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인적구성

< 미군

1 개요

이 항목은 미군의 인적구성에 대하여 기술하는 문서이다.

2 인적규모

2.1 총원

군종군인/부사관준사관/장교남성여성군무원/민간인
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Army.png 미 육군541,291438,67098,126465,78475,507299,644
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Marine_Corps.svg.png 미 해병대195,338173,47421,864181,84513,49320,484
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Navy.png 미 해군317,237260,25352,546265,85251,385179,293
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Air_Force.png 미 공군333,772265,51964,290270,46263,310174,754
19px-USCG_Parade_Flag.svg.png 해안경비대42,35735,5676,7907,057
총원1,429,9951,137,916236,8261,219,510210,485681,232[1]

이들 군 종류(military branch) 별도로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6천 명 수준)와 연방해양대기청(3백 명 이하)이 있다. 이들은 전원 장교 또는 준사관으로 구성된 별도의 부대이다.

예비 전력
군종인원
25px-US_Army_National_Guard_Insignia.svg.png 미 육군 주방위군358,200
25px-United_States_AR_seal.svg.png 미 육군 예비군205,000
25px-MarforresLogo.jpg 미 해병대 예비군39,600
25px-United_States_NR_Seal.svg.png 미 해군 예비군62,500
25px-Air_national_guard_shield.svg.png 미 공군 주방위군105,700
25px-Air_Force_Reserve_Command.png 미 공군 예비군70,880
25px-United_States_Coast_Guard_Reserve_emblem.png 해안경비대 예비군9,000
총 예비 전력850,880
국방부 직원108,833

2.2 여군 비율

군종사병 여성 비율장교 여성 비율
미 육군13.2 %15.5 %
미 해군15 %15.1 %
미 공군19.9 %18.3 %
미 해병대6.2 %5.8 %
해안경비대11.6 %14.9 %
합계14 %15.3 %

공군의 비중이 높고 해병대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공군과 해병대 둘 다 임무특성상 사병의 비중이 높다. 공군 장교는 파일럿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해병대 장교는 험한 임무를 지휘해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 출처

2.3 인종별 구성

군종백인비백인흑인흑인 외 비백인
육군73.9 %26.1 %21.5 %4.6 %
해군66.2 %33.8 %19.3 %14.4 %
공군78.1 %21.9 %15.6 %6.3 %
해병대83.7 %16.3 %11.1 %5.2 %
해안경비대82 %18 %6.1 %11.9 %
합계74.6 %25.4 %17.8 %7.6 %
실제 미국 인구 비율72.4%27.6%13.6%14%

히스패닉의 경우 백인인 사람은 백인에 흑인인 사람은 흑인에 포함되어 있다. 간혹 동양계 히스패닉도 있긴 하다. 출처

2011년 자료에 따르면 미군 현역 장교 중에 자신을 소수민족(minority)[2]이라 보는 자는 1995년에 10.5%였으나 2011년엔 23%로 늘었고 현역 사병 가운데 자신을 소수민족이라 보는 경우는 1995년 28.2%에서 2011년 31.7%로 늘었다. 이는 위의 통계에선 백인으로 구분되지만 자신을 히스패닉으로 인식하는 사람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장교에선 예전보다 확실히 비백인들에게 기회가 늘어났고.

미국 경찰이나 다른 미국 행정부, 사법부 등에 비해서 미군은 그나마 인종차별이 가장 덜한 곳이다. 2014년 8월 기준으로 대장 42명 가운데 미국 흑인이 7명이나 된다.[3]

2.3.1 연령대

나이는 만 나이이다.

군종18-21[4]22-3031-4041-5051-59평균 연령
육군18.3 %48 %25.6 %7.9 %0.7 %29
해군18.6 %46 %26.3 %8.3 %0.8 %29
공군14.4 %46 %28.3 %10 %0.6 %30
해병대36.9 %46 %14 %3.1 %0.2 %25
해안경비대12.2 %48 %27 %12 %1 %30

출처

2.4 학력

출처
장교의 경우 2011년에 82.5%가 학사 학위 이상이었다. 나머지는 준사관이거나 OCS이다. 미국의 장교는 학사가 없어도 현역병이나 부사관이 OCS를 통해 될 수 있다. 1995년에는 장교의 89.6%가 학사 이상이었지만 감소했다.

