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武士
무사(武士). 무예를 익히어 그 방면에 종사하는 선비. 사(士) 계급으로서 무예를 익히는 직분을 맡은 자를 가리킨다. 무기를 휘두른다고 다 무사가 아니다. 그러니까 이순신 같은 경우가 무사의 정의에 가장 부합하는 인물이다.
중국 청동기 시대의 신분계급인 士에서 출발했다. 청동기 시대 중국은 철저한 신분제 사회였으며, 대읍(혹은 도읍)을 다스리는 천자를 정점으로 작은 읍(혹은 국國)들에 제후(公)들을 분봉해 주종관계를 성립시켰다. 천자는 모든 것의 주인으로서 제사를 통해 자연의 질서까지 지배했는데, 이 제사에서 천자를 돕는 역할을 한 집단을 경(卿)이라고 했다. 각 읍들을 다스리는 제후들도 통치를 보좌하는 관료집단 혹은 행정력이 미치지 않는 지방을 통치할 부하 영주 집단이 필요했으므로 그들을 가(家)에 분봉해 대부(大夫) 계급을 두었다. 그리고 대부들은 자신의 가를 통치하기 위해 사(士) 계급의 도움을 받았다. 이것이 중국의 봉건제도다. 자세한 것은 봉건제도, 상나라, 주나라, 춘추시대, 전국시대 각 항목 참고.
그런데 청동기 시대 중국에서는(다른 많은 청동기-도시국가와 마찬가지로) 전쟁은 전문 전차병-무사 집단에 의해 주도적으로 수행되었다. 여기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무사집단이 사-대부 집단으로, 최초의 사 집단은 하나의 예외도 없이 무사였다.
그러던 것이 춘추시대 이래로 잦은 하극상과 전쟁으로[1] 신분제가 동요하기 시작하고, 전쟁이 장기화/대규모화하며 전차의 중요성은 이전보다 축소되었으며, 대신 보병의 대규모 동원이 전쟁의 승패를 가르게 되었다. 군현제의 실시로 봉지를 배정받지 못한 데다가, 전차의 몰락으로 전문 직업군인이자 지배자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 사대부는 다른 일에 배치돼야만 했다. 바로 행정관료로의 변신이었다. 이것이 중국 청동기 시대의 '문치'의 시작이다.
이 문치를 통해 사(士)는 점점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문사(文士)로서의 선비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리 문치라고는 해도 군대의 유지에는 역시 하급 지휘자 역할을 할 무예가 뛰어난 자들이 필요했고, 모든 사 계급이 문사의 형태로 이행한 것도 아니었다.
2 영화 무사
무사(한국 영화) 문서로.
3 無事
무사.(無事). 아무런 일이 없음. 아무 탈 없이 편안함.
4 Μοῦσα, Musa
그리스 신화의 나오는 학예(學藝)의 여신들. 영어로는 뮤즈(Muse)라고 하며 이쪽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주신 제우스와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 사이에서 태어난 여신들로, 학문과 예술 전반을 관장한다. 보통은 복수형인 무사이(Μοῦσαι, Musai)라고 불렸다. 음악(Music)과 박물관(Museum) 등은 전부 무사를 어원으로 두는 단어.
과거엔 그 수가 일정치 않았지만, 서사시인 헤시오도스가 신통기에서 9명이라고 정의한 이후로는 보통 9명이라고 통한다. 그 이름과 역할은 각각 다음과 같다. 판본에 따라 이름이나 역할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한국어 | 그리스어 | 라틴어 | 역할 | 상징물 |
클레이오 | Κλειώ | Kleio[2] | 역사 | 월계관, 두루마리, 명판, 코넷 |
우라니아 | Οὐρανία | Urania | 천문학 | 왼손에 든 지구, 오른손에 든 못, 발 밑의 거북이, 별이 수놓인 외투 |
멜포메네 | Μελπομένη | Melpomene | 비극 | 비극 가면, 단검, 운명의 몽둥이, 반장화 |
탈리아 | Θάλεια | Thalia | 희극 | 담쟁이덩굴 화관, 희극 가면, 양치기 지팡이 |
테르프시코레 | Τερψιχόρη | Terpsichore | 춤(무용)[3] | 리라 |
폴리힘니아 | Πολύμνια | Polyhymnia | 찬가 | 긴 외투, 베일, 입에 갖다 댄 손가락, 기둥에 기댄 팔꿈치 |
에라토 | Ἐρατώ | Erato | 서정시, 독창 | 장미 화관, 리라, 키타라 |
에우테르페 | Eὐτέρπη | Euterpe | 음악, 서정시 | 플루트, 피리 |
칼리오페 | Καλλιόπη | Calliope | 현악, 서사시 | 두루마리, 첨필, 명판 |
특히 무사이 아홉자매 중에서는 음악가 오르페우스를 낳은 칼리오페가 많이 알려졌다. 지내는 곳은 헬리오스 산으로 그 곳은 천마 페가수스가 파서 만들어진 히포크레네 주변에서 지냈다고 한다.
