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소울 3/지역

다크 소울 3 지역 목록
재의 묘소불의 계승의 제사장로스릭의 높은 벽불사자의 거리산 제물의 길
깊은 곳의 성당팔란의 성채카사스의 지하 묘그을린 호수차가운 골짜기의
이루실
아노르 론도이루실의 지하감옥죄의 도시로스릭성대서고
요왕의 정원무연고 묘지고룡의 꼭대기
????
다크 소울 3 DLC 지역 목록
아리안델 회화세계퇴적지고리의 도시
width=100%

출처 현재 삭제됨

1 개요

프롬 소프트웨어의 액션 RPG 게임 다크 소울 3의 지역을 정리하는 문서.

맵의 갯수가 전작에 비해 줄은 대신, 각 맵의 스케일감이 훨씬 방대해졌으며, 한 맵 내에서의 숏컷이 더 많아지게 되었다. 전체적인 맵 구성의 경우 다크 소울이나 다크 소울 2처럼 거점을 중심으로 스테이지들이 연결되는 구성이 아닌, 데몬즈 소울이나 블러드본처럼 거점이 따로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취했다. 제사장에서 다양한 이동의 선택지를 주었던 1과 달리 기본적으로 일자 진행이고, 갈림길은 많아야 두 가지로 적지만 맵 자체는 서로 지역이 겹치는 부분 없이 1편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 하나의 스케일을 키우고 그 스테이지 안에서는 복잡한 레벨이 설계되었다. 단순히 입구, 출구를 찾는것 뿐만 아니라 동선 자체가 미로처럼 꼬여있어 탐험 요소도 전작에 비해 대폭 늘어났으며, 숨겨진 지역이 두 군데나 되어 탐험의 즐거움도 상당히 큰 편. 특정 조건을 달성할 경우 주인공이 다른 지역으로 소환되어 이동하는 구간도 존재한다.

그 외에 사소한 점이지만 한국어판에서 지역 타이틀의 글꼴이 나눔 명조로 변경되었다.

2 배경 및 위치

1편을 플레이한 유저라면 게임 내내 느끼겠지만 이곳은 1편과 동일한 배경의 지역이 많다. 시작 부분에서 로스릭은 장작의 왕들의 고향이 흘러들어 오는 땅이라 했고, 그레이랫의 발언 중 불사자의 거리가 "어느 왕의 고향도 아니고 원래 여기 있던 곳"이라는 이야기가 있는걸로 보아, 일종의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듯 하다.[1]

높은 벽 주변을 제외한 배경은 눈 덮인 산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불꽃이 사라져가는 세상의 변화로 보인다.

과거 아노르 론도센의 고성 사이에 서 있던 높은 벽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아 두 지역이 분리된 지역이 아니게 되었다. 그 증거로 과거 검은 숲의 정원이었던 지역에서 카사스의 지하 묘를 통과하면 아노르 론도가 있는 이루실로 나오는데, 아노르 론도에서 바라봤을 때 카사스의 지하 묘는 그저 작은 언덕 아래 존재하고 벽이라고 부를 만한 지형은 로스릭의 높은 벽 밖에 없다. 그런데 이전에는 숲의 정원과 아노르 론도 사이에 벽이 존재했으므로 로스릭의 높은 벽은 새롭게 생긴 지형이다.

아노르 론도에서 바라보았을 때 바로 아래 지역에 이루실이 있고 그 밑에 죄의 도시가 있다. 이루실 입구에서 카사스의 지하 묘 방향으로 높은 벽이 아닌 평범한 언덕이 있으며 언덕 위에 팔란의 성채가 보인다. 또 그 왼쪽으로 지대가 좀 더 높아지는데 깊은 곳의 성당이 보인다. 그 뒷배경으로 로스릭의 높은 벽이 있고 그 끝에 로스릭성이 있다.

즉 로스릭성과 아노르 론도 사이에 다른 모든 지역이 존재하며, 제사장은 높은 벽의 반대편에, 고룡의 꼭대기는 이루실의 지하감옥 맞은편의 고지대에 있다. 다음은 로스릭의 높은 벽에서 볼드를 잡은 후 볼 수 있는 광경이다. 여담으로, 우측 윗 부분에 또다른 도시가 있는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장소는 다크 소울 3에서 드러나지 않은 지역이지만, 치트엔진을 돌리는 외국 유저들에 의해 그 비밀이 밝혀졌다. 다름 아닌 불사자의 거리 지역을 그대로 복사한 맵인 것. 텍스쳐가 조금 다를 뿐 메쉬 자체는 완전히 동일하다. 단지 배경용 맵인지 DLC 떡밥인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나 양덕들은 배경용 맵일 뿐이라 생각 중이다.

