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퍼즈/소모품

온라인 액션 AOS 게임 사이퍼즈의 소모 아이템 목록.

사이퍼즈의 소모 아이템에는 '회복킷', '가속킷', '공격킷', '방어킷', '특수킷'이 존재하며 가속킷, 공격킷, 방어킷은 10레벨부터, 특수킷은 평타 강화, 임팩트, 탐지류 장비, 하드스킨은 10레벨, 맥시머, 통신기는 20레벨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각 소모품은 자신이 모은 일정량의 코인을 소모하는 것으로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레어 도핑킷의 리스폰 시간 10% 증가와 언커먼 도핑킷의 리스폰 시간 10% 감소는 같은 효과의 경우 중첩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레어 도핑킷 4개를 전부 사용하고 죽어도 증가시간은 10%만 적용된다. 또한 리스폰 증가 효과와 리스폰 감소 효과가 함께 적용되면 상쇄되는 게 아니고 먼저 쓰는 게 적용된다.

가속킷의 스피드, 공격킷의 라이언과 크리민, 방어킷의 닷지와 터틀, 스테민은 전용 소모품으로, 각 캐릭터들은 저 아이템 중 하나만을 가진다.

소모아이템들의 경우 언커먼 이상의 아이템들은 모두 시즌 1:Eclipse의 아이템군에 속한다.

목차

1 회복킷

다른 게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체력 포션. 버거류와 콜라류로 나뉘는데 버거류는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복하지만 총 회복량이 적고, 콜라류는 회복 속도는 버거류보다 훨씬 느리지만 총 회복량은 버거류보다 더 많다. 일단 효율성은 콜라가 한 수 위. 버거는 대개 공트리를 타서 물리자마자 빠르게 회복하면 높은 확률로 생존이 가능한 캐릭터들이(트리비아, 클레어 등) 쓴다.

대체로 캐릭터마다 자체적으로 쓰이는 접두어들이 존재한다.
다른 소모품에도 같이 쓰이며,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이름들은 개별로 해당 항목에서 추가로 작성한다.

로라스 - 드래곤
휴톤 - 아이리쉬
루이스 - 아이스
타라 - 플레어[1]
트리비아 - 배트
카인 - 저지먼트
레나 - 기어
드렉슬러 - 가디언
도일 - 해머
토마스 - 프로스트
나이오비 - 블레이즈
시바 포 - 데블
웨슬리 - 커맨더
스텔라 - 레버
앨리셔 - 엔젤
클레어 - 빛
다이무스 - 질풍[2]
이글 - 스네이크
마를렌 - 물방울[3]
샬럿 - 워터
레이튼 - 펄스
윌라드 - 라이트닝
미쉘 & & 피터 - 염동[4]
카를로스 - 윈드
빅터 - 거스트
호타루 - 둔갑
트릭시 - 시니컬
히카르도 - 인섹트
까미유 - 메디슨
자네트 - 로즈
레베카 - 아이언
아이작 - 블랙
엘리 - 폭죽
브루스 - 야수
마틴 - 마인드
미아 - 우드
제레온 - 로열
드니스 - 플라워
루시 - 댄싱
하랑 - 영력
티엔 - 비룡,승천룡
J - 퍼니시
벨져 - 프라우드
스톰쉐도우 - 마스터
리첼 - 뮤지션
리사 - 아리아
- 타키온
제키엘 - 파나틱
탄야 - 포이즌
캐럴 - 스노우
라이샌더 - 크라운
루드빅 - 브라이트
멜빈 - 메카닉

1.1 체력 회복 킷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6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회복킷. 쿨타임과 지속시간이 같은 콜라류의 회복킷으로 한타 시작 전에 마셔두면 맞으면서도 서서히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참고로 패치 이전엔 첼시 워터 라는 고유한 명칭이 있었다.[5]

1.2 첼시 탄산 워터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7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달러샵에서 기본적으로 파는 커먼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1만큼 더 높으며 모든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다.

1.3 첼시 콜라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7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1만큼 더 높으며 모든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다.

1.4 체스터 콜라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9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3만큼 더 높으며 캐릭터 전용 아이템으로 취급되어 각각 자신에게 맞는 콜라만 사용할 수 있다.

1.5 첼시 와일드 콜라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9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3만큼 더 높으며 모든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다.

1.6 BC 스파클링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9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홍차는 빨리 마셔야 제맛!

밀리언아서와의 콜라보 이벤트로 얻을 수 있었던 회복킷. 스파클링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전 캐릭터 공용이며, 레어 등급이지만 어째 첼시 콜라 MAX보다 성능이 좋지 않다.

1.7 첼시 콜라 MAX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50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4만큼 더 높으며 모든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다.마성의 콜라

1.8 스파클링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8
휠업스킬 능력치 상승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회복킷. 기본 회복킷보다 회복량이 2만큼 더 높으며 캐릭터 전용 아이템으로 취급되어 각각 자신에게 맞는 스파클링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릭마다 고유한 스파클링 이름이 붙어있다. (예:드래곤 스파클링)

캐릭별로 휠업스킬로 올라가는 능력치를 상승시키는데, 원본 휠업보다 상승폭은 낮지만 체력상승과 동시에 다른 능력치를 올려준다는게 장점. 와일드콜라보다 회복량이 낮다지만 그래봤자 2차이다(...). 캐릭별로 휠업이 천차만별인만큼 스파클링도 상승능력치가 다 다른데 이덕에 휴톤, 도일처럼 눈에 불을 켜고 득템해야하는 캐릭들이 있는 반면(방어력 상승) 바람쟁이들처럼 있으나마나한 경우도 있다.(이동속도 6 상승) 또한 레어면서도 커먼 전용킷보다도 회복량이 낮다.

