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북키프로스에서 넘어옴)
서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width=50
터키
?width=50
압하스
?width=50
남오세티야
?width=50
조지아
?width=50
북키프로스
?width=50
아르메니아
?width=50
나고르노카라바흐
?width=50
아제르바이잔
?width=50
키프로스
?width=50
시리아
?width=50
이라크
?width=50
이란
?width=50
이스라엘
?width=50
레바논
?width=50
쿠웨이트
?width=50
바레인
?width=50
팔레스타인
?width=50
요르단
?width=50
사우디아라비아
?width=50
카타르
width=50
이집트
?width=50
예멘
?width=50
오만
?width=50
아랍 에미리트
미승인국 목록
완전
미승인

소말릴란드
테러단체
취급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유엔 비회원국만 승인
나고르노
카라바흐

노보러시아

트란스
니스트리아
유엔
회원국
일부가
승인
유엔
비회원국
50px
중화민국

압하스

남오세티야

북키프로스

코소보

서사하라
유엔
참관국

팔레스타인
일부 국가가 미승인한 유엔 회원국이나 초소형국민체는 기재하지 않음
파일:Attachment/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kktc-kibris.jpg

터키의 빨강과 초승달 및 별을 본따 그린 깃발로 현재는 터키와 북키프로스 대내에서만 인정받고 있다. 수도는 니코시아.[1]

1 개요

Kuzey Kıbrıs Türk Cumhuriyeti(터키어, 보통 KKTC.라는 약자를 쓴다.). 키프로스섬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미승인국.

2 역사

이 국가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우선 키프로스의 20세기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

영국이 1878년 베를린 회의의 결과 오스만 제국에서 이 섬을 따낸 뒤[2], 1925년 직할 식민지를 거쳐 1960년 독립을 달성했는데, 독립과 동시에 UN에 가입하였고 이때까지는 큰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인구의 약 77%를 차지하는 그리스계 주민이 정치, 경제적 우위를 누리며 터키계 주민(약 18%)들을 차별하자 민족 대립이 격화되었다. 1963년 터키계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터키계 주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헌법 개정안이 그리스계 정치세력에 의해 강행되는 병크가 터지면서 민족 대립은 일약 내전으로 발전했다. 터키계 주민들은 수적인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모국인 터키에 군사지원을 요청했는데, 이에 UN이 제동을 걸어 1964년 안보리 결정에 따라 평화유지군(PKF) 파병을 결정했다. 이것으로 10년 간 가까스로 상황이 악화되지 않았다.

1974년, 그리스에서 일어난 쿠데타로 군부가 권력을 잡자, 이 군사정권은 키프로스의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와의 합병을 주장하도록 종용하여 상황을 다시 악화시켰다. 결국 터키는 미국에게 도움을 청해, 미국과 나토의 지원을 받고 터키계 주민 보호를 구실로 군대를 파병, 전 국토의 40%에 달하는 북부를 일방적으로 점령하고, 1983년에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으로 일방적인 분리 독립을 선포했다. 이 과정에서 인구의 30%에 육박하는 주민들이 졸지에 난민이 되어 남북으로 엇갈려 이동했다. 그 결과 키프로스는 북부의 터키계 국가와 남부의 그리스계 국가로 양분되었다.

이 분단 상태는 UN이 설정하고 영국군도 참여한 완충지대가 설정되어 사실상 비무장지대처럼 섬 중앙부가 쪼개짐에 따라 고착화되었다. 이 상태에서 북키프로스는 현 상태의 존속을, (남)키프로스는 통일을 주장하고 있는데, 양쪽 모두 양보하려는 태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04년 남키프로스가 유럽연합(EU)에 가입했던 것도 새로운 분쟁의 불씨가 될 것으로 우려되기도 했다.

