쾨터, 열린책들.
  • 중국 혁명의 비극, 해럴드 로버트 아이작,
  • 중국공산당역사 1권 상하,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서교출판사.
  • 중국근현대사 시리즈, 삼천리.
  • 다큐멘터리 중국현대사, 서문당 편집실.
  • 아편전쟁에서 5.4운동까지, 호승, 인간사랑.
  • 마오쩌둥 평전, 로스 테릴, 이룸.
  • 장칭, 로스 테릴, 교양인.
  • 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 오쿠무라 사토시, 조합공동체소나무.
  • 신해혁명사, 민두기, 민음사.
  • 대만현대정치사 상,하권, 장정구, 오희련, 지영사.
  • 중국국민혁명운동의 구조분석, 민두기, 지식산업사.
  • 만주사변기의 중일 외교사, 유신순, 고려원.
  • 중일전쟁과 아편, 박강, 지식산업사.
  • 왕징웨이 연구, 배경한, 일조각.
  • 중국지 상하, 현이섭, 인카운터.
  • 장제스 일기를 읽다, 레이 황, 푸른역사.
  • 히로히토, 에드워드 베르, 을유문화사.
  • 히로히토 평전, 허버트 빅스, 삼인.
  • 자금성의 황혼, 레지널드 존스턴, 돌배게.
  •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 기세찬, 경인문화사.
  • 모택동의 사생활 1~3권, 리즈수이, 고려원.
  • 1945 중국, 미국의 치명적 선택, 리처드 번스타인

6.2 논문

  • 1928년 장학량 정권의 동북역치, 송한용, 전남대.
  • 광주국민정부의 북벌과 장개석의 대응, 김영신, 원광대학교
  • 9.18 사변 전후의 정국과 남경정부의 대응, 김영신, 원광대학교
  • 중일전쟁 전후 대일 협력자 왕정위집단의 형성(1928~1938), 박상수, 고려대학교
  • 훈정시기약법제정 논란과 장호합작의 파국, 김영신, 원광대학교.
  • 광주국민정부의 북벌과 장개석의 대응, 김영신, 원광대학교.
  • 탕산사건 후의 정국과 장개석의 대응, 김영신, 류지영, 원광대학교.
  • 탕산사건 후의 정국과 반장파의 동태, 김영신, 원광대학교.
  • 당생지와 무한국민정부, 나현수, 중국근현대사학회, 강원대학교
  • 호남군벌정부의 붕괴와 변모: 당생지의 집권과정을 중심으로(1923~1926), 김세호, 중국근현대사학회, 한남대학교
  • 호남 군벌정권의 재편:북벌시기(1926~1927) 당생지 정권의 정치적 성격, 김세호, 동양사학회, 한남대학교
  • 하향응의 정치활동과 사회인식, 김문희, 부산대학교.
  • 하향응의 사회인식과 중국여성운동에 관한 연구, 이상숙, 부산외국어대학교.
  • 일본유학시기 하향응(何香凝)의 반청사상과 활동, 윤미영, 동아시아일본학회.
  • 하향응(何香凝)의 사회인식 형성과 그 활동 -신해혁명기(辛亥革命期)까지를 중심으로, 김문희, 신라대학교.
  • 송경령과 하향응 : 손문유지(孫文遺志)의 계승과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이양자, 중국사학회.
  • 사료를 이용한 인물학습 : 하향응을 중심으로, 김문희, 한국기록관리학회.
  • 염석산 정권 전기의 권력집중과 정치개혁, 강명희, 서울대학교.
  • 염석산 정권 시기 금융통화의 개혁과 통제, 강명희, 한세대학교.
  • 1930년대 산서성 토지촌공유제의 배경과 성격, 김지환, 인천대학교.
  • 중국 군벌의 성쇠와 초기 국민정부에 미친 영향, 오수열, 조선대학교.
  • 곽송령의 반봉사건, 송한용, 전남대학교.
  • 남경정부 시기 국가주도하 국민경제 건설, 강명희, 한세대학교 - 장제스 경제정책 관련.
  • 1930년대 농촌위기와 남경국민정부의 농업정책, 아주대학교 - 장제스 농업정책 관련.
  • 1920~30년대 난징 국민정부의 농촌정책:장쑤 성을 중심으로, 박정현, 고려대학교 - 장제스 농업정책 관련.
  1. 중일전쟁 이후에 시행된 신생활운동은 기존의 신생활운동과는 성격을 달리 했으나 어쨌든 명목상 같긴 함으로 이렇게 기재한다.
  2. 궈쑹링 휘하의 외교부장 잉루겅이 일본군을 등에 엎고 벌인 반란.
  3. 현 카이로 선언 문서의 리다이렉트와 별개로 회담 과정 자체를 다룬 문서를 작성할 예정이다.
  4. 배경 부분은 어느 정도 정리되었으나 과정 부분이 상당히 부실하여 수정이 필요.
  5. 북벌 시기 4년간의 행적이 부실하여 차후 보완 예정.
  6. 반장전쟁 관련 부분이 부실하여 차후 보완 예정.
  7. 대대적 보충 예정.
  8. 대대적 보충 예정.
  9. 대략적인 것은 완성했으나 추후에 구체적인 협상 과정을 보충할 예정이다.
  10. 타 자료를 참고하여 보완 예정.
  11. 2016년 10월에 과정 부분을 대거 보충했고 이후 논문 자료를 바탕으로 추가로 보충할 계획이다.
  12. 여전히 과정, 전후 처리, 배경 등에 있어 대대적인 수정, 보충이 필요한 상태이다.
  13. 프로젝트 초반의 성과들이 위의 두 서적을 중심으로 시작된 바가 있기에 위의 책들에 대한 편중이 심한 편이어서 새로운 사료들을 확보하여 보충하는 작업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