옵션은 각 캐릭터 항목을 참조.

1.9 첼시 버거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220 (총 660)
3초 지속
쿨타임 25초

달러샵에서 파는 버거이다. 회복량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점이 흠이지만 꼭 버거를 껴야 하는 캐릭터라면 한번쯤 써볼만하다.

1.10 첼시 치즈 버거

초당 체력 회복 +227 (총 681)
3초 지속
쿨타임 25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회복킷. 첼시 치즈 버거는 공용아이템으로 모든 캐릭터들이 사용 가능하다.

1.11 첼시 더블 버거

초당 체력 회복 +234 (총 702)
3초 지속
쿨타임 25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회복킷. 첼시 더블 버거는 공용아이템으로 모든 캐릭터들이 사용 가능하다.

1.12 체스터 버거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242 (총 726)
3초 지속
쿨타임 25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회복킷. 체스터 버거는 전용아이템으로 각각 맞는 캐릭터만 착용 가능하다.

1.13 눈꽃 케이크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242 (총 726)
3초 지속
쿨타임 25초

크리스마스 이벤트로 얻을 수 있었던 버거.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

1.14 칠면조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242 (총 726)
3초 지속
쿨타임 25초

오 나의 쉐프님 코스튬 구매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이벤트 소모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성능은 체스터 버거와 동일 하며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소모킷.

1.15 체스터 더블버거

비용 100Coin

초당 체력 회복 +424, +212, +106(총 742)
3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회복킷. 체스터 더블버거는 전용아이템으로 각각 맞는 캐릭터만 착용 가능하다.

회복되는 3번동안 각각 424(4배), 212(2배), 106(1배) 순으로 회복된다. 회복 총량도 버거류중에선 가장 많은데다 버거 사용캐릭 특성상 적은 피통을 가지고 순삭되기 전에 빠르게 회복해야하는데 처음 1초에 회복치가 몰려있다는건 대단한 장점.

2 가속킷

2.1 이동 속도 킷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73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가속킷. 이동속도를 상승시켜준다. 패치 이전 이름은 패스트러너.

2.2 패스트 러너Ⅱ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 7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달러샵에서 판매하며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가속킷. 기본 가속킷보다 이동속도 증가량이 2만큼 높으며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이제 이름에서 2를 빼야할 것 같은데

2.3 스피드 스타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7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가속킷. 기본 가속킷보다 이동속도 증가량이 2만큼 높으며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2.4 스피드 스타Ⅱ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7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가속킷. 기본 가속킷보다 이동속도 증가량이 5만큼 높으며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2.5 치아리 스프린터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 8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밀리언 아서 이벤트로 얻을 수 있었던 레어 가속킷. 이동 속도킷이 없는 캐릭터 한테 장착 해주면 쓸만하다.

2.6 스프린터 프로빅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8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가속킷. 기본 가속킷보다 이동속도 증가량이 7만큼 높으며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2.7 스피드 업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7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가속킷. 기본 가속킷보다 이동속도 증가량이 5만큼 높다. 전용 아이템이라 각각 맞는 캐릭터만 사용할 수 있다.

2.8 스피드 파워업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70
초당 체력 회복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가속킷. 이동속도 증가량은 기본 가속킷보다 낮으나 일시적인 회복킷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속킷. 전용아이템이라 각각 맞는 캐릭터만 사용할 수 있다.
총 회복되는 회복량도 미미한 것에 비해 올라가는 이동속도는 타 이동속도 물약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다.
다만 맞으면서 버텨야 하는 휴톤, 도일이나 스피드가 그다지 중요치 않은 캐릭터는 사용할 수도 있다.

2.9 스피드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8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가속킷. 이동속도 증가량이 무려 80에 육박한다. 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레나 - 스피드 트레인
시바 포 - 스피드 섀도우
앨리셔 - 스피드 라이트
카를로스 - 스피드 브리즈
빅터 - 스피드 와프트
트릭시 - 스피드 플루토
까미유 - 스피드 화이트
피터 - 스피드 임프
벨져 - 스피드 프라우드
리사 - 스피드 알레그로
탄야 - 스피드 베놈

2.10 스프린터

비용 100Coin

이동속도 증가 +85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증가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가속킷. 스프린터 프로빅과는 다르다. 스파클링과 마찬가지로 캐릭마다 접두어가 있다.

이속증가치는 가장 높지만 리스폰 시간 증가라는 패널티가 있다.

2.11 가속 캡슐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5%
스킬 쿨타임 -21%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가속킷. 다른 가속킷들과는 달리 이동속도 증가량이 없는 대신 공격속도 증가와 스킬 쿨타임 감소가 붙어있다. 이동속도를 포기하는 대신 공격속도를 올리고 스킬 쿨타임을 줄이기에 여러가지 전략적 요소를 포기해야만 하나, 스킬의 쿨타임이 줄어들고 공격속도가 상승한다는 점에서 또다른 전략을 만들 수 있으니 플레이어의 역량에 달렸다 할 수 있다.

2.12 가속 캡슐Ⅱ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8%
스킬 쿨타임 -1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가속킷. 위의 가속캡슐이 스킬 쿨타임을 대폭 감소시켰다면, 이번에는 공격속도를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

2.13 아드레날린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5%
스킬 쿨타임 -21.6%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가속킷. 쿨타임 감소 특화다.