1999년, UN이 남북 키프로스에 조정안을 제시해 교섭을 개시했으나 터키와 그리스 양쪽의 민족감정, 수적으로 크게 뒤지는 터키계 주민(약 20만 명. 그리스계는 약 70만 명)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배려의 범위 등의 문제로 갈등이 지속되어 교섭은 현재도 결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키프로스는 아시아의 반대쪽 끝에 있는 한국-북한과 더불어 21세기에도 분단된 상태로 남은 지역이 되었다. 다만 분단국가라고 하기에는 민족이 다르다. 남키프로스는 그리스인이고 북키프로스는 터키인이다. 2000년대 와서도 국경에서 그리스 국기를 들고 자극한 그리스계를 터키 측이 그 자리에서 사살한 일도 벌어져서 논란이 된 바 있다.

3 인정 국가와 현황

전 세계에선 오로지 터키만 이곳을 인정하고 있다. 만약 남키프로스의 크로스 포인트를 통해서 입국하지 않고 곧장 터키에서 북키프로스행 직항편을 이용해서 들어간 경우 북키프로스 입국 도장이 찍히면 남키프로스와 그리스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었는데 2015년 현재는 그렇지 않다.[3]
남키프로스와 북키프로스 사이에 있는 완충지대의 통과지역을 통해서 북키프로스로 가는 건 상관없지만, 이 방식으로 북키프로스를 방문하게 되면 당일치기로 돌아와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쇼핑을 했다가 돌아올 경우 남키프로스의 현행법에 의거해 $50(!)이상의 제품을 구입했을 경우 세금을 물게 되며, 심지어 압수당할 수도 있다. 그래서 여기에서도 그걸 염두에 두어 따로 도장을 찍어준다고 한다. 하지만 도장을 별지에 찍는다 하더라도 여행기록이 남기 때문에 소용 없다. 터키에서 북키프로스로 가려면 항공편이나 배편으로 가야 하는데, 배편의 경우 메르신(Mersin)과 이스켄데룬(İskenderun) 두 곳에서 배가 다닌다. 이때 터키에서 출국도장을 찍어주는데, 결국 터키측 입출국 도장을 보면 북키프로스에 다녀간 증거가 된다.

정식 외교 관계를 가진 나라는 1개국(터키)이며, 그 밖의 일부 국가와도 비공식 관계를 맺고 있다. 5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은 북키프로스에 대표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 밖에 유럽 연합도 대표부를 두고 있다. 북키프로스가 대표부를 설치한 나라는 위의 5개국 이외에 아제르바이잔, 스웨덴, 이탈리아, 스위스, 바레인, 이스라엘, 쿠웨이트, 키르기즈스탄, 파키스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가 있다. 물론 유엔과 유럽연합에도 대표부를 두고 있다.

미승인국이라 세계은행 투자가 막혀서 여기 개발은 지지부진하고 터키에게 의존을 많이 한다. 그래서 터키가 경제적으로 어렵던 시절에는 같이 어려웠다가 터키가 경제적으로 풀리면서 여기도 많이 나아졌다. 꽤 넓은 곳(3,355㎢, 제주도의 1.8배, 남한 면적의 1/30 정도)에 인구가 채 20만 명도 안 되는 점으로 땅값이라든지 여러가지로 물가는 싼 편. 해산물이나 경작지가 풍요로워 식품 등 먹거리 물가도 터키 본토처럼 싼 편이라고 한다. 무지막지하게 물가 비싼 남쪽과 대조된다. 사실 이전부터 북키프로스는 키프로스 섬 전체의 식량을 책임졌다. 남쪽은 울퉁불퉁한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지만, 북부는 섬 북쪽의 산맥을 빼면 온통 평지였기 때문이다. 1인당 GDP도 2014년 기준 15,109$로 터키(15년 9,437$) 본토보다 높다. 전체적인 경제력은 남부 키프로스(15년 22,587$)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남한과 북한처럼 압도적인 차이는 아니며, 북한과 비교하는 거 자체가 북키프로스에게는 엄청난 치욕 오히려 2012년 이후 그리스의 경제위기에 영향을 받은 남 키프로스의 경제 불황으로 이 차이도 조금 줄어들고 있다.

