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계보 | |||
조지 워싱턴급 전략원잠 | >> | 이튼 앨런급 전략원잠 | >> |
세계 최초의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
라파예트급 전략원잠 | >> | 제임스 메디슨급 전략원잠 | >>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
벤저민 프랭클린급 전략원잠 | >> | 오하이오급 전략원잠 | >>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
컬럼비아급 전략원잠 | >> |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잠수함 | 재래식 | 텐치급M/R, 바라쿠다급 (2대)R, 탕급R, 고틀란트급L |
SSN |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메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 |
고속정 |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 | |
호위함 | 브론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 |
연안전투함 |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
구축함 | 구축함 | 기어링급 FRAM-I/IIM/R, 미처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방공구축함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 |
이지스구축함 |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 |
순양함 | 순양함 | 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
방공순양함 | 보스턴급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
핵추진 방공순양함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이지스 순양함 | 타이콘데로가급 | |
전함 | 아이오와급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 샌 안토니오급 | |
LSD |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제너럴 프렝크 S. 베송급 | |
LST | 뉴포트급R | |
소해함 |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미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 |
항공모함 | 재래식 | 미드웨이급M/R,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
핵추진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L : 리스한 함선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오하이오는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https://pbs.twimg.com/media/Czq1S-TXcAEPkwp.jpg:large
오하이오급 잠수함을 대체할 미 해군의 차기 전략 원자력 잠수함.
1 제원
수상배수량 | 18,000톤 | |
수중배수량 | 20,810톤 | |
전장 | 171m | |
전폭 | 13m | |
흘수선 | 11m | |
동력원 | 원자력 터보 일렉트릭 펌프제트 | |
기관출력 | 미상 | |
수중속도 | 25노트 이상 | |
잠항심도 | 미상 | |
승무원 | 미상 | |
무장 | 533mm 어뢰발사관 x4 (공통) | Mk.48 ADCAP/CBASS 어뢰 |
UGM-133 트라이던트 II x16 |
2 개요
어뢴 줄
미 해군은 핵 억제 전력의 중추로 오하이오급 잠수함을 유지 중이지만, 대략 2030년 즈음이면 오하이오급 잠수함중 그나마 가장 짧은 연식의 함정은 32년, 최고령은 무려 50년의 선령에 육박하게 된다. 이 시기에 오하이오급 함정의 첫번째 퇴역이 있을 예정이고, 이런 흐름에 맞춰 원활한[1] SSBN의 머릿수를 유지하는 것이 이 계획의 목표인데, 2012년 미 해군이 생각한 오하이오급 대체 계획의 알맹이는 다음과 같다.
- 총 12척 건조 & 선체 수명은 오버홀과 핵연료의 교환없이 약 42년을 기대. (이제 신형 함정의 건조에 별놈의 오만가지 애로사항들이 다 생기니까 일단 하나 만들어놓으면 무조건 뽕을 뽑을 수 있도록 하자.)
- 추후 이것저것 갖다놓고 개량하면 공간이 모자랄테니까 배수량은 넉넉하게 20,000톤 정도로 해놓고, 탄도탄 발사관은 16개 & 발사관 뚜껑 지름은 오하이오급과 동일한 2.21m (87인치)로 하자. (그래야 미사일이 멀쩡하게 나가지..)[2]
- 212급처럼 X자 형태의 함미 종횡타 채용, 수평타는 함교에 위치[3]
- 펌프제트 & Electric Drive 추진[4]
- COTs (Commercial off-the-shelf : 상용제품)를 사용[5]
- 영국도 뱅가드급 대체해야 할테니까 걔들도 끌어들여서 같이 작업해보세...(드레드노트급 잠수함)
건조비용으로 척당 최소 49억 달러를 생각하고 있다. 일단 입이 떡 벌어지는 비용은 둘째치고 개념연구와 설계, 트라이던트 탄도탄의 수명연장/업그레이드까지 병행해야 하는 고난이도의 프로젝트이기에 아직 뭐 하나 딱 부러지게 나온 것은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어떻게든 건조비를 줄여보고자 버지니아급의 설계와 오하이오급의 선체를 적절히 개량/조합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등 열심히 노력은 하고 있는 중이다.
2013년 국방예산 절감대책에 의해 오하이오급 대체계획이 2년 연기됐는데, 미 국방부는 그 정도는 감수할만 하다고 일단 말은 해놨지만, 차후에도 이래저래 풍파를 겪을 것이 너무나 뻔하기에 그저 눈물만 콸콸 앞날은 불투명할 따름이다. 그러나 SLBM을 통한 핵투사 능력은 대체할 수 있는 수단도 없고, 미국이 절대 포기할 리도 없기 때문에, 죽이되든 밥이되든 이 계획은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많다.
결국 오하이오급 대체계획은 2016년 확정되었으며, 2016년 12월 14일 레이 메이버스 미 해군청장관이 1번함의 함명을 SSBN-826 컬럼비아 함으로 명명함을 발표했다.#
건조사인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 사는 컬럼비아급과 영국의 드레드노트급 잠수함에 공통으로 사용될 탄도미사일 발사관의 개발도 시작했다. 발사관 4개가 한 단위가 되는 쿼드팩 개념인 점이 이전 SSBN들과 다른 점이다.기사
3 컬럼비아급 잠수함 목록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기타 | |
1 | SSBN-826 | 컬럼비아 (Columbia) | 2021년 예정 | 2085년 예정 | 건조 예정 |
4 관련 항목
- ↑ 태평양과 대서양에 상시 작전상태로 각각 2척씩 풀어놓으려면 최소 10척은 건조해놔야 한다는 분석이 있지만, 전략사령부는 아무리 못해도 12척 이상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사실 새로운 탄도탄의 개발을 대비해서 애초 2.46m (97인치)로 계획했지만, 비용을 낮추기 위해 기존의 트라이던트를 개량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타협했다. 그래서 트라이던트 D5 LE (Life Extension)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건 또 1발당 7,000만 달러의 개량비용이 예정되어 있다(...)
- ↑ 지금의 오하이오급과 같은 형태다. 아마도 SLBM의 특성상 북극에서 얼음 뚫고 올라갈 일은 없을테니까, 시울프급이나 버지니아급 등의 인입식 수평타를 지닌 SSN과는 다르게 함교가 T자 모양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런 잠수함이 얼음 뚫어보겠다고 나섰다가는 수평타가 손상을 입거나 선체가 골병이 드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 원자로의 증기로 발전기를 돌리고 그 전력을 모터로 보내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방식인데,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기어 따위의 복잡한 기계장치가 아닌 전류의 제어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기에 구조가 단순해지고 소음도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1960년대에 몇몇 핵잠수함을 대상으로 테스트는 해봤는데, 효율이 한심해서 속도가 느렸고 유지비용도 많이 나오게 생겨먹어서 그냥 흑역사 취급해버렸지만,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문제 없을 것이라 판단하는 듯 하다. 그런데 이 일렉트릭 드라이브 방식은 프랑스 해군의 루비급과 중국 해군의 한급 잠수함에서 사용중이다.
- ↑ 군용으로 개발/개조된거만 고집하지 않고, 민간에서 개발된 기술이나 제품도 널리 적용해서 건조비용을 줄여보겠다는 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