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신영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전 · 현직 정치인을 다루고 있습니다.

정치적 · 이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어 문서를 열람할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개인적인 감정으로 인한 문서의 악의적 서술 · 편집은 민사 · 형사 상 소송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PYH2011060600610001300_P2.jpg
盧信永
1930년 2월 28일 ~

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150px-Emblem_of_the_Prime_Minister_of_the_Republic_of_Korea.svg.png
17대 진의종18대 노신영19대 서리 이한기

1 소개

한국의 전직 외교관, 관료이다.

2 생애

2.1 유년기

1930년 2월 28일 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 학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중학교 3학년때 광복이 되어 중학교 졸업후 부모님의 권유에 따라 1949년 서울로 월남하였다. 월남 후 노신영은 고구마 등을 팔며 고학을 하게 된다.

2.2 이승만 ~ 박정희 정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한 지 불과 2주 만에 6.25 전쟁이 일어나서 서울 수복 후 학도의용군에 지원하게 된다. 군 복무 중인 1953년 2월 부산에서 열린 제4회 고등고시 행정과 3부(이후 외무고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당시 규정상 군 복무자는 수습행정관으로 채용될 수 없었다. 이에 방법을 찾던 중 외국의 대학으로부터 입학허가서와 장학금 또는 재정보증서를 받고 유학시험에 합격하면 제대가 가능하였기에 유학길에 올랐다. 1955년 미국 켄터키 주립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은뒤 외무부(현 외교부)에 들어갈 수 있었다. 1968년부터 주 로스앤젤레스 총영사를 지냈다. 이때 캘리포니아 주지사였던 로널드 레이건과 친분을 쌓았고 이 덕분에 훗날 레이건이 미국 대통령이 된 후 미국과의 친교를 위해 제5공화국의 외무부장관이 될 수 있었다. 이후 1970년대 중반 박정희 정권 하에서 외무부차관을 지냈다.

2.3 전두환 정권

전두환이 대통령이 된 이후인 1980년 9월 외무부장관에 임명되었다. 외무부장관으로 있으면서 김대중의 사면, 일본과의 경제협력 차관 문제 등을 해결하였다. 1982년 당시 세지마 류조가 방한하자 일본으로부터 한국이 공산권을 방어하는 보루이고 이에 의해 일본이 안보에서 무임승차하고 있다는 논리를 펴서 경제협력 차관을 받아 내었다.[1]

1982년 6월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에 따른 민심수습책에 의해 유학성의 후임 국가안전기획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로서 1961년 중앙정보부 창설 이래, 처음으로 군인이 아닌 민간인(관료) 출신 정보기관 수장이 되었다. 처음에는 사양하였으나 전두환이 계속 권하고 유학성도 수락을 권유하면서 결국 안기부장 자리에 오르게 되는데, 이는 사실 전두환이 쿠데타에 공(?)이 많던 군부 출신개국 공신들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국가안전기획부장으로 있으면서 1982년 12월 김대중을 전격적으로 미국에 보냈다.[2] 그리고 1983년 5월에 일어난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에서는 외교적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사태를 잘 해결했으나, 이 때 군 지휘 문제를 놓고 김윤호 합동참모의장 등 군 수뇌부의 반발이 있었다. 군 수뇌부는 국가안전기획부장의 지시를 받을 수 없다며 반발하였다.[3]

그러나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해서는 완전히 미숙했는데 대표적으로 김영삼의 단식 투쟁과 상도동-동교동계 정치인들이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구성하는 데에는 대응을 거의 못했다. 애초에 외무 행정 전문가였던 노신영에게 있어 국내 공작 업무는 거의 문외한이나 다름없었기 때문.[4] 여기에 1983년 10월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가 일어났음에도 장세동 대통령경호실장과 함께 유임될 정도로 전두환의 신임이 대단했다. 사실 노신영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전 전두환 대통령이 순방지에 버마를 추가하려 하자 이범석 외무부장관과 함께 반대하였다.[5]

한편 국가안전기획부장으로 있던 시절 천안 독립기념관 건립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졸업정원제에 대해 반대하였다.

