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티호크급 항공모함

미국 항공모함의 계보
정규항공모함
랭글리>>렉싱턴급>>레인저>>요크타운급>>
석탄운반선을 개조순양전함 → 항공모함완전 개방식 격납고
와스프>>에식스급>>미드웨이급>>포레스탈급>>
현측 승강기 첫 탑재장갑갑판 적용경사 비행갑판 적용
키티호크급>>엔터프라이즈>>니미츠급>>제럴드 R. 포드급
마지막 재래식 항공모함최초의 원자력 항공모함핵-전기 추진 방식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잠수함재래식텐치급M/R, 바라쿠다급 (2대)R, 탕급R, 고틀란트급L
SSN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GN오하이오급*
SSBN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메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
호위함브론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연안전투함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구축함구축함기어링급 FRAM-I/IIM/R, 미처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이지스구축함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순양함순양함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보스턴급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핵추진 방공순양함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이지스 순양함타이콘데로가급
전함아이오와급R
상륙정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LHA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HD와스프급
LPD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 샌 안토니오급
LSD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제너럴 프렝크 S. 베송급
LST뉴포트급R
소해함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미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항공모함재래식미드웨이급M/R,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L : 리스한 함선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오하이오는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USS_Kitty_Hawk_CV-63.jpg
CV-63 Kitty Hawk 리즈시절

Kitty Hawk Class Aircraft Carrier
미 해군이 건조하여 1961년에서 2009년까지 운용한 항공모함으로, 미 해군 최후의 재래식 추진방식의 항공모함이다.

1 제원

이전급포레스탈급 항공모함
차기급니미츠급 항공모함
키티호크컨스텔레이션아메리카존 F. 케네디
기준배수량62,335톤61,982톤62,156톤60,728톤
만재배수량83,301톤82,538톤84,914톤82,655톤
길이 (비행갑판)325m332m319m321m
폭 (비행갑판)86m86m76m77m
폭 (수면)40m40m39m40m
흘수선12m12m12m11m
추진방식증기터빈 4축식
기관출력280,000마력
속도33노트34노트34노트34노트
승무원5,624명5,630명5,186명5,000명+
무장RIM-7 시스패로우
RIM-116 RAM[1]
Mk.15 팰렁스 CIWS
RIM-7 시스패로우
Mk.15 팰렁스 CIWS
RIM-7 시스패로우
Mk.15 팰렁스 CIWS
RIM-7 시스패로우
RIM-116 RAM
Mk.15 팰렁스 CIWS
탑재 항공기수85대72대79대80대+

2 개요

키티호크급 항공모함은 만재배수량 80,000톤급 초중반의 항공모함으로 수퍼캐리어로서는 두번째이다. 모두 4척이 건조되었으며 1955년부터 취역한 포레스탈급 항공모함과 1975년부터 취역한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사이에 있다.

1996년 CV-66 아메리카를 필두로 퇴역이 시작되어 2009년 1번함 CV-63 키티호크를 마지막으로 키티호크급은 완전히 퇴역했고, 키티호크급 항공모함의 임무는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으로 모두 이관되었다.

중간에 번호가 하나 비는 것은 CVN-65 엔터프라이즈 때문이고, CV-67 존 F. 케네디는 따로 떼어 비공식적으로 존 F. 케네디급이라고도 한다.[2]

3 설계사상

일단 포레스탈급 항공모함의 후계함으로 계획된 항공모함으로 사실 배수량이 조금 더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포레스탈급과는 스펙상에서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지만, 결정적인 차이점 하나가 전작과의 차별성을 이끌어냈다.

