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4권역 간선버스 | |||||||
400 | 401 | 402 | 405 | 406 | 407 | 420 | 421 |
440 | 441 | 461 | 462 | 463 | 470† | 471† | 472 |
† : 주간선노선 |
수서역 기점 시절. 위 차량은 대차되었다.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402/402 hangnyeoul.png
저상 차량. 2016년 7월 촬영.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02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장지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세종문화회관)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10 |
막차 | 00:05[1] | 막차 | 01:27 | ||
평일배차 | 5~12분/심야 20~25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3분/공휴일 10~15분 | ||
운수사명 | 진화운수 | 인가대수 | 40대(예비 2대)[2] | ||
노선 | 장지공영차고지 - 송파글마루도서관, 버들어린이집, 송파파인타운6단지 - 장지역, 가든파이브 - 래미안포레아파트 - 수서역 - 일원본동주민센터 - 개포주공3~4단지 - 개포동역 - 대치아파트, 개원중학교, 대모산입구역 - 대치동미도, 은마아파트 - 대치역 - 도곡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신논현역 - 신사역 - 한남대교 - 서울중부기술교육원, 블루스퀘어 - 하얏트호텔 - 남산도서관 - 힐튼호텔 → 서울특별시청 → 세종문화회관 → 서울특별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힐튼호텔 → 이후 역순 |
2 개요
진화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6.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83-1번 도시형버스(수서동 - 광화문)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경기여고 - 대치역' 구간을 직선화했고, 번호도 402번으로 바꾸었다.
- 2004년 7월 31일에 경기여고에서 대치역으로 직진하던 것이 개포6단지, 양전초등학교, 대치은마, 미도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9년 1월 12일에 '수서동 - 래미안포레아파트 - 가든파이브 - 장지공영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원래는 2008년 12월 20일에 연장할 예정이었으나, 도로 개통이 늦어지면서 같이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4 특징
2004년 개편 전까지만 해도 남산1호터널을 이용하는 입석노선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3], 강남대로 권역에서 도심으로 저렴한 요금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다.[4] 개편 후 남산1호터널을 통과하는 신규 주간선 노선들[5]이 생겨 그 입지는 약해졌지만, 남산1호터널의 정체는 유명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광화문에서 강남역까지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빨리 접근할 수 있는 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남산 자락을 누비는 소월로(하얏트호텔) 구간은 부산에 있는 산복도로에 비해 커브 선형이 좋은 편이라 의외로 고속 주행도 안정적으로 가능하여 위험하지는 않다. 또한 차량도 남산1호터널에 비하면 적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이동이 빠르다. 아침 출근시간대와 하교 시간대에는 이 구간에 여고생들이 등하교를 위해 많이 탑승하는데, 바로 남산 자락에 위치한 보성여고[6] 학생들이다. 여담이지만 소월로에서는 정말 노선 이해하기 어려운 405번과 함께 이 버스보다 큰 차가 달리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남산의 최강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수서동이나 강남에서 남대문시장으로 가기에 대단히 좋은 노선. 이보다 빨리 가는 버스나 지하철 노선이 없다. 남산을 다 내려온 후 남대문시장 액세서리상가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 덕분에 강남 권역에서 남대문시장에 가는 승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대신 이 노선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U턴해도 양쪽 다 숭례문을 무정차 통과한다.[7]
노선 중에 일원터널부터 대치역까지의 구간은 영동대로를 통한 최단거리 루트로 운행하지 않고 지그재그식으로 마을버스마냥 경기여고, 개포주공3단지, 대치·미도·은마아파트를 휘젓고 뺑뺑이를 도는 구간이 존재한다.[8] 그랬다가 학여울역[9]에서 3호선과 같은 라인으로 양재역까지 간다.
진화운수 내에서 가장 밟는 노선이다. 장지동에서 광화문까지 60분 정도로 운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
유일하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경춘선을 제외한 서울 시내를 경유하는 모든 수도권 지하철 노선들을 경유한다.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 7호선:논현, 8호선:장지, 9호선:신논현, 분당선:수서 개포동 대모산 도곡, 신분당선 양재 강남, 중앙선 한남(한남오거리에서 약간의 도보), 경의선 서울역(환승센터에서 횡단),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환승센터에서 횡단))</ref>
4.1 심야 운행
강남역에서 수서역, 장지동 방향 체감 막차 시간이 01:35 전후. 심야에는 배차 간격이 좋지 않은 게 흠이지만, 서울 버스 중 강남대로 중앙차로 하행에서는 서울 버스 462와 더불어 가장 늦게 막차가 다니는 버스 중 하나이다. 이 둘이 끊기더라도 서울 버스 N37이 있지만.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시청역, 서울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강남역, 시청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역, 일원역, 학여울역[10], 대치역, 도곡역, 매봉역, 양재역, 신사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서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광화문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논현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장지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신논현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수서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11], 도곡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서울역
-
수도권고속철도 : 수서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 신분당선 : 양재역, 강남역
-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 ↑ 서울교통정보센터에서는 22시 30분이 막차라고 되어 있으나, 22시 반 이후로도 20~2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 토요일은 32대, 공휴일은 30대로 운행.
- ↑ 좌석버스에서 형간전환한 구 12-3번, 구 222번이전에 79번이 있었으나 1992년에 폐선. 이후 1997년까지 입석 노선이 없었다.
- ↑ 그래서 개편 전에는 버스 놓쳐도 다음 신호에 또 오는 무시무시한 빗자루질로 유명했었다.
- ↑ 대표적인 노선들로 470번, 471번 등이 있다.
- ↑ 강수지의 모교
- ↑ 정확히 말하면 하행 방면은 숭례문 남산방향이라는 정류장이 있지만 남대문시장 액세서리상가 맞은편(신협중앙회 빌딩 앞)인데다가 숭례문과는 멀리 떨어져 있고 숭례문에서도 살짝 떨어져 있는 숭례문 정류장과는 한참 떨어져 있다. 혹시나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M4101번이나 M4102번을 타기 위해 숭례문 정류장으로 갈 경우에는 이걸 절대로 타면 안된다. 주의하자!
- ↑ 개요 첫단락에 나오듯이, 노선을 단순화시키려해도 주민들이 반발해서 안 된다. 실제 뺑뺑이 도는 구간의 수요도 많은 편이다.
- ↑ 학여울역에서는 정차하지 않는다. 영동6교 건너와서, 학여울역 사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해 은마아파트 정류장으로 감. 학여울역을 이용하려면 대치동미도아파트, 은마아파트에서 하차.
- ↑ 대치동미도아파트, 은마아파트 하차
- ↑ 개원중학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