2.14 아드레날린Ⅱ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8.8%
스킬 쿨타임 -19.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가속킷. 공격속도 특화다.

2.15 화이트 와인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7%
이동 속도 +4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오 나의 쉐프님 코스튬 구매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소모킷 이자 엑셀레이션 하위 이속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옵션은 엑셀레이션의 완벽한 하위호환 이지만 엑셀이 나올 확률은 대략 1%도 채 안되지만 화이트 와인은 25% 라는 비교적 높은 확률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아이템을 얻으려고 오 나의 쉐프님 코스튬을 지르는 유저들이 있었다. 판매가 종료된 지금은 다시 구할 수 없는 아이템.

2.16 엑셀레이션

엑셀레이션(사이퍼즈)

2.17 페스티네이션

비용 100Coin

스킬 쿨타임 -11%
이동 속도 +6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가속킷. 이동기가 있어 이속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캐릭터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토마스, 레나, 레이튼 등. 또한 빅터와 까미유 같이 스킬의 쿨타임 관리가 중요한 캐릭터에게 자주 쓰인다. 특히 빅터는 극질풍셋을 맞출 때 스컬 펜던트 G와 함께 많이 쓰인다.
생각보다 어울리는 캐릭터가 많지만, 당하는 입장에서 액셀레이션만큼 체감이 확 되진 않아서 그런지 덜 주목받는 아이템. 포지션별 버프가 생겨나면서 서포터 포지션 캐릭터와 상성이 굉장히 좋으며, 궁극기의 유무가 한타존재감에서 굉장히 큰 레이튼, 미쉘 등은 있고 없고가 제법 체감이 크다. 궁극기 특성상 끊임없이 쿨타임이 돌게되는 카인이나 엘리와도 궁합이 좋은 편. 액셀레이션의 위용에 가려졌을 뿐, 거의 모든 캐릭터와 잘 맞는 뛰어난 레어소모품이다. 각 캐릭터별 전용으로 'XX 페스티나'라는 변종도 존재한다.

2.18 히트 업

비용 100Coin

공격 속도 6%
이동속도 45
20초 지속
40초 쿨타임

2016 6월 2일부터 진행되는 접속시간이벤트에서 주는 캐릭터전용 엑셀하위호환. "○○○ 히트 업" 형식으로 앞에 각 캐릭터의 소모품 접미사(예 : 아리아 히트업-리사)가 붙어있다.

3 공격킷

대부분의 공격킷의 경우에는 캐릭터들의 전용 아이템인 경우가 많으며, 일부 공격킷은 공용아이템이다.

일부 공격킷의 경우, 캐릭터들은 각각의 고유한 접두어를 가진다.

3.1 공격 강화 킷

비용 100Coin

공격력 +73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공격킷. 공격력을 상승시킨다.

3.2 공격 강화액Ⅱ

비용 100Coin

공격력 +7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달러샵에서 기본적으로 파는 커먼 공격킷. 공격력을 상승시킨다.

3.3 멜츠 파워트림

비용 100Coin

공격력 +7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공격킷. 전 캐릭터 공용아이템이다.

3.4 멜츠 파워트림Ⅱ

비용 100coin

공격력 +7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3.5 파워 에이스

비용 100Coin

공격력 +8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공격킷. 전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공격킷으로 강력한 데미지와 캐릭터를 가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뱀발로 사이퍼즈 초기에 약간의 트러블로 게임 이름이 이걸로 될 뻔했었다.

3.6 라이언

비용 100Coin

공격력 +80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공격력을 대폭 상승시켜준다. 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타라 - 파워파이어[6]
카인 - 라이언 크루
드렉슬러 - 라이언 스피어
나이오비 - 라이언 파이어
미쉘 - 라이언 키네시스
호타루 - 라이언 어쌔신
미아 - 라이언 포레스트
J - 라이언 디트렉터

3.7 통후추

비용 100Coin

공격력 +80
20초 지속
쿨타임 20초

오 나의 쉐프님 코스튬 구매로 얻을 수 있는 공격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3.8 넬스 파워트림

비용 100Coin

공격력 +74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감소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리스폰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바로 죽기 직전에 복용한다면 조금 더 빨리 살아날지도 모른다.

3.9 파이크

비용 100Coin

공격력 +92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증가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공격킷. 각 캐릭터 전용 아이템으로 각각의 캐릭터들의 고유한 접두어가 붙어있다. 리스폰 시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복용 후 너무 들이대는건 좋지않다.
방목유니크의 추가로 어지간한 방캐들의 회피가 140이상으로 맞춰졌기 때문에 원딜의 경우 대부분 이펙트를 쓰는추세며, 파이크를 끼는경우는 화상데미지를 높이는 나이오비나 궁극기에 치명타 증가가 붙어있는 히카르도, 절개 백어택 시 치명 추가 확률 붙은 시바, 출혈데미지를 높이는 잭, 이면-충각콤보를 쓰는 까미유, 기본 치명타 스텟이 뛰어난 일부 딜러나 딜템을 아예 사지 않는 탱커들[7] 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펙트처럼 범용적이진 않지만 파이크와 궁합이 좋은 캐릭이 쓰면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3.10 멜츠 크리민

비용 100Coin

치명타 +35.6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공격킷. 공격력을 올려주지 않는 대신 치명타를 상승시킨다.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3.11 멜츠 크리민Ⅱ

비용 100Coin

치명타 +36.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공격력을 올려주지 않는 대신 치명타를 상승시킨다. 전 캐릭터 공용 아이템이다.