이곳으로 국제우편물을 보낼 수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편법은 있다. 북키프로스 내 주소를 쓰고 도시명을 메르신, 국가명을 터키로 쓰면 각국의 우편 당국은 이 우편물을 터키로 보내는 것으로 착각하고 (또는 북키프로스행인 걸 알지만 묵인해 주고) 터키로 보내준다. 그리고 이 우편물을 받은 터키 우편 당국이 북키프로스로 보내준다. 2012년까지 터키 우체국(PTT)은 북키프로스로 보내는 우편물에 대해 국내요금을 적용했었으나 2013년 1월 이후 국외요금으로 돌려서 받고 있다. 하지만 터키에서 아제르바이잔으로 보낼때 만큼이나 여전히 저렴한 편이다. 우편번호체계도 터키와 같아서 사실상 국내우편 취급.

많은 터키 신문, 잡지가 북키프로스에서도 유통되는데, 가령 Cumhuriyet 신문의 경우 신문 1면에 터키 국내가격은 1리라, 북키프로스에서는 2리라라고 명시해놓고 있으며 북키프로스 지역소식을 담은 별지를 끼워준다.

사실상 터키가 세운 괴뢰 국가 취급을 받으며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다 보니 아예 북키프로스와 터키 권력층 내부에서는 차라리 해외로부터 인정 받지도 못 하는 독립국가 경영 포기하고 북키프로스를 터키와 합병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게다가 터키는 북키프로스랑 합병하고 대신 그리스의 남키프로스 병합을 인정하자는 영토 분할안도 가끔씩 나올 정도[4] 당장에 터키 현지에서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장기적으로 북키프로스를 터키와 합병시킬 것이란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북키프로스 내에서도 크림반도도 러시아와 합병했고 가까운 하타이도 터키와 합병했는데[5] 우리도 터키와의 합병 추진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들이 간간히 나오고 있다.그러나 남키프로스를 터키와 앙숙관계인 그리스가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고 굳이 그리스와 남키프로스의 반발을 제외하더라도 당장에 유럽연합조차도 키프로스의 분단 문제를 문제 삼아 터키의 EU 가입을 반대하고 강력하게 압박하는 상황에서[6] 터키가 북키프로스를 합병할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7] 더욱이 현재 키프로스의 집권여당은 에르도안의 정의개발당과 정반대의 노선을 취하고 있는 정당이다. 원내 1당인 공화튀르크당(CTP)과 대통령의 소속당인 사회민주당(TDP)은 모두 세속주의·사회민주주의 성향으로, 무엇보다 키프로스 통일에 우호적인 측이다. 무엇보다도 앞서 언급하였지만,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자신들이 튀르크인이라는것까지는 동의하지만, 본토터키인과 동일하다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키프로스의 그리스계 주민들은 어떻게든 본토와 연관지으려 애쓰려 하지만, 튀르크계 주민들은 다르다.

그렇다고 그리스 극우파들이 반대로 외치는 그리스 힘으로 키프로스를 되찾자는 것 또한 불가능. 위랑 똑같은 조건에 되려 군사력으로 가면 터키가 그리스를 압도한다는 분석이다.[8]

2015년 통일파인 무스타파 아큰즈(Mustafa Akıncı)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남키프로스와의 통일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같은 해 5월부터 통일 협상이 진행중이다.

4 행정구역

원래 키프로스에는 6개의 구가 있었으나, 이 중 파포스와 리마솔을 제외한 4개가 북쪽이 전체 또는 일부를 점유하게 되었다. 여기도 좀 안 좋은 이유(...)로 행정구역 신설을 강행했는데 지금은 실효지배 구역의 행정구역 수는 6개가 되었다. 참고로 남키프로스를 승인하지 않는 관계로 명목상으로는 총 8개다. 아래는 그 목록이며 취소선은 구 전체가 행정력이 닿지 못하는 곳이다.