세이렌의 어머니로 알려지는 본도 있지만 소인배아폴론의 계략[4] 에 넘아가 한 음악가의 인생을 망치기도 했다.
이들이 신화에 직접 등장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무사 여신들은 조금 다른 의미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고신과 기억의 신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점 때문에 서사시에는 보통 시작 부분에서 무사 여신을 불러 이야기를 들러줄 것을 청하는 파트가 존재한다. 이를 통해서 서사시에 권위를 부여하려고 했던 것이다. 가장 대표적 서사시인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신통기에는 전부 이와 같은 과정을 볼 수 있다.
다소 예외적으로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가 적은 아르고나우티카(아르고 호의 모험)의 경우엔 아폴론의 이름을 빌리기도 했지만 이는 서사시인 개인적 취향이 반영된 결과고 보통은 무사 여신이 주가 된다.
이런 연유에서 점점 서사시와 그 뒤를 이은 희·비극의 신으로서의 역할만 강조되어서, 현재에 와서는 학문적인 의미는 거의 사라져 있고 대부분 예술의 신으로만 기억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에서는 마릴린 먼로가 열번째 무사로 등장한다. 역할은 영화. 유머의 프레디는? 남자잖아
5 موسى : 모세의 아랍어 표기
이슬람교에서 모세를 부르는 호칭이다. 이슬람교가 대부분의 유대교나 기독교 인물들을 인정하는 만큼, 모세도 알라의 사도이자 예언자로 인정하고 있다. 덕분에 무함마드나 이사[5]만큼은 아니더라도 아랍, 터키 등 이슬람권에서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며 간간히 이 이름을 가진 인물들이 무슬림중에도 있다. 대표적인 인물은 말리의 황금왕 만사 무사 왕.
무함마드의 행적을 기록한 "하디스"에 의하면, 무함마드가 승천하여 아담과 아브라함, 요셉 등과 함께 천국에서 그를 만나기도 하였다고 한다. 하루 50번 기도를 드리자던 무함마드를 말리며 지금의 5번으로 줄이도록 한 건 모세 덕분이라고 한다.[6]
6 축구 선수
아르헨티나 출신 센터백 하비에르 무사의 K리그 등록명.
7 기타
- 제주어로 '왜'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 땅의 지배권을 통해 세력을 유지하던 공경대부 집단은 잦은 국경변동으로 근거지를 잃고 세력도 깡그리 잃어버리는 일이 잦았다. 이 과정에서 군현제가 발생했다. 어제는 니 땅이고 오늘은 내 땅인데 내일은 누구 땅이 될 지 모르는데 그런 땅을 섣불리 분봉했다가 전쟁에서 잃기라도 하면 휘하 사대부의 충성심을 보장할 수 없으니까 "정세가 안정될 때까지 대빵인 내가 임시로 맡아 둘게" 했던 데서 출발한 것.
- ↑ 혹은 클리오(Clio)
- ↑ 그런데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합창' 담당으로 되어 있다.
춤+합창이면 뮤지컬? - ↑ 자기가 좋아하는 아이가 그 음악가와 너무 친하게 지내자 질투로 무사이에게 너희들보다 음악을 잘한다고 잘난 척하는 놈이 있더라~~하자 그 말을 듣고 열받은 무사이들은 그 음악가를 응징해 죽였다고 한다.
- ↑ 예수 그리스도
- ↑ Matt Stefon (2009). Islamic Beliefs And Practices. The Rosen Publishing Group. p.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