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OCG 시리즈 정보

1 부스터 팩

※ 한국판 기준, 발행 순서 대로 기재

1.1 1~3기 통합 팩

일본판의 1~3기의 해당하는 카드들이지만, 미국과 미국의 수록 방식을 따른 한국에서는 이것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왔다. 따라서 엄밀히는 한국에서는 이 팩들이 1기고 그 뒤 팩들의 기수를 2씩 빼주는게 맞겠지만 세계적으로 같은 기준에서 설명하기 위해 이렇게 표기한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4기 이전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OB강철의 습격자MRD
마법의 지배자SRL파라오의 사도PSV
악몽의 미궁LON어둠의 유산LOD
왕가의 수호자PGD매지션의 힘MFC
암흑의 위협DCR혼돈의 지배IOC
천공의 성역AST

이 중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강철의 습격자, 마법의 지배자, 파라오의 사도, 악몽의 미궁의 앞 5개의 부스터 팩들은 한 팩당 1000원에 카드 수 10장으로 발매되었으나 이후의 팩부터는 한 팩당 가격 500원, 카드 수 5장으로 조정되었다. 앞의 5개 부스터 팩들도 재판시엔 후기판과 같은 방식으로 발매. 다만, 한글판 이라는 문구 아래에 가격을 표시해 주었다.

1.2 4기 팩

이때부터 전술의 발전만 빼고(…) 일본판과 동일한 구성으로 나오게 되었다.

얼티밋 레어라는 신규 레어가 도입되었다. 이 시기에 한국만 예외적으로, 모종의 이유로 인해 홀로그래픽 레어도 도입되었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4기
듀얼리스트의 투혼SOD운명의 시작RDS
영원한 화염FET잃어버린 천년TLM
사이버 혁명CRV절대원소의 힘EEN
무한의 그림자SOI정의의 적EOJ

1.3 5기 팩

전술의 발전에서 홀로그래픽 레어가 처음 도입되었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5기
듀얼리스트의 능력POTD사이버 다크의 격돌CDIP
네오스의 공격STON파괴자의 힘FOTB
전술의 발전TAEV검투사의 급습GLAS
환영의 어둠PTDN파괴의 빛LODT

1.4 6기 팩

이 시점부터 유희왕 5D's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 룰도 마스터 룰이 된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6기
듀얼리스트의 태동TDGS혼돈의 교차CSOC
심홍의 위기CRMS장렬한 전투RGBT
태고의 예언ANPR광속의 스타더스트SOVR
절대적인 힘ABPF빛나는 어둠TSHD

1.5 7기 팩

제너레이션 포스부터 유희왕 ZEXAL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 룰도 엑시즈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 2로 바뀌었다. 익스트림 빅토리까지는 5D's의 카드이다.

그리고 아닌 경우도 있지만 왜인지 대원이 부스터 명을 영어 발음대로 쓰는 경우가 생겼다. 카드 모양이 바뀌기 시작한 팩이기도 하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7기
듀얼리스트의 혁명DREV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BL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STOR익스트림 빅토리EXVC
제너레이션 포스GENF빛의 충격파PHSW
오더 오브 카오스ORCS갤럭틱 오버로드GAOV

1.6 8기 팩

8기부터 카드 디자인이 일신되었다. 일러스트가 들어가는 부분이 소폭 확대되었고, 텍스트의 분량에 따라 폰트 크기를 조정하여 가독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폰트 크기 건에서 호불호가 갈리고 있어서 신판 카드가 아무리 개사기여도 구판만 쓰겠다는 사람들도 소수 생겼다. 그런데 이런 사기 카드군이 나와서 꽤나 흔들릴듯.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부터 한글판/일본판에서만 나오는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도입되었다.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8기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DU어비스 라이징ABYR
우주의 섬광CBLZ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TGY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OTL섀도우 스펙터즈SHSP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VAL프라이멀 오리진PRIO

1.7 9기 팩

이 시점부터 공식 명칭이 유희왕 ARC-V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되었고, 룰도 펜듈럼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 3으로 개정되었다. 또한 9기 시리즈부터는 이전부터 간간히 나오던 듀얼터미널 후속카드들이 주를 이루면서 제 3의 듀얼터미널 스토리를 충실하게 이어나가고 있는중이다. 은근 스토리를 바라면서 팩이 빨리 나오기를 바라는 팬들도 많은것 같다. 이때부터 한가지 소환법이 아닌 다양한 소환법을 지원하는 터라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들이 울트라 레어를 먹는 비율이 낮아지고 OCG오리지날 카드들한테 울트라 레어가 많이 배정되었다. 또한 디멘션 오브 카오스까지 나온 팩의 메인 몬스터들은 전원 드래곤족 출신이었다가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의 메인 몬스터는 마법사족으로 나왔다. 또한, 2015년을 기점으로 효과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원래대로 돌아왔다.

8번째 팩인 샤이닝 빅토리즈 이후 발매되는 팩이 챕터의 시작을 알리는 "더 듀얼리스트" 시리즈가 아닌 더 다크 일루전으로 확정되면서, 이 팩이 9기의 9번째 팩이 되어 4기 때부터 전해 내려오던 전통인 한 시리즈마다 속해 있는 부스터팩이 8개라는 전통이 최초로 깨졌다! [1]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9기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DUEA넥스트 챌린저스NECH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E크로스오버 소울즈CROS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ORE디멘션 오브 카오스DOCS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OSH샤이닝 빅토리즈SHVI
더 다크 일루전TDIL인베이전 오브 베놈INOV
레이징 템피스트RATE맥시멈 크라이시스MACR

1.7.1 9기 번외팩

1.8 번외 확장팩

1.9 한국 미발매

1.9.1 1기 팩

1.9.2 2기 팩

이하는 전부 국내,북미 발매시 두 개씩 통합되었다.