포레스탈급은 매우 성공적인 수퍼캐리어였지만 당시에는 빠르게 함재기를 수용하고 갑판으로 끌어올리기위한 목적으로 만든 4번 엘리베이터가 막상 운용을 해보니 함재기가 이착함을 하는 동안에는 경로를 방해하기 때문에 써먹을 수도 없는 실정이었고, 3번과 4번 캐터펄트까지 고자로 만들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3] 결국 키티호크급에서는 4번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바꿔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갑판에서의 항공기 운용효율을 끌어올렸는데, 이러한 설계는 니미츠급 항공모함으로 이어저 사실상 대형 항공모함설계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대략 80여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니미츠급과 비슷한 수치이다. 다만 재래식 추진이라는 한계때문에 연돌이 필요하여 함교의 대형화는 피할 수 없고, 원자력 추진에 비해 항공유 및 탄약 탑재량의 부족, 짧은 항속거리 등의 여러 문제가 있어 2009년을 끝으로 모조리 원자력 추진식으로 모두 교체되었다.[4]

4 운용 및 처분

원래 키티호크급은 2척만 건조되고 사업이 종료될 예정이었는데, 가장 큰 이유로는 키티호크급을 설계하던 당시 미 해군은 장시간 작전이 가능한 원자력 추진 군함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었고, 이에 따라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를 시범적으로 건조하고 이후의 항공모함은 모두 엔터프라이즈의 사양을 따르거나 건조 및 운영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수정하여 새로운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쪽으로 계획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엔터프라이즈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당시 돈으로 무려 4억 5천만 달러라는 무식하게 막대한 비용이 들자 아무리 돈지랄 미국이라도 결국 핵추진 항공모함 건조계획이 전면 백지화되었다. 그렇다고 뽑기로 한 항공모함을 안뽑을 수도 없는 상황이라 기존의 키티호크급으로 변경하여 다시 발주하였다. 그 결과 키티호크급이 2척 더 건조되었고, 번호가 중간에 하나 건너뛰게 되었다.

키티호크급이 건조되고 취역한 시기가 1960년대 초~후반 사이였기 때문에 각각 소속된 부대에 따라서 베트남전에 참전하거나, 중동전쟁 등으로 인해 지중해로 파견되어 활동하였고, 이후 미국이 개입한 그레나다 침공이나 리비아 공습, 걸프전 등지에 얼굴마담처럼 내밀었다. 하지만 베타 테스트 수준에 불과하던 엔터프라이즈와는 달리 효율면에서도 뛰어난 니미츠급 항공모함이 건조되고 안정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기름 퍼먹는 하마와도 같은 재래식 항공모함을 유지할 명분이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그래도 CV-63 키티호크와 CV-64 컨스텔레이션의 경우에는 미 해군의 필요에 의해 운용연한을 연장시켰지만, CV-66 아메리카부터 키티호크급의 운용연한을 연장하지않기로 결정하면서 순차적으로 퇴역하는 바람에 후속함들이 네임쉽인 키티호크보다 먼저 퇴역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아무래도 원자폭탄을 얻어맞은 부작용으로 핵이라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일본때문에 일본에 주둔하고있는 제7함대에는 비핵추진 항공모함을 배치하는 암묵의 룰이 있었다.[5] 하지만 키티호크가 퇴역하면서 이젠 니미츠급이 상주하고있다.

3번함인 CV-66 아메리카는 차기 항공모함 건조시 항공모함에 대한 위협과 그 피해수준을 반영하겠다는 이유로 대함미사일, 함포, 자유낙하폭탄, 레이저 유도폭탄, 기관포, 어뢰, 기뢰 등등 온갖 무식한 방법으로 테스트하다 바다로 수장[6]시켰다(...)

미 해군이 퇴역한 군함들을 다른 나라에 퍼주는 사례가 많다보니, 더 이상 필요없어진 키티호크급을 미국이 우방국에 공여하지않을까란 이야기를 하면서 살짝 한국에 거저줬으면 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사람들도 있지만 미국은 아직까지 수퍼캐리어 사양의 항공모함을 우방국에 퍼준 사례가 없다[7]. 사실 이건 거저준다고 해도 어마어마한 유지비를 잡아먹는 킹왕짱 돈지랄 괴물이라서 함부로 굴리다가는 우리가 자빠진다(...)[8]

5 키티호크급 항공모함 목록

함번함명기공일취역일퇴역일상태
1CV-63키티호크1956.12.271961.04.292009.01.31예비역 보관중
2CV-64컨스텔레이션1957.9.141961.10.272003.08.07스크랩
3CV-66아메리카1961.1.91965.1.271996.08.092005년 5월 14일 훈련목표물로 사용후 수장(...)
4CV-67존 F. 케네디1964.10.221968.9.72007.08.01박물관으로 개장하기 위해 모금중[9]