이하는 차가운 골짜기의 볼드를 잡고 나서 보이는 광경으로, 위 월드맵과 비교해 보면 실제 풍경과 지도가 거의 맞아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편에서는 지역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게 아니라서 배경과 실제 축척이 전혀 맞지 않았고, 심지어 맵들이 서로 겹쳐버리는 지역들도 많았던데다가,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는 어이없는 지형[2] 때문에 많이 까였으나 본작의 맵디자인은 화톳불이 너무 많다는 점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호평받고 있다.

파일:다크 소울 3 절벽 뷰.jpg

2.1 산 제물의 길, 팔란의 성채

검은 숲의 정원이었던 지역으로 보인다. 특유의 울창한 숲, 거미 장비와 버섯 시체가 있다. 또 전작 처럼 연결된 다른 지역에 비해 지대가 낮은 것도 확인 할 수 있다. 팔란의 불사대는 아르토리우스를 계승한다는 점에서 그의 묘비 근처에 성채를 지은 것으로 보이며 혹은 다크 소울 1 DLC에서 검은 숲의 정원은 과거 우라실의 입구인 우라실의 정원으로 밝혀졌는데 이 우라실의 지하에는 심연의 주인이 기거했으며 이 심연을 막기 위해 옛 우라실의 입구인 검은 숲에 성채를 지은 것으로도 보인다.

2.2 카사스의 지하 묘

맵 디자인 자체는 1의 거인의 묘지를 연상케 하지만 지리적으론 전혀 관계 없는 새로운 지역이다. 팔란의 성채 아래있으며 위치로는 성채가 있는 언덕 아래있다. 언덕 아래는 이루실로 통하는 길이 있다. 아래로 향할 경우 그을린 호수, 데몬의 유적이 나타난다.

2.3 그을린 호수, 데몬의 유적

그을린 호수는 1편의 잿빛 호수, 데몬의 유적은 데몬 유적이다. 데몬의 노왕의 설명을 보면 이자리스 시대에 혼돈의 불꽃에서 태어난 데몬으로 3편 시점에서 몇 남지 않은 데몬의 생존자다. 데몬의 유적을 진행하면 수많은 데몬의 시체와 전전작의 동그랗고 작은 석상 괴물을 만날 수 있다. 또 더 진행하면 아래쪽이 용암으로 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다행히 2편처럼 용암지대가 하늘 위에 있지는 않다

여담으로 용암이 있는 장소로 들어가기 전 쿠라나의 주술서를 획득할 수 있는데, 발견되는 장소에 혼돈의 딸로 보이는 거대한 거미의 시체가 하얀 재가 된 채 죽어있고, 그 앞에 이자리스의 쿠라나로 보이는 사람의 시체가 데몬의 시체에 기대고 있다. 아마 1편 이후에 쿠라나와 만나 생을 함께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이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바로 옆의 용암 지대에서 구할 수 있는 탈리스만은 바로 혼돈의 딸의 머리카락이다.

2.4 차가운 골짜기의 이루실

패왕 워닐을 격파하고 일직선으로 나오면 차가운 골짜기의 이루실에 도착한다. 이루실 초입부에서 왼쪽 위를 보면 구름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가려놨으나 아노르 론도의 폐성당이 보인다. 아노르 론도의 성당에서도 바로 아래 지역에 이루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편의 아노르 론도에서 바로 아래쪽 마을과 같은 위치. 다만 건물 양식이 다른 것으로 보아 기존의 마을은 망하고 새로 건축된 것으로 보인다.

골짜기라는 지명에서도 알 수 있고, 또 팔란의 성채카사스의 지하 묘의 위치를 생각하면 팔란의 성채와 비슷하거나 좀 더 낮은 높이일 것이다. 또 위로 많이 올라가야 아노르 론도에 도착 가능한 것을 보면 확실히 저지대이다.

이루실이 2편의 엘리움 로이스 지역이 아니냐는 일부 프롬뇌들의 의견이 있다. 하지만 이루실은 바로 위에 아노르 론도가 있고 다른 지역들을 통해 확실히 로드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엘리움 로이스는 혼돈의 화염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또 엘리움 로이스가 로드란이라면 아노르 론도가 없는 것이 모순된다. 엘드리치 이전까지 멀쩡한 아노르 론도에는 신들이 잘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로스릭에는 로드란의 흔적이 많이 남았지만 엘리움 로이스는 성 밖엔 광활한 평야만 있을뿐 로드란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다.

