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머드 워페어/차량 목록

1 주력전차(Main Battle Tank)

1.1 소개

팀의 라인을 책임진다! MBT!
주력전차는 강력한 공격력, 강력한 장갑, 그리고 좋은 기동성의 3박자를 고룬 갖춘 전차로써 강력한 탱킹 능력과 강력한 딜링으로 전장의 최전선을 지키는 포지션이다. MBT 답게 중전차와 중형전차, 그리고 구축전차를 한데 섞은 느낌의 전차들이 다수. 하지만 다른 차량과 비교하면 이동속도와 장전속도가 느린 편에 속하기 때문에 뒤를 잡히거나 매복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1.2 주력전차 목록

1.3 PVP 공략

한번 시작했으면 끝을 보자!

주력전차의 최고 속도는 그리 나쁜 편이 아니지만 타 차종에 비해서는 결코 빠르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월탱처럼 라인전만 고집하다가는 적에게 측후면을 돌파당해서 패배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때문에 적을 발견 했을 때에는 라인전에 임하되 시간을 끌리는 상황을 강요당해서는 안 된다. 만약에 다른 라인이 돌파 당한다면 빠른 판단을 하여 뒤로 후퇴해서 새로운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선택이다. 반대로 책임진 라인을 뚫었다면 그대로 전진 돌파해서 적의 측면을 확보하자. 그러면 다른 라인에 있던 AFV와 경전차가 빠른 속도로 돌파 후 당신이 확보한 지역으로 달려와서 지원해줄 것이다.

1.4 PVE 공략

공략의 수호신

주력전차가 PVE에 많으면 많을 수록 임무를 수행하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강력한 장갑으로 1선 몸빵을 해주고 비교적 강력한 포로 적을 순삭시킬 수 있기 때문. 다만 시야가 매우 짧아서 무조건 돌진을 하면 적 AI의 원거리 측면포화에 줘팸을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PVE에서 주력전차의 최우선 역할은 모루이다.

2 경전차(Light Tank)

2.1 소개

주력전차보다 약한 장갑을 가졌지만 그 덕에 기동력과 포/포탄과 체력을 가져온 차량들. AFV와는 달리 무한궤도식이 주류를 이루며, 본래 차량의 설계 목적이 MBT급의 주포를 빠르고 은밀하게 운용하는 컨셉이니었던 만큼 게임내 구현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흔히 경전차 하면 우회기동/뱅뱅이를 통한 울프팩 전술을 생각하게 되는대..이게 이 게임에서는 힘들다. 월탱이나 워썬더와는 달리, 이 게임에 등장하는 차량들은 죄다 최신식기술을 떡칠했었거나 해놓은 차량들로, 어설픈 뱅뱅이는 통하지 않는다. 패치를 통해 MBT의 차체/포탑 선회도를 낮춘 결과인지라, 0.15 이전의 경전들은 MBT에 대한 뱅뱅이는 꿈도 꾸지 못했다. 0.15 현재도 M8 선더볼트가 XM1A3를 돌면, XM1A3는 단순히 차체를 돌리는 것만으로 M8을 계속 조준할수가 있다. 경전들의 울프팩 성공 요인들 중에 하나는 빈틈을 찌르는 것인대, 정찰/등대에 더욱 특화된 AFV들의 시야가 더 넓고 경전의 위장수치는 더 낮은 관계로 들어가면 거의 100% 걸린다. 승률/픽률/딜량이 낮은 관계로 몇번의 꾸준한 버프를 받아 현재는 6티어 이상 차량의 포탄은 죄다 독일 MBT의 것과 맞먹는 수준까지 왔다. 저티어의 경우는 대부분 주력전차보다 약한 포를 장비하고 있지만, 152mm 건런처를 장착한 4티어 쉐리던 이후로는 대놓고 MBT가 쓰는 구경의 포를 가져다 쓴다. 대신, 장갑의 순수 두께가 120mm을 넘지 않는 경우가 일상다반사로, 구경삼배수법칙이 있는 관계로 고티어에서는 히트 앤 런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특수능력으로 급가속 스킬을 가지고 있어 지형조건과 선회유무에 상관없이 가속/조향이 가능하며, 저속(기어 1단)에서는 에임이 벌어지지 않아 위치를 옮기면서도 명중률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화력은 구축보다 딸리며 시야범위는 AFV보다 좁고 DPM과 기동성은 AFV보다 쳐지면서 장갑은 없는 수준인지라 게임내의 어느 차량보다도 손을 많이 타는 차량.

