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4권역 간선버스 | |||||||
400 | 401 | 402 | 405 | 406 | 407 | 420 | 421 |
440 | 441 | 461 | 462 | 463 | 470† | 471† | 472 |
† : 주간선노선 |
현재는 대차된 구형 BS106 차량.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 출처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20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1동(도선여객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1동(답십리지구대) | ||
종점행 | 첫차 | 04:10 | 기점행 | 첫차 | 05:09 |
막차 | 23:10 | 막차 | 00:25 | ||
평일배차 | 4~10분 | 주말배차 | 4~10분 | ||
운수사명 | 도선여객 | 인가대수 | 37대 | ||
노선 | 도선여객차고지 - (→ 개포주공4단지 →/← 개포중 ← 수도전기공고후문 ←) - 경기여고 - 개포동역 - 대치역 -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 한티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한남대교 - 블루스퀘어 - 국립극장 - 동대입구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 흥인지문 - 신설동로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떡전교사거리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동부교육지원청.해성국제컨벤션고교 → 청솔우성아파트 → 답십리지구대 → 동대문중 → 서울시동부교육지원청.해성국제컨벤션고교 → 이후 역순 |
2 개요
도선여객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5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7번 도시형버스(개포동 - 신내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청량리 - 신내동' 구간을 2015번 등으로 넘기고 단축했고 번호도 420번으로 바뀌었다. 본래는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까지만 운행할 예정이었으며, 번호도 권역에 맞춰 403번을 부여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 2005년 8월 22일에 경동시장 회차구간을 없애고, 대신 전농사거리까지 연장했다. 관련 공지사항
- 흥인지문 녹지조성공사로 인해 흥인지문에서 동대문운동장 방향으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2008년 8월 7일에 양사길(현 종로41길)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9년 7월부터 한남대교 전망대에 정차한다.
4 특징
전체적으로 노선의 도로 상태가 좋은 편이라 저상버스도 472번에 비해 더 많이 운행하고 있다.
한가지 이상한 것은, 들어오는 버스는 개포3ㆍ4ㆍ5단지를 지나 수도공고, 개포도서관 등 개포 1ㆍ2단지 지역도 거쳐서 들어오지만[1], 왠지 모를 이유로 출발하는 버스는 개포 4단지가 첫 정류장이다. 때문에 개포 1ㆍ2단지에서 이용하는 사람들에겐 집앞까지 오기만 하고 집앞에서 가지는 않는 그런 이상한 불편함이 있다. 이거 타면 되잖아[2][3]
강남에서 청량리역에 열차 타러 갈 때 147번, 241번과 함께 가장 유용한 노선. 청량리역 쪽으로 가는 지하철 노선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3호선은 ㄷ자를 그리며 서초구를 뱅 돌아가는데다 중앙선은 배차간격까지 길다.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환승이 없다는 점에서는 420번이 더 유용하다. 특히나 한남동에서 동대문으로 갈 때 다른 노선들은 버티고개, 약수역 쪽으로 돌아가는데, 이 노선만 장충단길 국립극장으로 바로 넘어가서 시간이 더 단축된다. 물론 차가 막히는 시간대라면 지하철이 답이겠지만.
분당선이 왕십리역까지 연장되면서 굳이 이 노선을 탈 필요가 없어졌다는 이야기가 나왔었지만 경의중앙선의 노답 배차와 더불어 강남대로 직통이라는 메리트와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제기동, 신설동, 숭인동, 창신동 일대에서는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강남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설동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대치역, 신사역, 동대입구역[4]
- 수도권 전철 4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동대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논현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신논현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개포동역, 한티역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신설동역 - 신분당선 : 강남역
- 일반 철도역 : 청량리역(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