6 각 함정 상세사항

  • 1번함 키티호크 (CV-63 USS Kitty Hawk)

이름은 라이트 형제가 동력비행기 실험을 성공시킨 장소인 노스 캐롤라이나주 소재 키티호크 해변에서 따왔다. 뉴욕 조선소에서 건조했고 [10] [11] 미 해군 사상 USS 컨스티튜션 (Constitution) 다음으로 오랜 기간 현역이었다.[12] 2015년 현재는 장기보존상태로 처리되어 2016년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1번함이 취역하면 그 이후에 제적 및 처분이 예상되었는데, 그동안의 공적을 생각하여 박물관으로 개조한다는 얘기가 있다.

베트남 전쟁, 보트피플 구조, 팀스피리트 훈련, 걸프전 이후 이라크 비행금지구역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했고 1998년부터는 일본 요코스카에 전진배치되어 2008년에 니미츠급 항공모함 CVN-73 USS 조지 워싱턴과 교대하기로 했으나.. 당해 5월 22일 조지 워싱턴에 화재가 발생하는 바람에 교대시기가 늦어졌다. 하지만 이 덕에 2008년 림팩 훈련에 조지 워싱턴 대신 참가함으로서 '미 해군 최후의 재래식 항공모함의 마지막 훈련'이라는 화려한 퇴역식(?)을 치룰 수 있었다. 결국 현역 임무는 다음해인 2009년 1월 31일에 완전히 종료됐고, 퇴역후 예비전력으로 편입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통킹만에 정박하여 속칭 양키 스테이션 (Yankee Station)에 머물던 도중, 1972년 10월 12일에 함내 폭동사태가 일어났다. 흑인 수병들은 함내 인종차별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었고, 특히 흑인 수병들이 강등 등의 중한 처벌을 받는 반면, 백인 수병들에게는 가벼운 조치만 가해진다고 믿고 있었다. 그래서 100여명 가량의 흑인 수병들이 의무실에 수용되어 있던 부상 백인 수병들을 습격했다. 이 폭동으로 60명 가량이 부상을 입고 3명은 중상을 입었다.

별명이 좀 이상하다. Shitty Kitty라고 하는데, 유래는 함선의 화장실을 통해 모아진 대/소변들을 버리기 위해 배출할 때 유독 냄새가 혼자 심하기 때문이라 카더라(...)

영화 최후의 카운트다운에서 카메오 출연을 한 적이 있다.

  • 2번함 컨스털레이션 (CV-64 USS Constellation)

이름의 유래는 성조기에 수놓아진 별들. 공식적인 별명은 "America's Flagship"이며, 수병들 사이에서는 애칭인 Connie (여자이름인 콘스탄스의 애칭)로 불렸다. 뉴욕 해군 조선소(at 브루클린) 에서 건조되었으며, 2003년 8월 6일 퇴역.

실전참가는 1964년 부터이며 CVW-14 항공대 소속 에버렛 알바레즈 주니어 (Everett Alvarez Jr.) 중위가 A-4 스카이호크 공격기로 출격했다가 격추되어, 월맹군에 잡힌 미군 포로 1호가 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이 굴욕은 1972년 1월 19일, 새로이 탑재된 CWV-9 소속 VF-96 파이팅 팰콘스의 랜달 커닝햄 (Randall H. Cunningham) 소령과 윌리엄 드리스콜 (William P. Driscoll) 중위가 탑승한 F-4J 팬텀 전폭기가 월맹군의 MiG-21을 격추시켜 1970년 5월 28일 이후 킬마크를 못올린 미 해군 항공대의 체면을 세워줬다.

14개월간의 업그레이드를 거친 후 1978~1979년에는 예멘 사태의 대처를 위해 인도양으로 파견되었으며, 북핵문제가 그러난 이후 1994년 5~6월 까지는 림팩 훈련에 참가하고 1997년에는 페르시아 만 해상통제,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같은 해 8월 7일에 퇴역..