2.2 경전차 목록

  • PT-76 1티어 경전차(LT)
  • FV101 스콜피온 2티어 경전차(LT)
  • M551 셰리든 4티어 경전차(LT)
  • Bglt. Pz 57 5티어 경전차(LT)
  • VFM Mk.5 6티어 경전차(LT) (프리미엄)
  • RDF | LT 6티어 경전차(LT) (프리미엄) (operation lightning 팩에 포함된 프리미엄 전차)
  • Expeditionary Tank 6티어 경전차(LT) (프리미엄)
  • Stingray 6티어 경전차(LT)
  • Stingray 2 7티어 경전차(LT)
  • XM8 8티어 경전차(LT)
  • M8 썬더볼트 9티어 경전차(LT)
  • PL-01 10티어 경전차(LT)

2.3 PVP 공략

꼼수를 써야 운용하기가 좋은 전차

적 주력전차의 측면 공략, 적 AFV 견제, 저격, 기습 등의 여러가지 전략을 펼칠 수 있는데 이는 주력전차보다 빠른 속도를 가졌기 때문이다. 포도 고티어로 갈수록 주력전차의 포를 가져와 달기 때문에 아군의 주력전차와 함께 라인전에서 적 주력전차를 공략하기도 한다. 그만큼 바쁘게 움직여야 하며 전황을 파악하여 적의 돌입을 막거나 아군의 돌격을 엄호해야 한다. 다만 약한 장갑 때문에 너무 최전선에 나가면 그만큼 순삭이 되는 것도 경전차이니 적 진영과 아군 진영을 넘나드면서 활약을 해야 하겠다.

2.4 PVE 공략

등짝을 후려쳐라!!

아군 주력전차가 라인 홀딩을 하며 탱킹 및 딜링을 시도하면 그 뒤에 자리 잡아서 보조딜링을 해주는 운용, 또는 적의 측면으로 우회해서 적 AI의 등짝을 후려치는 식의 운용이 보통이다. 왜냐하면 경전차는 주력전차에 비해서 포는 비슷해지지만 장갑은 더 얇기 때문이다. 때문에 경전차의 빠른 속도는 살리기보다는 깔짝깔짝대면서 적 AI를 공격하는 편이 유리. 물론 서브 미션 클리어도 할 수는 있지만 그건 AFV도 가능하므로 차라리 성능 좋은 포를 이용, 적 AI를 향해 사격을 하는게 게임을 풀어가는데 있어서 좀 더 이득인 경우도 있다.
경전차는 PVE에서 주력전차가 경전차를 대신해 맞아주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야 한다.

3 자주포(Self Propelled Gun)