3.12 크리민

비용 100Coin

치명타 +3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공격력이 아닌 오로지 치명타만 상승시켜준다. 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트리비아 - 블러드 어쌔신[8]
클레어 - 크리민 라이트[9]
마를렌 - 워터 크리민[10]
히카르도 - 인섹트 크리민
자네트 - 피어스 크리민
엘리 - 폭죽 크리민
드니스 - 플라워 크리민
루시 - 댄싱 크리민

3.13 이펙트

비용 100Coin

치명타 +42%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증가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공격킷. 위의 파이크와는 반대되는 성질로 치명타만 상승시켜준다. 각 캐릭터 전용 아이템이기에 각 캐릭터들의 고유한 접두어가 붙어있으며, 리스폰 시간을 증가시킨다. 치명타 상승값이 어마어마해서 단일효과가 제일 높은 유니크 모자의 1개 착용값보다도 높다! 방캐가 이걸먹는다면 0모자 전술로 가도 된다. 매우 효율적인 아이템[11][12]. 파이크가 반강제되는 일부 딜러(시바나 나이오비 등)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딜러들의 워너비 공격킷. 치명타가 낮은 탱커(대표적으로 휴톤)들도 많이 채용한다. 일단 끼기만 하면 제값은 하는 준수한 공격킷

3.14 넬스 크리민

비용 100Coin

공격력 +23
치명타 +2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공격킷. 공격력을 낮게 올려주는 대신 치명타를 상승시켜준다. 아래의 넬스 크리민S와 더불어 위의 멜츠 크리민류나 이펙트류 사용 시에 깡공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밸런스 조절용으로도 쓰일 수 있으니 세팅에 따라서 사용할 것. 단 치명타는 상대방 회피보다 무조건 높아야만 빛을발하기 때문에 넬크를 스텟딸(...)이라면서 기피하는사람도 많다.[13]아래의 넬스S도 마찬가지.

3.15 넬스 크리민S

비용 100Coin

공격력 +24
치명타 +29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위의 넬스 크리민보다 수치는 쥐꼬리만큼(딱 1 오른다! 1!) 세지만 공치의 조화성 덕분에 이걸 얻기 위해 눈에 불을 켠 사람은 많다. 데미지의 랜덤성이 삭제된 지금 넬스와 넬스S는 미세하지만 딜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한다.

3.16 멜츠 어벤져

비용 100Coin

인간추가공격력 +93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모든 캐릭터가 쓸 수 있는 공용 아이템 이며 다른 공격킷들과는 다르게 인간추가공격력을 올려준다. 타워를 부술때나 트루퍼를 잡을때는 효능이 없지만 한타때 강력한 힘을 낼 수 있다. 인추 계수가 높은 캐릭터나 잡기 스킬을 갖고 있는 아이작, 제키엘 적의 방어를 무시 하는 기술을 갖고있는 나이오비까미유, 아이템이나 스킬에 치명타 증가 옵션이 붙어 있는 일부 캐릭터에게 장착 했을때 효율이 극대화 되며 섬멸전 한정으로 효율이 극대화 된다. 시바 포 또한 어벤져의 성능을 잘 이끌어내는 캐릭중 하나.단 레베카에겐 효과가 없다. 인간추가공격력은 인간 아머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는데 레베카는 다른 캐릭터와는 다른 아머를 쓰기 때문이다.패치 이후로 공성아머가 삭제되어 취소선이 그어진 내용 옛말이 되었다. 공성전은 대인 대미지만 증가 하기 때문에 사용 하는 유저가 거의 없지만 섬멸전 한정으로 왠만한 언커먼 공격킷 보다 성능이 좋다.

3.17 멜츠 데몰리션

비용 100Coin

건물추가공격력 +93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공격킷. 전 캐릭터 공용으로 멜츠 어벤져와는 반대로 오로지 공성데미지만 상승시켜주는 공격킷. 건물추가데미지는 별 효용이 없다. 타워 좀 빨리깨겠다고 이걸 끼겠다는건 한타의 효율을 엄청나게 떨어뜨리는 짓이다. 데미지는 다른 공킷으로도 충분히 올릴 수 있다. 닥테는 애초에 사퍼 전 유저들로부터 가장 지양되는 플레이방식이고(...) 건추뎀을 올려줘서 레베카에게 추가데미지를 주지 않을까 착각하기 쉽지만 레베카에게 추가데미지 주는건 공성속성이기 때문에 건추뎀은 아무 의미가 없다. 그나마 닥테 도일(...)들을 중심으로 연구된적도 있으나 건물 추뎀보다 치명타를 이용한 추가데미지가 더 효율적이라는 결과가 나와 완전히 사장된 아이템. 걍 쓰지마라.

3.18 파이크 이펙션

비용 100Coin

방어 관통력 +10%
공격력 +5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공격킷. 각 캐릭터 전용 아이템이다. 성능은 방어관통! 성능은 파이크와 비슷하지만 초반에는 파이크가 유리하고 후반에는 이펙션이 유리하다. 후반에 이펙션 들고있으면 당신도 자네트가 될 수 있다![14]

4 방어킷

대부분의 방어킷의 경우에는 캐릭터들의 전용 아이템인 경우가 많으며, 일부 방어킷은 공용아이템이다.