이런 추측은 법왕 설리번의 소울로 만들 수 있는 죄의 대검에서 설리번이 죄의 도시 아래의 불꽃을 보고 자신의 야망이 타올랐다는 설정을 근거로 하는데 3에서 말하는 죄의 불꽃은 지리 상[3] 로드란 지하의 이자리스 지역을 말하는 것이 확실해 보이지만, 엘리움 로이스는 지하의 혼돈의 불꽃을 막기 위해 그 위에 성을 지었다고만 하고 1편의 이자리스 지역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혼돈의 불꽃이 있다는 것 뿐이다. 로드란 지하의 이자리스에서 시작된 혼돈의 불꽃이 시간이 지나면서 넓은 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그 중 그 불꽃이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 지역이 엘리움 로이스라 가정한다면 이루실과 엘리움 로이스, 혼돈의 불꽃에 대한 모순은 정리된다.

3 본편 지역 목록

3.1 재의 묘소

재의 묘소
Cemetery of Ash

항목 참조.

3.2 불의 계승의 제사장

불의 계승의 제사장
Firelink Shrine

항목 참조.

3.3 로스릭의 높은 벽

로스릭의 높은 벽
High Wall of Lothric

항목 참조.

3.4 불사자의 거리

불사자의 거리
Undead Settlement

항목 참조.

3.5 산 제물의 길

산 제물의 길
Road of Sacrifices

항목 참조.

3.6 깊은 곳의 성당

깊은 곳의 성당
Cathedral of the Deep

항목 참조.

3.7 팔란의 성채

팔란의 성채
Farron keep

항목 참조.

3.8 카사스의 지하 묘

카사스의 지하 묘
Catacombs of Carthus

항목 참조.

3.9 그을린 호수

그을린 호수
Smouldering Lake

항목 참조.

3.10 차가운 골짜기의 이루실

차가운 골짜기의 이루실
Irithyll of the Boreal Valley

항목 참조.

3.11 이루실의 지하감옥

이루실의 지하감옥
Irithyll Dungeon

항목 참조

3.12 죄의 도시

죄의 도시
Profaned Capital

항목 참조

3.13 아노르 론도

아노르 론도
Anor Londo

항목 참조.

3.14 로스릭성

로스릭성
Lothric Castle

항목 참조.

3.15 대서고

대서고
Grand Archives

항목 참조.

3.16 요왕의 정원

요왕의 정원
Consumed King's Garden

항목 참조.

3.17 무연고 묘지

무연고 묘지
Untended Graves

항목 참조.

3.18 고룡의 꼭대기

고룡의 꼭대기
Archdragon Peak

항목 참조.

3.19 태초의 화로

태초의 화로
Kiln of the First Flame

다크 소울 3의 최종 지역. 장작의 왕을 다 처치한 뒤 불의 계승의 제사장의 왕좌에 왕의 장작을 돌려놓은 후, 화톳불과 상호작용 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모든 NPC들이 사라지고 무너져 내린 상태로 변한 불이 꺼진 제사장으로 순간이동되고, 바깥으로 나가면 본래의 길은 없고 근처의 또다른 화톳불에서 화로 지역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모든 장소가 잿빛으로 덮혀있으며, 본래 일식 상태로 변한 태양이 보이는 등[4] 상당히 웅장한 분위기를 자랑하는 지역이다. 다만 이 지역부터 노을인 상태를 지나 밤이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보아 일식 상태로 변한 태양도 곧 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주변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모든 지역들이 뒤죽박죽 뒤섞여 난장판이 되어있다. 오프닝 시네마틱에서 말했듯, 3편의 배경은 왕들의 고향이 흘러드는 곳이라는 걸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셈. 또한 1편과는 달리 몹이 전혀 없다.

이 지역에서 최종보스인 ????을 만날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지역을 통해 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제사장이 재의 묘소의 불의 계승의 제사장, 무연고 묘지의 어둠의 계승의 제사장과 최초의 화로의 불이 꺼진 제사장으로 총 3개라는걸 알 수 있다. 불이 꺼진 제사장이 불의 계승의 제사장이 변한 모습인지는 아직 불명이다.

4 DLC 지역 목록

4.1 아리안델 회화세계

10월 25일 추가된 DLC 지역

깊은 곳의 성당 지역에서 정화의 작은 성당으로 이동하면 왠 노예기사가 엎드려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입장할 수 있다.