1960년에 함체 건조의 마지막 단계에 화재사고를 당했고 17시간만에 꺼졌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이 사고로 취역이 7개월 늦춰졌다.

퇴역 이후 쭉 워싱턴 주 Bremerton 해군 공창에서 보관되다, 결국 2014년 텍사스 주 Brownsville의 고물상 폐선처리 업체에서 스크랩 처리됐다.

  • 3번함 아메리카 (CV-66 USS America)

1996년 8월 9일 퇴역한 이후 보관해오다 2005년 5월 14일에 각종 무기의 실험용 표적으로 활용되어 수명을 다했다. 구호는 Don't Tread On Me,[13] 별명은 The Big "A"이다. 노스롭 그루먼으로 승계된 버지니아 뉴포트 뉴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가장 먼저 퇴역한 이 항공모함에는, 1946년 이후 미 해군이 화기시험용 표적으로 격침한 첫 항공모함이자 침몰한 역사상 가장 큰 선박이라는 기록이 있다.

현역기간중 작전영역은 주로 대서양지중해로, 중동위기 (무슨 위기였는지 추가바람), 6일 전쟁, 레바논 사태, 리비아 공습, 걸프 전쟁에서 활약하였으며 월남전 참전 기록도 있다. 대서양 함대 소속이어도 등판기록은 있다

"아메리카"라는 이름은 2014년 10월에 취역한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의 1번함 LHA-6 USS America로 계승됐다.

2007년 8월 7일 퇴역[14]. 구호는 Date Nolite Rogare,[15] 별명은 Big John이다. 비공식적으로는 Bldg 67이라는 것도 있다. 노스롭 그루먼으로 승계된 버지니아 뉴포트 뉴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파란만장했던 케네디 대통령의 인생만큼이나 이 항공모함도 여러 수난에 시달렸다. 1975년 6월 20일에는 버지니아주 노포크 항에 정박도중 방화를 8건 당했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같은 해 11월 22일에는 시칠리아 앞바다에서 미 해군 순양함 벨크냅 (USS Belknap)과 충돌하여 벨크냅의 상부구조물이 대파되는 사고가 났고 벨크냅의 승무원 7명과 존 F. 케네디의 승무원 1명이 사망했다.[16] 이 때문에 캔따개라는 별명을 얻었다(...)

첫 실전은 1973년 10월 미해군의 욤키프르전에 지중해에 배치되었다. 이후 1983년에는 인도양으로 배치되어서 그 지역을 순찰하는 용도으로 사용되었다. 같은 해 12월 F14가 공격을 받은것에 대한 항의로 USS 인디펜덴스와 합동하여 A7기를 폭격작전에 사용하였는데 케네디 소속 A7과 인디펜덴스의 A6가 SAM에 격추당했다. 1989년에는 시리다만에서 2대의 리비아 MIG-23기가 F14한테 격추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1990년에는 Operation Desert shield와 Operation Desert Storm에 투입되어 작전을 시행했다. 참고로 가장 빨리 걸프전에 투입된 항공모함이다.

1976년 9월 16일에는 스코틀랜드 북부 해상에서 보급도중 구축함 보딜런 (USS Bordelon)이 통제불능상태에 빠져 존 F. 케네디에 충돌하여 대파되었고, 결국 폐함처리되고 말았다. 그리고 이 사고가 있던 당일 아침에는 캐터펄트의 오작동으로 VF-32 비행대의 F-14A 전투기가 바다에 빠져 버리는 사고까지 났다. 유실된 기체 및 AIM-54 피닉스 대공미사일을 찾는데 미국과 소련이 수면과 수중에서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2번함 CVN-79가 존 F. 케네디의 이름을 두번째로 물려받는 미 해군의 군함이 될 예정이다.