사병의 경우 5.3%가 학사 학위 이상이었다. 93.4%는 고졸이거나 대학 휴학, 대학 중퇴였다. 1.3%는 고졸 미만. 1995년에는 사병의 3.4%만이 학사 학위 이상이었으나 2011년에는 증가했다. 특이사항이라면 미군 사병의 경우 학사학위를 보유한 채로 사병으로 입대하면 처음부터 상병으로 임관한다.

2.5 기혼자

군종기혼 사병기혼 장교
육군53.7 %69.9 %
해군51.3 %69.3 %
공군57.3 %71.7 %
해병대42.6 %67.8 %
해안경비대54.8 %73.8 %
합계52.3 %70.2 %

출처 2013년 11월 23일 기준이다.

2011년 통계에 따르면 현역의 6.5%가 군인끼리 결혼했다. 현역이 첫 아이를 낳는 나이는 보통 25.2세 수준. 미혼부미혼모의 비중은 5.3%이다.

2.5.1 계급별 구성

so010512.jpg
미군은 규모가 하도 크고 아름답다보니 스타가 많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2011년 4월 기준으로 전체 장성 수가 964명(해안경비대는 제외한 수치가 저 정도니...)이었으며 대장(계급)도 40명이 넘는다. 미군보다 장성 수가 많은 곳은 태국군 정도이다. 한국군의 경우 400명이 좀 넘는 수준.

2011년 자료의 42쪽이 출처이다. 미 공군준사관이 없다.

계급[5]육군해군해병대공군현역 총원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소위10,1671.8%6,5582.0%2,7881.4%6,7282.0%26,2411.9%
중위9,3841.7%6,5312.0%3,8401.9%7,2192.2%26,9741.9%
대위30,0645.4%16,8685.3%6,5183.2%23,2227.1%76,6725.4%
소령17,2313.1%10,7123.3%3,9242.0%14,5214.4%46,3883.3%
중령10,0221.8%7,1312.2%1,9291.0%9,9163.0%28,9982.1%
대령4,5080.8%3,5421.1%6970.3%3,5551.1%12,3020.9%
준장1470.0%1220.0%320.0%1580.0%4590.0%
소장1130.0%740.0%340.0%1000.0%3210.0%
중장500.0%400.0%180.0%460.0%1540.0%
대장120.0%130.0%40.0%130.0%420.0%
미분류 장교0N/A10.0%0N/A0N/A10.0%
장교 총합81,69814.6%51,59216.1%19,7849.8%65,47819.9%218,55215.5%
4등준위2,3880.4%0N/A2580.1%N/A*N/A*2,6460.2%
3등준위6,6981.2%5110.2%8870.4%N/A*N/A*8,0960.6%
2등준위3,5530.6%5960.2%5470.3%N/A*N/A*4,6960.3%
1등준위2,5930.5%4540.1%2850.1%N/A*N/A*3,3320.2%
선임준위6210.1%560.0%1040.1%N/A*N/A*7810.1%
미분류 준사관0N/A0N/A0N/AN/A*N/A*0N/A
준사관 총합15,8532.8%1,6170.5%2,0811.0%N/A*N/A*19,5511.4%
사관 총합97,55117.4%53,20916.6%21,86510.9%65,47819.9%238,10316.9%
훈련병11,9472.1%9,2142.9%12,6796.3%9,9933.0%43,8333.1%
이병28,8315.1%15,7324.9%20,36010.1%4,7921.5%69,7154.9%
일병71,62912.8%53,12116.6%46,88523.3%51,90515.8%223,54015.8%
상병147,11226.2%54,14316.9%37,44018.6%51,39015.6%290,08520.6%
병장83,29414.8%60,39418.9%30,02614.9%70,15321.3%243,86717.3%
하사64,48711.5%45,37514.2%16,8898.4%41,60312.7%168,35411.9%
중사40,6087.2%20,5866.4%9,2274.6%25,7437.8%96,1646.8%
상사12,3062.2%5,9151.8%4,0422.0%5,1481.6%27,4111.9%
원사3,6720.7%2,4480.8%1,6130.8%2,6160.8%10,3490.7%
미분류 사병0N/A40.0%0N/A0N/A40.0%
사병 총합463,88682.6%266,93283.4%179,16189.1%263,34380.1%1,173,32283.1%
총합561,437100.0%320,141100.0%201,026100.0%328,821100.0%1,411,425100.0%

보면 알겠지만 미군 부사관의 원사는 부사관 중 최고 엘리트일 수 밖에 없다. 민간부사관 제도 덕에 하사부터 시작하는 한국군과 달리 미군은 병을 거쳐 부사관이 된다. 아홉 계급 중에 최선임이 된다. 장교 중에 대령이 차지하는 비중은 5.6%이지만[6] 사병 중에 원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0.8%이다. 장성이 장교 중에 차지하는 비중(0.4%)이랑 비교해보면 감이 올 것이다.