  • 환영의 소환신 (Phantom God)
  • 암흑마룡의 부활 (Revival of Black demons dragon)
  • 아누비스의 저주 (Curse of Anubis)
  • 천 개의 눈의 마술서 (Thousand Eyes Bibble)
  • 가면의 주박 (Spell of Mask)
  • 어둠을 다스리는 자 (Struggle of Chaos)
  • 소생 혼 (Mythological Age)

1.9.3 3기 팩

  • 새로운 지배자
  • 유니온의 강림
  • 흑마도의 패자
  • 가디언의 힘
  • 혼돈을 다스리는 자
  • 암흑의 침략자
  • 파라오의 유산
  • 듀얼리스트 레거시

1.10 여담


보면 알겠지만 초록-노랑-빨강-주황-파랑-보라-검정-하양순으로 부스터팩 색깔이 계속 바뀌고 있다.

4기 이전 부스터팩에는 갈색 부스터팩도 있었으나[2] 삭제됐다.

또한, 4기 이전의 팩의 초록색 팩에는 지배자라는 이름이 들어갔으나, 그 이후 팩에서는 듀얼리스트라는 이름이 들어간다. 또한 그 팩은 대체적으로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거나 한다. 엑시즈 소환은 그 팩 이전에 나왔지만.

각 팩도입된 개념 & 기타 변경점
마법의 지배자속공 마법 카드
새로운 지배자카드군
듀얼리스트의 투혼Lv. 몬스터
듀얼리스트의 능력융합 카드 종류의 증가[3]
듀얼리스트의 태동싱크로 몬스터
듀얼리스트의 혁명싱크로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한 속성 서포트가 대거 나옴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펜듈럼 몬스터, 텍스트 형식의 변경

검정색 팩에서는 다크화, 메타성을 지닌 카드가 주로 나온다.

각 팩주요 카드
무한의 그림자삼환마, 종언의 왕 데미스, 황천 개구리
환영의 어둠다크 암드 드래곤
절대적인 힘배틀 페이더
오더 오브 카오스인잭터
레거시 오브 더 바리안트CNo.101 S·H·Dark Knight, 여휘사 벨즈뷰트

하얀색 팩에서는 백화, 카운터 계열 카드가 주로 나온다.

각 팩주요 카드
정의의 적디클레어러
파괴의 빛라이트로드, 어니스트
빛나는 어둠퍼펙트 디클레어러
갤럭틱 오버로드라이트레이
프라이멀 오리진타키온 트랜스미그레이션
샤이닝 빅토리즈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파랑색 팩에서는 커버 카드가 주로 드래곤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였으나,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더 다크 일루전에서 잠시 깨졌다.

각 팩커버 카드종족
사이버 혁명사이버 엔드 드래곤기계족
전술의 발전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드래곤족
태고의 예언고대 요정 드래곤드래곤족
제너레이션 포스No.17 레비아단 드래곤드래곤족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전사족
클래시 오브 리벨리온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드래곤족
더 다크 일루전니르바나 하이 파라딘마법사족

보라색 팩에서는 기존 몬스터의 강화형이 커버 카드를 장식하고 있다. 빛의 충격파에서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 푸른 눈의 백룡의 오마쥬격 몬스터이기 때문에 예외.

각 팩커버 카드진화 전 카드
절대원소의 힘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검투사의 급습엘리멘틀 히어로 카오스 네오스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광속의 스타더스트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스타더스트 드래곤
빛의 충격파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푸른 눈의 백룡
섀도우 스펙터즈CNo.96 블랙 스톰No.96 블랙 미스트
디멘션 오브 카오스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레드 데몬즈 드래곤

2 스트럭처덱/스타터 덱

※ 한국판 기준, 발행 순서 대로 기재

2.1 스타터 덱

2.1.1 9기 스타터덱

2.1.2 한국 미발매

2.2 스트럭처 덱

2.2.1 9기 스트럭처덱

2.2.2 한국 미발매

섬광의 파동과 암흑의 주술은 미국에서도 발매되지 않았다. 종교적인 이유 때문으로 추측된다. 위의 이름들은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사용된 현 시점에서 가장 공식에 가까운 명칭.

3 토너먼트 팩

유희왕/기타 카드 일람에 정리되어 있다.

4 그 외

국내판 기준, 발매 순서 대로 정렬.

4.1 게임 동봉

4.2 한국 미발매

4.3 OCG화 되지 않은 카드

그 이외는 유희왕/기타 카드 일람참고.

  1. 더 정확히 말하자면 기수 변경 주기가 어긋났다. 본래 2~5기 때에는 격년 5월 중순을 기점으로 기수 변경이 있었고, 6~8기 때에는 격년 3월 중순을 기점으로 기수 변경이 있었으나 2016년 4월 1일 이후로도 9기 부스터 팩들이 신상으로 출시되고 있는 상황.
  2. 왕가의 수호자, 파라오의 유산
  3. 미래융합-퓨처 퓨전, 오버로드 퓨전이 여기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