3.1 소개

월탱의 자주포 포지션과 역할이 같다. 원거리에서 적을 포격하는 포지션. 생각보다 스플래시 데미지도 들어가는 편이라 한 곳에 몰려있는 적에게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하지만 기동이 그리 빠르지 않고 약한 차체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지형지물에 심하게 영향을 받는 것이 문제. 뱀발로 자주포에게 사격을 당하면 '적 자주포가 사격하고 있습니다!' 라는 경고 메세지가 뜨며, 사격 시에 미니맵에 자신은 흰색, 적은 붉은색으로 위치가 미니맵 상에 드러난다. 즉, 적에게 '나 여기서 사격하고 있다' 라고 알려주면서 사격하는 모양새인지라, 작전 중 재방열과 리드샷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다른 차량들과 다르게 특수탄을 운용할 수 있는데 적 지역을 강제로(?) 밝히는 조명탄과 아군을 가려주는 연막탄이 그것이다. 조명탄으로 찾아낸 적이 아군의 사격에 데미지를 입는 경우, 조명탄을 발사한 자주포에 경험치/크레딧의 보상이 있으며 연막탄도 마찬가지로 연막탄 발사 및 아군 차량의 위장 제공에 대한 보상이 주어진다.
4티어 자주포에서 자주포 플레이는 쉬스킨 트리의 8티어 자주포를, 6티어 자주포는 뵐피 트리의 8티어 자주포 플레이를 간접체험하는 형태이며, 이 둘의 차이점은 크고 아름다운 굵직한 한방 VS 끊임없이 쏟아지는 포탄의 비 정도라 할 수 있다. 티어업 도중에는 사용하는 탄종마저 두 트리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는데, 탄속이 빨라 맞추기 쉬우나 대미지가 낮은 포탄 VS 탄속이 느려 맞추기 힘들지만 대미지가 높은 포탄으로 나누어지니까 한번씩 시험해보자. 어차피 어느쪽 트리이건 8티어 자주포는 양쪽의 탄을 모두 사용하니 취향을 포기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인 전차들과는 달리 육성이 상대적으로 어려운데, PVP나 PVE나 자주포의 최대 적은 적 자주포이다. 시작하자 마자, 첫 포격을 하는 순간부터 자주포간의 치열한 대포병 싸움이 시작된다. 이 대포병 사격은 오로지 포격경고만을 보고 언제/어떻게 피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눈치싸움. 어느쪽의 플레이건 최우선 목표는 적 자주포의 제거로, 구축/MBT에 대한 대미지 딜링은 차후의 문제이다.
자주포의 탄을 맞는 입장에서는 월탱과는 다른 의미로 증오스러운 대상이다. 여러 패치를 통해서 대미지의 폭과 모듈손상 정도를 줄여놓았다고 하지만, 피격당하는 입장에서는 오십보백보. 정면에서 맞는 경우 운이 없을 경우는 운전수 해치가 털려서 떡실신당하고, 포탑정면에 맞는 경우에는 포가 작살난다. 차체 중앙에 피격당하는 경우에는 ERA와 궤도가 털린다. 결국 맞는 입장에서는 주요핵심부위만 박살나는 형국이니, 살아는 있는대 딜링이 안되거나 기동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특히나 엔진이 차체 전면에 위치한 차량들의 경우 엔진이 털려 차량이 정지하고 화재가 발생해서 화재진압하니 바로 다음 포탄이 떨어진다는 안타까운 사연도 흔하다.

3.2 자주포 목록

  • Abbot 3티어 자주포(SPG) (프리미엄)
  • 2S1 Gvozdika 4티어 자주포(SPG)
  • M109 4티어 자주포(SPG)
  • 2S3 Akatsiya 6티어 자주포(SPG)
  • Palmaria 6티어 자주포(SPG)
  • PzH2000 8티어 자주포(SPG)
  • M109A6 팔라딘 8티어 자주포(SPG)

3.3 PVP 공략

방열위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위에서 처럼 사격을 하면 적에게 나의 위치가 노출이 되기 때문에 대포병 사격을 당할 수 있으므로 언제 사격하고 언제 이동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물론 대포병을 먼저 해서 적 자주포를 잡아낼 수 있다면 좋겠지만 문제는 그렇게 편안하게 잡을 여건이 안된다는 것(아군 자주포와 적 자주포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내용은 같다.). 이 게임은 라인전 보다 기동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언제든 전선 측면이 뚫려서 속도가 빠른 적 차량에게 아군 자주포가 털려나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전선에 위치한 적의 주력전차 혹은 1.5선의 TD들을 노려서 라인 상황을 아군에게 유리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장 상황에 따라 연막과 조명탄 사용도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신경쓸 일이 많다.

3.4 PVE 공략

진지하게 말합니다. 사용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농담이 아니고 진짜다. 자주포가 시가지나 공장 미션에서 PVE를 한다면 포탄이 맵에 자주 걸려서 정말로 암에 걸릴 정도로 지원 포격이 잘 되지 않는다. 그나마 노리려면 평야지대에서 노릴만 하지만 휴행 탄수 문제도 있고 고폭탄 따위는 가볍게 무시 할 수 있는 전차도 여러 대 있으므로 꽤 제약이 있다. 굳이 한다면 플래툰 5명을 꾸려서 어떤 미션에서 어떻게 공략을 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잘 수립하고 PVE에 임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4 장갑전투차량(Armored Fighting Vehicle)