5 관련 문서

  1. 니코시아의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남쪽 절반은 남키프로스가 차지하고 있다. 예전 동베를린-서베를린의 관계와 유사하다.
  2. 베를린 회의 자체는,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사이의 전쟁을 매듭짓는 강화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회의였다. 다만 이때 오스만 제국은 독일이나 영국 등의 '도움' 을 받아 러시아의 요구 일부를 취소시키거나 완화할 수 있었는데, 문제는 이후 영국이 오스만 제국에게 '도움' 에 대한 대가를 요구한 것.
  3. 키프로스 문서 참조.
  4. 하지만 터키계의 북키프로스가 터키에 합병한다고 해도 그리스계의 남키프로스(키프로스 공화국)가 독립국 경영을 포기하고 그리스와의 병합을 시도하거나 그리스가 남키프로스를 병합할지는 의문이다..물론 키프로스가 영국 식민지배에서 독립 후 그리스와 병합하자는 소리들이 나오기도 했었고 1974년 키프로스 전쟁 발발 전 그리스와의 통합을 주창하는 에노시스 운동이 일어난 적도 있었지만 지리적으로 터키 본토와 가까운 북키프로스와 달리 지정학적으로 두 나라 간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등 사실상 먼 나라의 상태여서 그리스와 병합이 된다고 해도 그 멀리 배나 비행기를 타고 9~10 킬로 정도 가야 도달할 수 있는 멀리 떨어진 영토를 지배하거나 부양하기조차 쉽지 않다. 게다가 지정학적인 거리도 있거니와 지금 현재 그리스가 경제적, 정치적으로 몹시 어려운 상황인지라 현재 자국 경제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점유하고 있는 그리스 반도 본토와 산토리니, 크레타, 이오니아 제도 등 그리스 본토와 가까운 지중해 섬 지역 영토들도 관리하기 쉽지 않은 현재 실정상 터키계가 지배하는 북키프로스가 터키에 합병된다 해도 그리스계가 다수인 남키프로스와의 병합을 시도하려고 들지는 의문이다. 설사 이러한 자국 내 악조건을 무릅쓰고 그리스가 남키프로스를 병합한다 해도 말레이시아의 동말레이시아(북보르네오 또는 사바,사라왁) 지역이나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와 크림반도,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 파키스탄처럼 본국 영토와 본토와 격리된 고립영토를 양쪽에 지니고 있는 비연속국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결국 민족과 종교만 같은 지역을 먹으려다 관리하기조차 힘든 월경지 땅만 떠앉는 셈이 된다.
  5. 1930년대 터키-시리아 국경 지역에 살던 터키인들이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시리아에서 분리 독립하여 터키에 합병했다.
  6. 사실 굳이 키프로스 문제가 아니더래도 터키가 EU에 가입할 확률은 낮다. 자세한 건 유럽연합 항목 참고
  7. 당장에 크림반도를 합병한 러시아가 국제사회로부터 어떤 역풍을 맞고 있는지 생각해보자
  8. 그리스 극우파 중 일부는 현재 터키 영토인 동트라키아랑 이스탄불(과거에는 콘스탄티노플)까지 언젠가는 반드시 되찾아야 할 고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실현 가능성은(...)어디 이탈리아한테도 시칠리아랑 이탈리아 남부 지역도 고대 그리스 시절에 그리스 땅이었으니까 땅 내놓으라고 해보시지? 다만, 중세 초중기 노르만족의 대침공 이후부터 그리스 문화권에서 이탈한 이탈리아 남부 및 시칠리아 지역과는 달리, 동 트라케 지방 및 이스탄불(콘스탄티노플)은 20세기 초 현대 국가 그리스와 터키가 탄생하면서 인위적으로 대규모 인구 교환을 하기 이전까지만 해도 다수의 그리스 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요컨데, 해당 영토권 주장의 실현 가능성과는 별개로 주장의 근거 자체는 '지중해의 섬들은 다 그리스의 것. 남이탈리아도 그리스의 것' 보다는 충실한 편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