일부 방어킷의 경우, 캐릭터들은 각각의 고유한 접두어를 가진다.

4.1 방어 강화 킷

100Coin

방어력 +18.2%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방어킷. 방어력을 증가시켜준다.

4.2 방어 강화액Ⅱ

100Coin

방어력 +18.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달러샵에서 기본적으로 파는 방어킷. 방어력을 증가시켜준다.

4.3 바이벤 터틀본

비용 100Coin

방어력 +18.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방어킷. 방어력을 증가시켜준다. 전 캐릭터 공용이다.

4.4 바이벤 터틀본Ⅱ

방어력 +19.4%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바이벤 터틀본의 업그레이드 버전. 전 캐릭터 공용이다.

4.5 하디스트 스위퍼

방어력 +2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방어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4.6 바질

방어력 +2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오 나의 쉐프님 코스튬 구매로 얻을 수 있는 방어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4.7 터틀

방어력 +2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캐릭마다 고유 접두사가 있다. 휴톤, 토마스, 샬럿, 린, 윌라드, 아이작, 마틴, 하랑, 릭, 제키엘이 가지고 있다.

4.8 베링거 터틀본

비용 100Coin

방어력 +18.8%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감소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각 캐릭터 전용아이템이며 리스폰 시간을 감소시켜준다는 메리트가 있다. 때문에 본인이 방템을 상대적으로 적게 두르거나 착용하지 않는 극공트리를 탄다면 이쪽을 택해도 좋다. 다만 현 메타인 후반을 더욱 고려한다면 타즈가 올바른 선택.

4.9 타즈

비용 100Coin

방어력 +22.88%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증가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방어킷. 회피탱이 아니라면 꼭 구해야하는 방킷.[15] 정말 엄청나게 단단해진다. 물론 리스폰 페널티가 있으니 먹었다고 너무 들이대는 것은 영 좋지 않은 짓이다. 특히 극공 타서 가뜩이나 몸도 약한데 이거 하나 빨았다고 탱커급 몸빵력을 기대하고 들이댔다간...누구보다 빠르지만 남들보다 느리게 리스폰될 것이다. 캐릭마다 고유 접두사가 있다.

4.10 바이벤 닷지넬

비용 100Coin

회피 +35.6%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방어킷. 회피만 중점적으로 올려주기에 회탱이 아니라면 사용빈도는 희박하다. 전 캐릭터 공용이다.

4.11 바이벤 닷지넬Ⅱ

비용 100Coin

회피 +36.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바이벤 닷지넬의 업그레이드 버전. 전 캐릭터 공용이다.

4.12 닷지

회피 +38%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캐릭마다 고유 접미사가 있다. 레베카, 다이무스, 이글, 웨슬리, 레이튼, 리첼, 디아나가 가지고 있다.

4.13 플래쉬

회피 +42%
지속시간중 사망시 리스폰 시간 증가 +1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방어킷. 타즈보다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평이지만 도일이나 브루스같이 방어력을 이미 충분히 뽑아낼 수 있는 캐릭터의 경우[16] 플래쉬를 껴서 회피까지 올림으로서 더 단단해지는게 가능하다. 또한 극한의 회피탱을 지향한다면 한번 구해보자.[17] 캐릭별로 고유명칭이 있다.

4.14 베링거 닷지넬

비용 100Coin

방어력 +6%
회피 +26%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방어킷.

4.15 베링거 닷지넬S

비용 100Coin

방어력 +6.6%
회피 +27%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S가 달렸다고 다르지 않다. 단, 이펙트 부분 주석에 설명되었듯이 자신의 캐릭터 특성에 따라 이걸 써도 된다. 특히 바지보다 허리유니크를 먼저 찍는 몇몇캐릭터들은 이걸써도 좋다.

4.16 바이벤 스테민

비용 100Coin

체력 +564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커먼 방어킷. 전 캐릭터 공용이다.

체력회복이 아닌 피통증가이므로 증가된 수치보다 현재 체력이 낮으면 지속시간이 끝날 때 체력이 1만 남는다. 초반위주, 암살형 극공이게 욕을먹기 쉬운 플레이라는건 묻어두자으로 게임할 때 쓰는 물건. 후반가면 거의 있으나마나. 최후의 저항

4.17 바이벤 스테민Ⅱ

비용 100Coin

체력 +582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체력을 증가시킨다. 전 캐릭터 공용이다.

4.18 스테민

비용 100Coin

체력 +600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언커먼 방어킷. 일부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전용 소모킷. 각 캐릭터별로 고유 접두/미사를 가진다. 왠지 먹으면 주괴가 아깝다는 기분이 든다. 로라스, 도일, 루이스, 스텔라, 제레온, 티엔이 가지고 있다.

4.19 스테민 닷지

최대 체력 +10%
회피 +22%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방어킷. 스테민도 주로 쓰이는 방어킷이 아니고 닷지넬도 주로 쓰이는 방어킷이 아니기에 둘이 합쳐진 스테민 닷지역시 주로 쓰이는 방어킷은 아니다. 스테민 터틀과 함께 레어부스터에서 유저에게 굴욕감을 주기위해 추가했다는 평이 대다수다. 실제로 이 아이템이 추가되고 레어 부스터를 뿌리는 이벤트를 했다.