4.1 소개

대체로 기관포나 소구경포를 장비하고 있으며 엄청나게 빠른 기동력과 작은 차체를 이용하여 강행정찰이나 은신정찰, 혹은 뒤를 노려서 거점 점령 시도도 가능하다. 심지어 TOW와 같은 대전차 미사일로 무장한 AFV도 있어서 위력정찰도 가능한 편이다. 하지만 약한 차체 때문에 강행정찰을 한다해도 솜씨 좋은 포술을 가진 전차를 만나면 뭘 해보지도 못하고 끔살을 당할 수 있으니 주의. 8티어에서 피통과 고관통 저속포를 장비하는 워리어와, 떡장에 기관포와 대전차미사일을 장비하는 BMPT-99로 나뉘게 된다. 뱀발로 장갑전투차량 중에서 타이어(차륜)로 기동하는 차량들이 있는데 좌우 키를 누르고 있으면 제자리 선회가 가능한 궤도 차량과 달리 차륜형 차량은 좌우 키를 누르는 것만으로는 (차륜이 조향은 되지만) 차체가 움직이지 않으니 차체 컨트롤에 유의하자. 특수기술로 적을 스팟한 후 행동을 계속적으로 주시하고 데미지를 더 입히게 하는 마크 타켓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하는 전차도 표적 지정이 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표시가 뜨고 경고음이 들린다.

4.2 장갑전투차량 목록

  • M113 1티어 보병전투차(AFV)
  • LAV-150 2티어 장갑전투차(AFV)
  • BMP-1 3티어 보병전투차(AFV)
  • AMX-10P 3티어 보병전투차(AFV)
  • XM800T 3티어 장갑전투차(AFV)
  • Swingfire 4티어 장갑전투차(AFV)
  • BMD-1 4티어 장갑전투차(AFV)
  • BMP-1P 4티어 보병전투차(AFV)
  • FV721 Fox 5티어 장갑전투차(AFV)
  • BMP-2 5티어 보병전투차(AFV)
  • BMD-2 5티어 장갑전투차(AFV)
  • VBL 6티어 장갑전투차(AFV)
  • BMP-3 6티어 보병전투차(IFV)
  • M2 브래들리 6티어 보병전투차(IFV)
  • BMPT 터미네이터핵OP 6티어 장갑전투차(AFV)를 가장한 MBT (프리미엄,파운더 팩)
  • BMP-3M 7티어 보병전투차(IFV)
  • Wiesel 1 7티어 장갑전투차(AFV)
  • BMD-4 7티어 장갑전투차(AFV)
  • FV510 워리어 8티어 보병전투차(IFV)
  • BMOP Ramka-99 8티어 장갑전투차(AFV)
  • Panhard CRAB 9티어 장갑전투차(AFV)
  • BMPT-72 9티어 장갑전투차(AFV)
  • SPHNIX 10티어 장갑전투차(AFV)

4.3 PVP 공략

목숨을 걸고 적의 정보를 전달하는 관측병. AFV는 시야가 매우 넓으며 위장 계수도 높기 때문에 등대정찰에 최적화된 모습을 보인다. 자리만 잘 잡으면 적의 이동을 빤히 보면서 아군이 신나게 적을 사격하는 모습을 구경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력도 출중하여 전장 주요 지점을 재빠르게 왔다 가는 강행정찰을 하거나 또는 아군이 수월하게 진격할 수 있도록 적진을 빠른 속도로 휘저어서 어그로를 끄는 방식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농구에 비유하자면 경전차가 적의 측면을 공략하는 슈팅 가드의 역할을 한다면 AFV는 적의 진영을 파악하고 공략하게 해주며 혼란도 주는 포인트 가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공격력과 방어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눈치를 잘봐야하며 그렇지 못한다면 순삭을 당할 수 있다. 다만 AFV라고 해도 적의 후방을 잡으면 신나는 딜타임을 가질 수 있으니 이 또한 노려보는 것도 좋다.