7 관련 항목

  1. 2002년 3월 Mk.29 시스패로우 런처 1개, 팰렁스 1개를 갖다버리고 RAM 런처 2기를 붙였다.
  2. 사실 CV-67의 갑판 형태는 니미츠급과 거의 비슷하다. 무늬만 니미츠급
  3. 게다가 아일랜드의 위치가 1번 엘리베이터 바로 뒷쪽에 있기에 갑판 위의 실질적인 항공기 수납면적까지 좁아져 버린 애로사항도 있었다.
  4. 키티호크급은 항해용 연료 7,828톤, 함재기용 연료 5,882톤을 적재했다. 원자력추진이라면 항해용 연료가 차지할 공간 대부분을 함재기용 연료 및 탄약 적재공간으로 돌릴 수 있다. 게다가 원자로는 산소를 소모하지않기 때문에 함교에 굴뚝을 만들 필요도 없고, 따라서 갑판 위의 난기류 때문에 함재기 이착함이 어려워지는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특히나 고유가 시대가 되면서 원자력 추진이 경제성도 확보하고있다.
  5. CV-41 미드웨이 → CV-62 인디펜던스 → CV-63 키티호크
  6. 북위 33도 9분 9초, 서경 71도 39분 7초, 수심 5,140m 지점에, 선체가 온전한 형태로 수직으로 가라앉아있다. 침몰잔해를 보고 싶다면 타이타닉 탐사급의 모험이 될 것이다.
  7.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까지는 프랑스, 스페인 등의 동맹국에 리스해주었던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이건 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중에 운용했던 1만톤급 초반의 경항공모함이다.
  8. 항공모함 자체 및 탑재항공기 운용인력만 5천명이 넘어가며, 탑재항공기도 미 해군 수준으로 맞추려면 몇조원이 든다. 게다가 항공모함 자체 유지비도 천문학적이다. 연료비도 그렇고 수천명의 승조원 (그나마 대부분의 인력을 부사관급 이상 직업군인들로 채워야 할 것이고..)들에 대한 인건비에다 각종 보급품예산 등등.. 탑재하는 수십대의 항공기의 연료/무장/정비 예산은 별도다. 이런 초대형 항공모함 1척을 제대로 굴리자면 1년 운용비만 단위로 들어갈 것이다. 미국의 국방예산은 대한민국의 국가예산보다도 많다. 게다가 항공모함의 군사적, 정치적 위상까지 생각하면..
  9. 현재 미해군과의 협상이 상당수 진행되었다
  10. 현 뉴욕 브루클린에 있는 해군 직영 '뉴욕 해군 조선소'와는 다른 민간 방위산업체였다. 영문명 New York Shipbuilding Corporation. 명칭은 뉴욕 조선소이지만, 행정규역상 뉴욕이 아닌 허드슨강 건너편 뉴저지주 캠든시티에 있었으며 존. F.케네디 대통령 당선 이후 해군의 주문이 급감하자 1968년 도산한다.
  11. 냉전시기 핵전력과 공군력 위주의 추세를 거스를 수 없었으며, 아무리 미국이라 하더라도 전쟁이 종료된 이상 2차 대전시의 엄청난 물량만큼을 발주할 수는 없다. 전시에 너무 비대해진 미국 조선업의 공급과잉이었던 셈
  12. 컨스티튜션은 1794년에 건조를 시작하여 1798년에 첫 항해를 했다. 취역기간 213년에 게다가 현역이다! 명목상으론 지금도 미 해군의 총기함.
  13. 붉은색과 흰색 가로줄무늬 위에 뱀이 그려진 미 해군 깃발 (Naval Jack) 위에 쓰여진 문구이다.
  14. 정말 여담인데 기공부터 퇴역까지가 JFK의 취임 당시 나이와 거의 같다. (만43세)
  15. "주라, 그리고 요구는 삼가라" 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케네디 대통령의 "국가가 나를 위해 무엇을 해줄까를 묻지 말고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물어라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라고 한 취임연설을 암시한다.
  16. 벨크냅에서는 화재가 발생했고, 알루미늄 상부구조물이 녹아내리는 상태에서 통제불능에 빠져 존 F. 케네디의 현측에 충돌했고, 녹던 상부구조물이 통째로 박살나 내려앉아 버렸다. 이 사고는 이후 건조하는 주요 수상함정의 상부구조물을 완전 강철제로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고, 상부구조물을 복구한 벨크냅은 1995년까지 현역임무를 잘 완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