4.20 스테민 터틀

최대 체력 +10%
방어력 +11.5%
20초 지속
쿨타임 40초

부스터 또는 게임 종료후의 카드를 뒤집어서 얻을 수 있는 레어 방어킷. 회피대신 방어력이 붙어있지만 그래도 애매하다. 체력이 높은 방캐라면 이것보단 순수방어력 증가킷이 훨씬 유용하기 때문. 스테민 닷지와 함께 레어부스터에서 유저에게 굴욕감을 주기위해 추가했다는 평이 대다수다. 일단 리스폰 패널티는 없지만, 효율성에 대해 논란이 많으니 살펴보자.

타즈와 터틀의 효율성에 대한 정리. 여기서는 받는 데미지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하지만 체력이 1만이나 될리는 없으니(...), 체력은 일단x, 계산을 쉽게 하기위해 방어력은 50%로 다시계산하면(보통 방캐의 방어력은 소모품을 제외할시 50%로 추정가능.)

사이퍼즈의 방어시스템은 복리계산식이다.

1.타즈 복용시 방어력은 22.88%가 증가한다. 복리계산식이기 때문에 50+(50*0.2288)=61.44
2.체력이 x인 캐릭터를 죽이려면 t(데미지)*(38.56/100)=X
t=x*100/38.56=2.5934x가 나온다.

3.터틀 복용시 체력은 10%, 방어력은 11.5% 증가한다. 체력은 1.1x가 되며, 방어력은 50+(50*0.115)=55.75
4.체력이 1.1x인 캐릭터를 죽이기 위해선 t*(44.25/100)=1.1x
t=1.1x*100/44.25=2.4859x가 나온다.

그럼여기서 체력을 가정해보자.

1.총 체력이 1000인경우[18]
타즈는 2593.4, 터틀은 2485.9의 데미지를 입혀야 한다. 차이는 107.5이다.

2.셔츠를 다산 4000언저리일 경우
타즈는 10373.6, 터틀은 9943.6의 데미지를 입혀야 한다. 차이는 430이다.

3.체력이 5000일 경우
타즈는 12817, 터틀은 12429.5의 데미지를 입혀야 한다. 차이는 441.5이다.

이렇게 봤을 때는 타즈가 더 우세하다는걸 볼 수 있다.[19] 게다가 터틀은 20초가지나면 증가한 체력이 날라가버린다는 문제점도 존재.

그런데, 남은 체력이 전체 체력의 68% 이하가 되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스테민 터틀 vs 타즈.txt, 방어력 +20%의 전용 방어킷도 비교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앞선 실험에서 봤듯이 기본 방어력은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위의 링크에서 나오는 실험 기준인 최대 체력 3000을 기준으로 남은 체력이 2/3인 2000이라고 생각하고 계산해보자.

스테민 터틀 (방어력 +11.5%, 체력 +10%) = {2000 + (3000 × 1.1)} ÷ 0.885 = 약 2600

타즈 (방어력 +22.8%, 리스폰 증가 +10%) = 2000 ÷ 0.772 = 약 2590

?! 오히려 타즈보다 더 많은 데미지를 버틸 수 있다.

요약하자면 유저들의 인식처럼 스테민 닷지만큼의 쓰레기는 절대로 아니다. 의외로 최소한 언커먼 이상의 가치는 한다고 볼 수 있고, 쓰는 상황이나 유저의 사용에 따라선 레어급 이상의 가치도 있을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타즈를 버리고서 반드시 낄 정도는 아니지만 타즈는 리스폰 패널티가 있고, 체력 회복의 효율성이 떨어지만, 즉시 회복이 가능해 낮은 체력일수록 그 효율이 높아지는 스테민 터틀의 장단점을 고려하면 무조건 타즈보다 나쁘다는 인식은 잘못되었다는 결론.

5 특수킷

5.1 강화

모든 캐릭터의 최초생성시 특수킷에 들어가있는 아이템. 공통적으로 평타를 강화시키며 대체로 근접 평타 강화킷은 원거리 평타 강화킷에 비해 증가값이 높다. 이는 근접 평타의 DPS가 원거리 평타에 비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한 듯 하며 평타링에도 이러한 법칙이 적용된다.(단, 평타링이 기본 장착인 카인은 예외.)

당연하지만 효율성이 매우 낮으므로 최대한 빨리 레이더나 인사이트로 갈아 끼우자. 다만 예외적으로 빅터는 그냥 쓰는 사람도 많다. 평타로 먹고사는 캐릭터이기 때문. 가끔 잘 성장한 타라가 평타링+화염괴 강화+가캡 세팅으로 타워를 박살내기도 한다.

5.2 임팩트/맥시머

모든 캐릭터의 특정 스킬을 일정 시간 동안 강화시킨다.
임팩트의 경우 궁극기가 아닌 특정 스킬의 데미지를 올린다. 일부는 사거리 증가[20]나 범위 증가[21], 효율 증가[22] 등의 부가옵션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언커먼 등급으로 분류된다.
맥시머는 임팩트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고 아이콘도 공유하지만, 궁극기를 강화시킨다는 점이 다르며 레어 등급으로 분류된다. 맥시머 역시 임팩트처럼 데미지를 올려주며 일부는 사거리 증가[23]나 범위 증가[24], 효율 증가[25] 등의 부가옵션이 있다.

특정 스킬만을 한정하여 강화하는 만큼 그 스킬의 효율성이 대폭 증가하므로 적절한 상황에 먹어주면 큰 도움이 된다. R, LR, Q 버튼에 대응하는 임팩트가 주를 이루나 예외적으로 평타, SL기에 대응하는 임팩트도 있다.