이동하자마자 뒤쪽을 보면 까마귀 인간이 있는데 대화를 하면 여러모로 다크 소울1의 회화세계가 떠오르는 말을 한다. 차갑고 상냥한 회화세계, 아리안델

팔란의 세력과 정신나간 대궁과 지진을 일으키는 대형 도끼 등을 쓰는 밀우드 전사, 쪽수로 밀어붙이는 늑대, 불과 냉기공격을하는 여성의 모양을 한 나무, 구더기를 뿌려대는 파리에 썩어가는 까마귀 인간과 그걸 사냥하는 까마귀 인간들이 반겨주는 아주 따뜻한 지역이다. 밀우드 전사와 까마귀 인간들은 매혹 주술이 가능하니 주술사라면 편하게 잡을 수 있다.

초반부에는 유귀무리 -> 늑대+서리나무 -> 밀우드+늑대 순으로 진행이되는데
유귀무리를 뚫고 얼음이끼가 있는 시체에 다가가면 눈이 부서지면서 2번 지역으로 간다. 좌측에는 소수의 늑대와 다수의 서리나무가 있으며 정면에는 수많은 늑대무리가 있다. 괜히 늑대무리를 쑤셔대면 좋은 일은 없음으로 왼쪽지역부터 가는 것을 추천하는데 이 서리나무는 머릿결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으로 구별이 가능하고 동결을 사용하는 종와 화염을 사용하는 종있는데 화염을 사용하는 종은 가지에 불꽃이 피어있고 동결은 가지에 불꽃이 없다. 이로 구분이 가능하며 설원의 몹답게 화염에 매우 약하다. 두 종류 다 발사체에 추적기능이 있으니 주의할것. 생각보다 추적을 잘해온다. 전부 무시하고 직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긴 한데 길목에 주문(차가운 무기)이 1개 떨어져있다.
왼쪽길을 따라 쭉 진행하면 화톳불이 나오니 정비를하고 다시 들리도록하자.

늑대는 어그로가 끌리면 2중 1마리는 플레이어를 쫒아오고 1마리는 다른 늑대무리를 부른다. 공격성이 강하며 2:1이 순식간에 10:1이 될 수 가 있으니 어그로를 끌었다면 빨리 처리하도록하자. 하울링하는 늑대가 최우선이다.

정면으로 진행하면 거대한 늑대가 등장하는데 데미지가 상당한데다 늑대무리를 거느리고 주변에 자고있던 늑대무리를 모두 깨우니 자칫하면 화톳불 사출당한다. 이 늑대의 피를 50%정도 빼면 늑대가 쇄기석을 떨구며 도망간다.

정면의 길을따라 쭉~ 진행하면 밀우드무리가 있는 탑으로 진행이되는데 밀우드다수에게 어그로 끌리는 것은 영 좋은 일이 아님으로 어그로가 끌렸다면 도망가면서 하나씩 떼어놓도록하자. 첫번째 밀우드를 처치하고 진행하면 좌측 부서진 벽 쪽에 서리나무가 플레이어를 기다리고있으니 주의. 각 벽마다 늑대+밀우드, 밀우드가 숨어있기에 조심히 전진해야하며 저 멀리서는 밀우드 2마리가 대궁을 쏴댄다. 여러모로 짜증이 많이 나는 지역.

밀우드의 탑까지 무사히 도착했다면 좌측에 길이 보이는데 일단 올라가지 말것. 탑의 밀우드를 모두 정리하고 이 길을 따라가면 늑대무리가 있고 여기서 거대한 늑대가 등장한다. 이 늑대가 등장했다면 재빨리 밀우드의 탑으로 들어갈 것. 덩티가 커서 탑에 못들어오고 작은 늑대만 1,2마리식 들어온다. 여기서 작은 늑대를 모두 처리하고 문에 끼여있는 큰 늑대를 원거리무기로 처리하자.


아무 것도 모르고 진행할 시, 마지막 보스까지 가고도 첫번째 보스인 왕의 묘지기를 못 찾는 사람이 몇몇 있는데, 진행하다가 인기척이 없는 교회로 가는 길에 어디서 많이 본 듯한 다리가 있을 것이다. 교회쪽으로 건너가서 다리를 공격하면 카사스의 지하묘처럼 밑으로 내려가는 사다리가 된다.

