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소요산, 광운대, 청량리 방면
동묘앞

0.6 km
동대문
(128)

0.8 km
인천, 신창, 서동탄 방면
종로5가
4호선
당고개 방면
혜 화

1.5 km
동대문
(421)

0.7 km
오이도 방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

다국어 표기
영어Dongdaemun
한자東大門
중국어东大门
일본어トンデムン
역번
서울 지하철 1호선128
서울 지하철 4호선421
300px
서울 지하철 1호선 역명판 크게보기
300px
서울 지하철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서울 지하철 4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대문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02
(舊 창신1동 552)
서울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 308
(舊 종로6가 69)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 />?width=100
1호선 개업일1974년 8월 15일
4호선 개업일1985년 10월 18일

東大門驛 / Dongdaemun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1호선), 지하 4층(4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1호선), 1면 2선(섬식 승강장, 4호선)
  • 반대편 횡단 : 가능

1 개요

서울 지하철 1호선 128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02(舊 창신1동 552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4호선 421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 308(舊 종로6가 69번지) 소재.

2 역명

조선시대 4대문 중 하나인 흥인지문(동대문)이 이 역 위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3 역 정보

2006년, 칙칙해 보이는 4호선 동대문역 역사를 새하얗게 리모델링했다. 대한민국 도시철도 역 중 최초로 역사(驛舍) 리모델링을 한 역이다. 승강장 벽면까지 리모델링. 이로써 용암으로 녹아버린 듯한 윗부분을 표현한 과거의 동대문역은 추억으로 남았다. 2013년 12월 31일부로 1호선 승강장의 역명판 및 표지판이 서울남산체를 이용한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 양식으로 교체되었다. 신설동역 입체교차를 통해 서울메트로 군자차량기지로 들어가는 차들이 동대문 역을 종착지로 삼았으나, 입체교차선로 직전에 동묘앞역이 생김으로써 종착지 기능은 사라졌다. 4호선에서 가장 고도가 낮은역이다.

3.1 환승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은 막장환승에 버금가며, 1호선 승강장에서 계단을 타고 조금 걸어간 뒤에 계단 및 에스컬레이터를 2번 건너가야 4호선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혼잡도 쩔기로는 2호선 못지 않은 종로선과 4호선 강북구간이 도심 한복판에서 만나는 역이라, 환승통로가 막장환승 급임에도 불구하고 RH, NH 모두 헬게이트로 악명을 떨친다.

양 노선 간 환승 거리가 길어진 이유는 보물 1호인 흥인지문 보호차원에서이다. 흥인지문과 근접하게 역을 지으면 전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영향을 줄 수 있어, 1호선 역사가 원래 예정되었던 위치보다 동쪽으로 20m 이격해서, 즉 사거리에서 벗어난 위치에 지어졌다. 반면 4호선은 율곡로 하단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1호선과 거리가 멀어져서, 환승통로가 좁고 긴 모양이 되었다. 실제로 흥인지문의 옹벽이 부풀고 주저앉는 등의 일이 일어나 보수공사를 10년 넘게 진행중인데, 여기에는 흥인지문과 매우 가깝게 지어진 4호선 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네이버Daum지도에 환승통로 거리가 88~90m로 나오는 건 페이크로, 실제로는 4호선 승강장 중간에서 나와서 1호선 승강장 중간으로 들어가는 수직거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150m는 충분히 나온다. 상술했듯이 유동 인구가 많은 편인데, 인근 동대문시장으로 오기 위해 하차한 승객이 많은데다가, 관광이나 근로 목적으로 역을 찾은 외국인들도 손에 뭘 바리바리 싸들고 오가기 때문. 1호선과 4호선을 환승할 일이 있으면 경인선 방면의 경우 서울역에서, 경부선 방면의 경우 금정역에서 환승하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서울역, 금정역도 터져나가기는 마찬가지.

바로 옆 역인 동묘앞역이 원래는 6호선 동대문역이 될 계획이였는데, 이것이 실행되었다면 1호선-6호선 최단 환승거리만 300m에 가까워져 정말로 막장환승이 되었을듯. 4호선-6호선은 최단거리만 600m가 넘는다.그리고 이게 대구-경산 시경계에서 진짜 나올 지 모른다

3.2 승강장

3.2.1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
종로5가
서울 지하철 1호선동두천·소요산·양주·의정부·창동·광운대·청량리·동묘앞 방면
서울 지하철 1호선인천·서동탄·천안·신창·병점·구로·서울역 방면
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1호선 (소요산 방면) → 4호선9-3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 4호선1-3

3.2.2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수도권 전철 4호선혜화·한성대입구·상계·당고개 방면
수도권 전철 4호선동대문역사문화공원·충무로·범계·오이도 방면
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4호선 (당고개 방면) → 1호선3-1
4호선 (오이도 방면) → 1호선3-3

4 역 주변 정보

8-9번 출구로 나가면 의류, 원단 업체가 많다. 동대문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이르는 지역에는 두산타워 등의 대규모 의류상가가 밀집해 있는데, 청계천에서 가장 가까운 8번 출구로 나와 청계천(오간수문교)을 건너서 갈 수 있다. 동대문종합시장, 평화시장 등이 9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다.