1985년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이 선전한 데 대해 책임을 지고 사표를 제출하였으나 오히려 국무총리로 임명되었다.[6] 그리하여 노태우, 장세동 등과 후계자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노태우, 정호용 등 군부 출신에 의해 견제를 받았다. 그러다 1987년 5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2.4 공직 퇴임 이후

공직을 떠난 이후에는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고려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그의 두 아들은 정세영(전 현대 명예회장. 정주영의 동생), 홍진기(전 내무부 장관, 중앙일보 초대 사장)[7]의 둘째딸과 결혼했다.

3 기타

200610260636_01.jpg
(왼쪽부터) 신동빈 롯데그룹 부회장, 반기문 UN사무총장, 노신영, 한승수 전 국무총리.

반기문 총장이 외교관으로서 자신의 롤모델로 존경했다고 전해진다.

제4공화국에서 성우 장광이, 제5공화국에서 지금 평양에선의 배우 김병기가 노신영을 연기했다. 다만 김병기 씨의 경우에는 세지마 류조와 나오는 연기는 훌륭했으나 단신에 대머리가 아니었던 관계로 싱크로율은 좀 떨어졌다.
  1. 그런데 어떤 의미에서는 역효과도 있었다. 일본의 입장에서 당시 우리나라의 입장을 모르고 있던 것도 아니고 오히려 노신영에게 당신들 나라에서는 싫어하는 국가에게 기술을 배우고 돈을 빌리러 오기도 하시오?차라리 돈이 부족하면 돈이 없으니 빌려달라고 하지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요 라면서 대놓고 면박을 줬고 결과론적으로는 당시 한국 정부가 원하는 수준의 금액의 경제 협력 차관을 얻어내지 못했다. 소노다 외상은 극언과 달리 묵묵히 노신영의 말을 듣다가 회담 내용을 살짝 흘려 버리고 아예 협상을 파탄시켜 버렸다. #
  2. 사실 노신영은 외무부 장관 시절부터 김대중을 석방시켜야 한다고 전두환을 설득해왔다. 사형시켜 버린다면 한미관계는 그 날로 끝나며, 계속 가둬놓을 경우에도 한미관계가 안 풀린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에 전두환이 김대중을 풀어주면 시끄러워진다고 우려하자 노신영이 내놓은 답이 가히 명언 수준. "외교는 줄다리기입니다. 힘들다고 줄을 놓아버리면 줄다리기조차 할 수 없게 됩니다. 줄다기리기를 하되 얼마나 잘해내느냐, 그게 외교의 관건입니다." 밀당
  3. 하필이면 여객기가 주한미군 캠프 부지에 불시착하는 바람에 외교 문제가 얽혀 군에서 해결을 못하다보니 전두환이 격노하여 노신영 안기부장이 직접 해결토록 한 것이다. 노신영만큼 외교 현안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
  4. 나중에 장세동이 안기부장을 꿰찬 뒤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노신영 안기부장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평화로웠던 것이다.
  5. 같은 이북 출신인 이범석과는 사이가 안 좋았다가 이 무렵 화해하였다. 테러가 조금 더 빨리 일어났다면 한이 되었을지도 모르는 대목.
  6. 사실 전두환은 명색이 안기부장이라는 노신영의 선거 예측이 완전히 빗나간 점을 문제삼아서 노신영을 안기부장에서 짜르긴 했는데, 이것만 빼면 그 동안 워낙 일을 잘해서 웬만하면 다른 자리에라도 앉히고 싶어했다. 헌데 안기부장은 장관급보다 높은 부총리급인지라 다시 외무부장관으로 보내기도 그렇고 해서 고심 끝에 국무총리에 임명했던 것.
  7. 홍진기는 이승만 정권의 마지막 법무부장관으로 4.19 혁명 당시 유혈진압의 책임을 지고 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어찌된 일인지 특별사면으로 어물쩍 풀려났다. 이후 삼성그룹에 들어가서 중앙일보와 TBC의 초대 사장이 되었다. 홍진기의 큰딸이 바로 이건희 삼성 그룹 회장의 부인 홍라희. 즉 이병철 삼성 그룹 창업자와 사돈관계로 그가 삼성에서 매스컴 분야를 책임지게 된건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