대궁이 날라오는 좁아터진 나무뿌리에서 안 떨어지게 잘 조심히 요령껏 내려와야한다. 대궁의 2차 폭발로 낙사할 수 있으니 조심히 내려오도록 하자.
불을 뿜는 유귀가 있는 곳. 나무뿌리 중간부분 까지 왔다면 아랫쪽과 바로 윗쪽에서 화살이 날아오는데 윗쪽의 밀우드는 파리스의 궁으로 헤드샷 몇번 맞춰주면 플레이어가 있는 나무뿌리 중간지점으로 떨어진다. 달려가서 잡아주도록하자.
아랫쪽의 밀우드는 멀리서 활 저격질 승부를 하거나 어느정도 활을 쏘고나면 활 집어넣고 망치나 도끼들고 플레이어를 기다리고있는 경우가 있다. 일정 거리에 들어가기 전까지 밀우드가 달려오는 경우는 잘 없음으로 멀리서 활로 처리하고 가자.

바닥까지 다 내려왔으면 근처에 화톳불이 있고 대형 게 1마리가 보이는데, 무턱대고 접근하다간 바닥에 숨어있던 게 1마리가 더 튀어나오므로 원거리무기로 폴링하면서 처치하자. 만일 화톳불에 앉았다면 꽃게잡는 도중 뒤에서 밀우드가 활을 쏴댄다. 반대쪽 방향으로 가면 첫번째 보스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순간동결을 먹은 후 뒤를 돌아보면 없던 사다리가 생겨나 있는데 이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면 원반을 준다. 이 사다리는 배경음으로 여자가 슬퍼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후 뒤를 돌아보면 사다리가 생겨나있다. 참고로 순간동결 마술을 지키고있는 나무는 다른 나무와는 달리 커다란 가지를 마구 휘두르고 기면서 움직일 수도 있는 몹시 사나운 몹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지막 보스로 가는 길은 교회로 가는 길인 다리를 건너기 전에 왼쪽 지역을 잘 살펴보면 사다리가 있다. 그걸 통해서 내려가면 까마귀 인간 마을로 향하게 된다. 다 죽어가는 썩어 문드러진 울부짖는 소리가 매우 반가워하는듯한 까마귀 인간들과 클로를 낀 까마귀 인간에 혼자 어쌔신크리드 찍는 까마귀 인간들이 반겨주는 곳이다. 까마귀 마을 내부 부엌으로 보이는 곳에 까마귀 인간이 있는데 npc이므로 죽이지 말도록 하자. 마지막 보스까지 잡고 다시 이야기를 걸면 쐐기석 원반을 주는 매우 착한 npc다.
직후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일반 까마귀 인간들은 평소엔 플레이어를 신경쓰지 않지만, 클로와 칼을 들은 까마귀가 사냥을 시작하거나 유저가 공격하면 겁먹으면서 물러서기 시작한다. 이 때 근접하면 콕콕 쪼아댄다. 그리고 지붕위에 있는 까마귀 인간들은 마술(손화살, 유도소울덩어리)을 날려대므로 주의.
여길 잘 통과하였다면 밀우드 전사와 팔란 세력들과 늑대들이 죽치고 있는 언덕을 지나야한다. 도중에 아이템이 많이 보이는 밑바닥 공터가 있는데 거기서 대형 도끼로 지진을 일으키는 밀우드 전사를 주의하자.

그 언덕을 잘 통과하였다면 파리가 우글거리는 지하로 들어오게 되는데 들어오자마자 정면기준으로 왼쪽 끝부분을 보면 벽을 바라보고 멍 때리는 파리가 보인다. 바라보는 벽은 환영이고 파리의 산란장으로 보이는 공터로 내려가는 길이다. 그곳으로 진입했을때 12시 방향쪽에는 레바가 있는데 그건 마지막 보스로 향하는 문을 여는 장치고, 2시 방향 벽을 보면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역시 환영이다. 그곳으로 진행하면 크리스탈 도마뱀을 잡을 수 있고 나무 뿌리를 잘 타고 내려가면 첫번째 보스가 나온 맵에서 보인 건물의 위쪽으로 가게 되는데 거기서 미친 암령이 소환된다. 드랍으로 주술을 얻을 수 있다.

  1. 실제로 최종 지역에서는 로스릭성을 비롯한 지형이 지각째로 수직으로 서있는 초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2. 흙의 탑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위로 올라갔더니 녹아내린 철성이 나온다던가, 하이데의 큰 불 탑에서 바다 밑으로 내려갔더니 바다 속에 숨겨진 항구가 있다던가
  3. 맵뷰어로 보았을 때 죄의 도시에서 이루실 쪽으로 대각선 아래에 그을린 호수가 있고 그 아래 혼돈의 못자리가 있다. 즉 죄의 도시 아래있는 혼돈의 불꽃이란 혼돈의 못자리의 불꽃을 뜻한다. 또 그을린 호수와 데몬 유적 지역을 통해 이곳이 1편의 로드란과 동일 지역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4. 마치 다크링처럼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