청계천변에 가면 헌책방이 밀집한 상가가 있었으나 젠트리피케이선 현상으로 거의 절멸했다. 종로6가는 한국에서 가장 만화 총판이 밀집한 지역이었는데, 말하자면 서울특별시의 대여점주들이 신간타이밍 놓치면 여기로 가서 사는게 일상다반사였을 정도. 그러나 이 역시 2006년부터 하나둘씩 사라지더니 지금은 너댓 군데의 총판밖에 남질 않았다. 하지만 총판이 오래 묵은 만큼 아직 이런 책이 랩핑 상태라니! 싶은 책을 가끔 발견할 수 있다.

4번 출구 방면으로 창신동 문구&완구 도매거리가 있다. 서울에서 완구/문구를 취급하는 도매상가 중에서 규모가 큰 곳에 속한다. 출구 안내도에도 안내되어 있고 조금만 걷다보면 안내하는 현수막도 보이니 찾아가기 쉽다. 완구/문구를 정가보다 약 30% 정도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다. 다만 아카데미과학 완구제품은 회사 방침상 20%만 할인된다. 요즘은 이러한 이점이 무색해진 면이 적지 않은데, 토이저러스 라는 대형 완구매장이 생겨났고,할인마트도 거의 비슷한 가격대에 할인해서 판매 하는데다가, 문구의 경우 학교에서 무상으로 준비물과 학용품을 준비시키도록 법이 바뀌다보니 소매상들이 쇠퇴하면서 손님들이 줄어드는 상황이여서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그다지 메리트가 없다. 할인마트에 비한다면 조금 더 다양한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는 정도다. 게다가 청계천에서 애완동물 상점을 지나서 신당동 쪽으로 올라가면 이마트까지 위치해있다.

완구의 경우 최신제품만 취급하기 때문에 예전에 발매된 레어 아이템을 찾으러 가려고 한다면 그런 거 없다. 옛날 완구제품을 찾으러 가는 거라면 확률은 낮지만 주말에 인근의 동묘 벼룩시장이나 신설동 벼룩시장에서 제품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물론 온전한 제품을 기대할 수 없고, 상인들이 레어라는걸 알아차려서 바가지를 씌우려는 경우도 있고 수집가들도 많이 다녀가다 보니 물건 구하기가 어려워 지고 물도 많이 흐려진 분위기이긴 하지만 가뭄에 콩나듯 생각지도 못한 가격에 득템하는 경우도 있다.

전문적인 하비용품은 아카데미과학 동대문점 이외엔 취급하는 곳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 과거엔 스카이과학과 하비파크가 있었으나 스카이과학은 2012년에 폐업하고 하비파크는 용산으로 통합이전하게 되면서 없어졌다. 하비용품을 본다면 용산 아이파크나 홍대에 위치한 네이버하비코리아 등을 추천한다.

그 외에 7번 출구로 나가면 물생활 덕후들에게 유명한, 우리은행 부근에 있는 '청계천 열대어상가'를 찾아갈 수 있다. 열대어 뿐만 아니라 햄스터, 고슴도치, 앵무새 등의 애완동물을 취급하는 가게도 있으며, 간혹 강아지나 고양이도 취급한다. 7번 출구 쪽 SC은행을 기점으로 신발상가가 밀집해 있다. 3번 출구로 나가면 창신골목시장이 인근에 있으며 창신동 매운족발로 유명하다. 1번 출구는 창신2동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소규모 봉제 공장이 많다. 한양도성과도 가깝다.

4번출구에서 동묘역 방향으로 옛날 짜장과 짬뽕 등을 3000원에 판매하는 가게들이 있다. 맛은 저렴한 가격에 꽤 먹을만 하다.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1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25,465명22,271명21,279명20,312명20,802명20,777명17,707명17,827명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16,806명16,413명16,853명17,124명15,964명16,200명16,450명16,219명
수도권 전철 4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28,490명27,599명26,428명25,455명27,583명28,984명28,836명26,421명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6,045명25,595명26,314명27,259명27,818명27,448명27,242명25,217명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