임팩트의 경우 각 캐릭터별 개별 아이템 목록을 참조.

휴톤 맥시머와 아이작 맥시머도 있다

5.3 레이더

사용시 머리 위에 붉은 눈동자가 생기며 시야가 약간 증가하고 지뢰를 탐지할수 있게 된다. 사거리가 긴 원캐들이 조금이라도 더 멀리 보기 위해서나 지뢰 견제를 위해서 끼는 템이라고 생각하면 무방하다.

2012년 11월 21일 업데이트로 커먼 레이더는 지속시간 60초에 시야값 + 50, 언커먼 레이더는 지속시간 60초에 시야값 + 100으로 바뀌어서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 이 시야 증가도 꽤나 쏠쏠하므로 기습형 캐릭터는 고성능의 임팩트를 버리고 착용하는것도 나쁘지않다.템없는 캐릭터들은 그냥 레이더라도 끼워주자

2015년 4월 9일 업데이트로 커먼 레이더와 언커먼 레이더 모두 게임 내 구매 비용이 75코인에서 100코인으로 증가하고 지속 시간과 쿨타임이 60초에서 50초로 짧아지는 대신 시야 내의 설치형 장비(DT, 센트리레이더, 지뢰)를 감지하여 미니맵에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벽이나 안개 뒤의 설치물도 감지가 가능하다.[26]

레이더를 쓰기 좋은 캐릭터는 임팩트/맥시머 부분에 캐릭개인설명에 적혀있다.

5.4 DT 인사이트

카인의 센트리 레이더와 비슷하게 생긴 오브젝트를 설치한다. 2013년 3월 대규모 밸런스 패치에서 커먼 레이더도 은신 탐지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가격이 100코인으로 올랐다. 지역시야 확보 하는 김에 적팀의 시바도 짧은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되어서 조금 상향. 언커먼과 커먼의 차이점은 레이더의 은신 여부와 쿨타임[27]이다. 팀 플레이시 1명은 꼭 갖추고 있는 것이 좋다. 한타 시작전~후 맵을 꿰뚫고 있다는 것은 적의 기습,도주를 포착할 수 있고 적이 무엇을 할지 예상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 범위도 카인의 센트리레이더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전술적으로 굉장히 폭넓게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지속시간이 7초로 짧다는 것은 단점.

2015년 4월 9일 업데이트로 시야 거리가 1,200에서 1,000으로 감소하고 지속 시간이 10초에서 7초로 줄어들었다. 대신 쿨타임이 언커먼의 경우 55초에서 50초, 커먼의 경우 60초에서 55초로 짧아졌다.

주로 타워링 할 때 꽂아서 적의 뒤치나 지원을 확인하거나 낚시플레이, 뒤치기방지 등 무궁무진한 쓰임새를 보이는 특수킷으로 특히 이니시에이팅이 가능한 아이작,린, 스텔라나 암살플레이를 위해 루이스,레나,자네트,홀든형제들이 주로 사용한다

5.5 통신기

통신기를 사용하여 지원 APC를 불러낸다. 소환된 APC의 스펙은 모든 장비와 링을 1개씩 산 상태의 특성 안찍은 캐릭터와 같다고 한다. 장비의 품질은 알려지지 않았다.

  • 트론 통신기 A1 : 통칭 앨통. 앨리셔APC를 한 명 소환한다. 평타, 축복의 빛, 엔젤 프레스,잡기를 사용한다. 컴퓨터 특유의 인식속도,공속과 하향되기 전에는 작은 경직을 주는 평타를 마구 난사해서 사람을 빡치게 만드는 통신기로 모두의 머스트 워너비 통신기였지만 평타에 쿨이 생기고 핵심 홀딩 스킬인 광자력빔 스킬을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 되면서 성능이 매우 미묘해졌다.오죽하면 앨리셔 장인 앨통이라는 말이...;;
  • 트론 통신기 C1 : 통칭 클통. 클레어APC를 한 명 소환한다. 평타, 디펜시브 프리즘, 엔젤 프레스,잡기를 사용한다. 애초에 클레어는 원딜 포지션이기때문에 통신기로 부르기엔 효용이 좀 의심되어지는 면이 있다. 그래도 적중률이 매우 높은 평타와 디펜시브 프리즘이 깔려있다는것 자체만으로도 위협을 줄 순 있으므로 취향껏 채용하자.
  • 통신기 T1 : 통칭 도통. 도일APC를 한 명 소환한다. 바야바와 도일의 모든 스킬을 사용한다.어퍼는 빼고 사용하자 마자 근육다지기를 사용하고 적의 타워를 향해 달려간다. 적의 타워가 보이면 바야바를 사용해 붙은 뒤 초 스트레이트를 갈긴 뒤 공성을 한다. 공성지원부대보다 훨씬 약하지만 일단 도일 비슷한게 타워에 붙어있다는 사실(...)이 좀 압박적이다. 당연하지만 공성지원부대와 다르게 근육다지기가 풀리면 슈아가 없다.
  • 통신기 T2 : 통칭 레통. 레나APC를 한 명 소환한다. 섬전각을 제외한 레나의 모든 스킬을 사용한다. 소환즉시 기어2를 켜고 근처의 적을 공격하지만 이상하게 철거반에 끌리는 빈도가 높다. 가끔 기어조차 안 키고 적을 찾아서 근처를 정처없이 방황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거의 안 쓴다. 그래도 레나라고 제대로 싸울때는 정말 도움이 된다. 잡기써서 쿨날리게 할때만 빼고

5.6 하드스킨

먹지마세요 피부에 양보하세요[28]
대여 시스템이 추가된 이후 구하기는 쉬워 졌으나 드랍률은 거의 없다시피한 희귀 아이템, 하드스킨 버스터는 원거리 슈퍼아머를 하드스킨 크래셔는 근거리 슈퍼아머를 부여한다.