2.5.2 장교와 부사관의 인종적 특성

파일:Attachment/percentage by race.png

왼쪽 열의 O-1~O-3는 위관급 장교, O-4~O-6는 영관급 장교, O7~O-10는 장관급 장교, W-1~W-5는 준사관, E-1~E-4는 , E-5~E-6 하위 부사관, E-7~E-9는 상위 부사관이다. 장교의 경우에는 계급이 높아질수록 소수민족[7]의 비중이 줄어드는데 소수민족이 진급상 차별을 받기 보다는 장교로 입대하는 인원이 증가한 게 20세기 말인 탓으로 추정된다. 1990년대와 비교할 때 2010년대 들어서 소수민족의 장교 임관 비중은 2배 수준으로 는 상태다.

이나 부사관의 경우 백인들이 병을 거친 뒤에 전역을 하는 경우가 많고 소수민족 출신들은 버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급 부사관으로 갈수록 오히려 소수민족들의 비중이 늘어난다.

아래의 소수민족 장교와 사병 숫자를 보면 알 수 있다.

연도육군해군해병대공군합계
장교사병장교사병장교사병장교사병장교사병
1995년12,147150,5235,15097,1041,67142,4945,93866,87224,906356,993
2000년18,050181,2459,796125,2192,90453,41510,07580,35140,825440,230
2005년21,252169,25410,773129,3544,56357,95714,10385,47950,691442,044
2010년26,017145,34610,053112,2824,11839,23813,09974,97753,287371,843
2011년26,895145,62810,288112,8954,22138,24613,34975,39454,753372,163

2.6 관련 항목

  1. 군인 총원에서 해안경비대는 포함하나 해안경비대는 장교/부사관 인원이 자료가 없어 해당 인원의 총계에선 빠져 있다. 애초에 이 통계가 '국방부'를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기도 하고...
  2. 흑인, 아메리카 원주민, 황인남아시아인을 포함한 아시아인, 혼혈, 태평양 원주민 등.
  3. 통합전투사령관인 중부사령관 로이드 오스틴, 전략사령관 세실 헤이니, 육군군수사령관 데니스 비어, 태평양육군사령관 빈센트 브룩스, 해군참모차장 미셸 하워드, 공군참모차장 래리 스펜서, 공군수송사령관 대런 맥듀가 있다.
  4. 100% 사병이다. 장교의 경우는 학력도 높은 학력이 요구되고(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훈련기간도 길며 일정연령 이하는 임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4년제 대학교를 거치지 않고 장교가 되려면 사병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그러면 되려 30살은 되어야 소위로 임관한다.
  5. pay grade에 따른 것으로 한국군의 계급과 1대1 대응이 불가능하다. 왜냐면 예를 들어 E-4의 계급은 육군/해병대의 Corporal, 해군/해안경비대의 Petty Officer 3rd Class,공군의 Senior Airman은 때려맞춰보자면 상병이긴 한데 미국에선 부사관이기 때문에 미군의 부사관은 6계급 이다. 한국은 신설예정인 선임원사를 포함해도 5계급. 일단 1대1 번역으로는 E-2~E-9를 이병~원사로 번역하는게 관례였으나 선임원사 계급의 신설과 실질적인 짬밥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으며 Corporal/Petty Officer 3rd Class/Senior Airman의 병장으로의 번역이 미드/영화 번역계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는 중.
  6. 근데 미국이 대령을 좀 많이 두기는 한다. 한국군에서 장교 7만 명 가운데 대령은 2천 명 정도로 3% 정도이고 준장은 2백 명 정도로 대령과 준장의 비율이 10:1 정도인데 비해 미군은 대령과 준장의 비가 30:1에 달한다.
  7. 백인을 제외한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