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국

1 개요

相國
전설의 관직. 중국 전통 관료제에서 신하의 몸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지위이다. 황제 다음으로 황태자와 동급이란 의견도 있으니 이 경우는 제후국의 국왕보다 높은 것이다. 너무 전설급으로 높은 직책이라서 사실상 영구결번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올라갔다는 사람이 몇 명 없다. 황제의 옆에서도 칼을 들고 무장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목록만 보면 꽤 되는거 같은데?[1]

현재 대한민국으로 비교하면 대통령으로부터 권한이 부여받은 실세 국무총리 정도의 직책이라고 할 수 있다.

승상은 본래 상국의 비서관 정도의 지위[2]였으나, 상국의 권위가 너무 높아서 상국을 임명하지 않고 승상이 권한을 대행하면서 실질적으로 승상=상국이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다.

앞뒤를 뒤집으면 국상(國相)이 되는데, 이 역시 군국제에서 제후국의 수상 격인 위치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오히려 실권이 없는 제후왕을 대신해서 태수와 동격의 대우와 권한을 누렸다.

2 역사

본래 전국시대에 진, 초 등에 있었던 관직인데, 이 당시는 상방(相邦)이라고 불렸다. 유방이 황제가 되면서 방(邦)을 피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국으로 개칭된다. 소하, 조참, 여산 이후로 거의 영구결번 취급으로 변하면서 지위를 얻은 사례가 드물다. 한나라 이후에는 금기는 없어졌지만, 그래도 개국공신 가운데서도 필두가 될 정도로 아주 엄청난 공적이 있거나, 자기가 개국왕이 될 정도의 권력이 있어야만 얻을 수 있다.

정사 삼국지에서는 동탁이 이 지위를 누렸고, 촉한의 소열제 유비가 유언으로 제갈량에게 상국의 지위를 주었고[3], 제갈량 사후 상국은 물론 승상의 자리 역시 영구결번 취급을 받게 되었다. 또한 사마소사마염도 이 자리를 거쳤는데 제갈량을 제외하면 모두 권신으로서 황제를 위협하여 얻어낸 자리다. 그래서, 황제가 임명한 상국은 사실상 소하, 조참, 제갈량 세 명 정도다.

일본에서는 율령제의 도입과 함께 이 관직명도 도입되어 태정대신의 별칭으로 쓰였다.

한국사에서 비슷한 것으로는 고구려대막리지(大莫離支)와 신라태대각간(太大角干)이 있다. 고려최충헌도 스스로를 은문상국이라 칭했다. 그야말로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절대권력이다.

3 상국 일람

3.1 춘추전국시대

이 시기는 상방이다.

3.2 한대 이후

  1. 이는 통치체계와 국가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다. 다만, 여산은 여씨 일족의 빽으로 얻었고, 동탁은 황제를 협박하여 얻은 것이라서 진정성 있는 상국은 사실상 소하, 조참, 제갈량 세 명뿐이다.
  2. 승(丞)이 '돕는다'는 뜻이다.
  3. 정사 삼국지에 의하면 진수의 평으로 상국(相國)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다고 되어있다. 계한보신찬에는 제갈량이 선제(유비)의 유명을 받아 재상이 되었다고 나오는데 제갈량은 이미 유비 생전에 승상이었으므로 상국은 이 때 부여받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제갈량같은 경우에는 소하나 조참과 달리 유비가 상국의 지위를 내렸다는 부분 이외에는 기록에서 거의 승상으로 불리기 때문에, 상국이라는 것이 딱히 구체적인 것보다는 그만큼 군주의 신뢰를 얻었다는 상징적인 지위일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