4.4 PVE 공략

서브미션 클리어의 제왕 빠른 속도와 가속력을 바탕으로 제한 시간 안에 서브미션을 빠르게 공략할 수 있으며 이는 팀원 전체의 보상을 늘려줄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넓은 시야로 적 AI를 정탐하는 것 또한 AFV의 임무이다. 다만 체력과 공격력이 약하기 때문에 생존 자체가 중요하며 무턱대고 공격에 가담하다가는 되받아야 할 리스크가 크다. 다만 체력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적의 후방을 잡아 마무리하는 딸피 처리반 정도의 역할은 가능하다. 또 하나의 중요한 임무는 적의 노란색 네임드 탱크에게 마크 타겟을 걸어주는 것이다. 마크 타겟을 걸면 걸린 적에게 아군이 사격을 가할 때 데미지가 더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레이드에서 상당히 유용한 디버프기이다.

5 대전차 차량(Tank Destroyer)

5.1 소개

현재로써는 궤도식 구축전차가 나오지 않았기에 이 카테고리에는 차륜형 구축전차만이 등장한다. 긴 주포 사정거리와 빠른 기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약한 차체를 가지고 있기에 위치가 발각되면 자주포나 적 AFV에게 털릴 수 있다. 7티어를 시작으로, 한방이 강력한 센타우르 120과 재장전시간을 점점 줄여나가는 LAV-600 나뉘며 현재는 재장전 시간을 극한까지 줄여놓은 쪽의 트리만이 나와있다. 종합하자면 저격하는 맛이 일품인 차량이다. 병과 특수 기술은 은폐사격으로, 발포시 위장수치 감소도가 사라진다. E키로 스킬 발동후 6초의 시간이 주어지며 유저는 이 시간내에 사격을 해야만한다. 만약 시간내에 사격을 했다면 사격의 결과와는 상관없이 사격의 유무만으로 2번 더 은폐사격이 가능하다.

5.2 대전차차량 목록

  • Dragon 300-90 3티어 구축전차(TD)
  • LAV-150 90 3티어 구축전차(TD) (프리미엄)
  • LAV-300 4티어 구축전차(TD)
  • ERC-90 F4 5티어 구축전차(TD)
  • 센타우로 6티어 구축전차(TD)
  • MOWAG TAIFUN II 6티어 구축전차(TD) (operation typhoon 팩에 포함된 프리미엄 전차)
  • LAV-600 7티어 구축전차(TD)
  • 센타우로 120 7티어 구축전차(TD)
  • PTL- 02 Assaulter 7티어 구축전차(TD) (프리미엄)
  • M1134 7티어 구축전차 (TD) (프리미엄)
  • M1128 MGS 8티어 구축전차(TD)
  • 센타우로 155 8티어 구축전차(TD) (삭제)[1]
  • B1 Draco 9티어 구축전차(TD)

5.3 PVP 공략

초장거리 기동 스나이퍼. E키를 눌러 특수능력을 켠 상태에서 사격하면 스나이퍼 보너스가 발동이 되며 명중률도 매우 높기 때문에 초장거리 적을 사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게다가 기동 속도도 빨라서 좋은 자리를 먼저 선점하고 매복 사격하는 방식도 매우 유효하다. 또한 연사속도가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탄약 교환이나 리드샷에서 매우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최종 테크인 MGS 스트라이커는 4초대 장전을 찍으니 말 다했다. 그러나 차체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매복 위치가 노출되었다면 속히 그 자리에서 이탈하자. 또한 시야도 좁기 때문에 아군 AFV와의 연계도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한자리를 너무 믿으면 안되고 되도록이면 2차 저격 포인트 까지 생각해두자.

5.4 PVE 공략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스나이퍼 보너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 AI의 피를 쫘아악 빼놓는데에 1등 공신이다. 그러나 약한 차체는 PVE에서 최대의 단점으로 꼽히기 때문에 너무 깔짝대면 순식간에 딸피가 되기 때문에 주력전차 뒤에서 멀치감치 떨어져 지원 사격하는게 훨씬 좋다. 이 때문에 시가전에서는 활용하기 매우 힘들며 자주포처럼 맵발을 많이 타기도 한다. 조심조심 운영하면서 저격포인트를 찾아서 공략하도록 하자.
  1. 오직 고폭탄만 운용이 가능했는데, 발당 데미지가 1000데미지가 넘어갔다. 이로인해 경장갑차량들은 맞으면 빈사상태고 주력전차들도 약점사격시 1/3씩 쭉쭉 빠졌던지라 밸런스 문제로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