예전에는 긴 쿨타임과 높은 가격외의 페널티는 없고 전투중에도 사용 가능 했기 때문에 사기 아이템으로 불렸으나 2015년 8월 20일 패치로 피격 되는 도중 사용 불가, 지속시간중 이펙트가 추가 0.5초의 선딜이 생겼기 때문에 예전만큼의 사기성은 거의 없어졌다. 그래도 루이스나 리첼 같은 캐릭터는 미리 쓰고 적진으로 들어가면 되기 때문에 그나마 타격이 적은편 이지만 이펙트가 생겨서 대처하기가 쉬워진 편.
  1. 일부 언커먼 아이템에서는 나이오비와 같이 '파이어'를 공유한다.
  2. 일부 언커먼 아이템에서는 이글과 같이 '블레이드'를 공유한다.
  3. 일부 아이템에서는 샬럿과 같이 '워터'를 공유한다.
  4. 이 셋은 전용 언커먼 아이템을 제외하고는 소모킷의 이름을 공유한다. 단, 언커먼의 접두어마저 염동인 건 린 뿐이다.
  5. 예전에는 기본 아이템들에도 전부 고유한 명칭이 있었다. 장갑/허리는 옥스혼, 모자/바지/신발은 스포렉스 등. 하지만 패치 이후로 초보자 배려 차원에서 공격력 강화, 방어력 강화 등 직관적인 명칭으로 바뀌었다.
  6. 굉장히 예외적인 경우로, 왜 그런 건지는 불명. 이미 라이언 파이어 아이템을 나이오비가 사용중이어서 그런 건 지 추측이 난무할 뿐이다. 하지만 중복 아이템은 넘쳐나잖아? 그럼 대체 뭐야
  7. 현 메타상 탱커는 딜템을 사는 일이 거의 없다. 그래서 1장의 효과를 받을 수 있는 파이크가 선호되는것.
  8. 라이언 계열의 파워파이어와 마찬가지로 이름의 밸런스를 깨는 양대산맥. 왜 이들만 이렇게 이질적으로 다른 지는 역시 불명이다.
  9. 특별 케이스로 접두어가 아닌 접미어로 붙어 있다.
  10. 워터라고 해서 샬럿의 소모킷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의하자.
  11. 장갑의 경우 FA장갑의 첫 증가값은 파이크보다도 높으나 모자의경우 FA같은 아이템이 없다는게 문제다. 이속모자가 아니라 유니크모자를 사용하는 셀렉방캐같은 경우에는 더더욱 유용하다.
  12. 사실 파이크 증가값과 이펙트 증가값이 장갑,모자 증가값과 상대적 차이가 나는이유가 장갑과 모자의 기본적인 가격차이 때문이라고 한다.
  13. 치명타와 회피율은 공식이 %증가로 표기 되어있긴 하지만 사실 두스텟의 변화값은 방어력과 다르게 +-수치에 점감효과 없이 그대로 적용되는데 공격시 (자신의 치명타)-(상대의 회피)로 공격의 치명~회피여부를 결정하는 게임시스템상 치명타 수치가 상대 회피 수치보다 높다면 절대 회피가 뜨지않는다. 물론 상대 회피수치가 자신의 치명타 수치보다 높으면 절대 치명타가 안뜬다. 덕분에 사이퍼즈의 대세가 극치명이 되었다.
  14. 자네트는 평타와 잡기를 포함한 모든 스킬의 기본 방어관통률이 20%이상이여서 이펙션 방어관통률 10%로는 링을 찍은 자네트의 방어관통력의 발끝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자네트가 이펙션을 낀다면... 바지를 찢다 못해 갈기갈기 부숴버리겠지
  15. 이게 의견이 좀 갈리는게 물리기 너무 쉽거나 적의 공격 한방에 죽기쉬운 캐릭터면 사용을 자제하는게 낫기도 하다. 예를들면 시바 같은경우.
  16. 도일의 경우는 근육다지기(레어링),브루스의 경우는 궁극기.
  17. 버프형 기술2개가 회피값을 증가시켜주는 미쉘, 인추댐-20%와 회피보조스킬이 있는 레베카의 경우 더욱 유용하다.
  18. 총체력이 같은이유는 이미 데미지를 계산할때 1.1배를 곱해주었기 때문
  19. 441.5라는 데미지가 별거 아닌거같지만 절대로 무시해서는 안되는 수치다. 저걸로 생사고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20. ex) 분열창, 클렌징 빔, 광자력 빔 임팩트
  21. ex) 헤비레인 임팩트
  22. ex) 질풍가도 임팩트
  23. ex) 저격 맥시머
  24. ex) 용성락 맥시머
  25. ex) 기어3 맥시머
  26. 이 기능을 통해 상대의 기습을 미리 파악하여 차단하거나 역공을 하는등 사용자의 재량에 따라 전략적으로 레이더를 활용 할 수 있다.
  27. 언커먼이 50초, 커먼이 55초다.
  28. 하드스킨 설명란에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