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역

서울 지하철
3호선
대화 방면
독립문

1.6 km
경복궁
정부서울청사 (327)

1.1 km
오금 방면
안 국

景福宮(政府서울廳舍)驛 / Gyeongbokgung(Government Complex-Seoul) Station

경복궁(정부서울청사)

다국어 표기
영어Gyeongbokgung
(Government Complex-Seoul)
한자景福宮(政府서울廳舍)
중국어景福宫
일본어キョンボッグン
역번
서울 지하철 3호선327
300px
서울 지하철 3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지하 130
(舊 적선동 81-1)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서울메트로
3호선 개업일1985년 10월 18일

1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 327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지하 130(舊 적선동 81-1번지) 소재.

2 역 정보

본래 개통 당시에는 '중앙청(中央廳)'역이었으나, 1987년 5월 1일에 경복궁역으로 개명되었다. 부역명 또한 2000년 3월에 처음 추가되었을 때는 '정부중앙청사'였으나 2013년 1월 3일 '정부서울청사'로 개명되었다. 2015년 4월 3일 3번출구 옆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생겼다. 해당 출구 번호는 3-1번출구이다.

서울메트로 미술관이 이 역 지하 1층에 위치해 있다. 전시가 있을 때에는 아침 7시부터 밤 10시까지 개방되며, 이 이외의 시간대에는 미술관이 폐쇄되므로 1,2,3,7번 출구~4,6번 출구 간 이동해야 될 경우에는 지하 2층 대합실을 경유하거나 밖으로 나가야 한다. 공간건축의 작품 중 하나이다. 김수근 시대에 설계되었으며 설계 실무는 류춘수가 맡았다. 참고로 공간건축 홈페이지에 보면 수많은 운수건축 '계획'들이 올라와 있는데 그 중에 실현된 사례는 거의 이거 하나밖에 남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중앙역과 구조가 비슷하다. 다만 현재 터널 벽면은 철거되었다. 독립문역 출발 첫차가 유치선에서 나오는 방식이 아닌 지축차량사업소에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하는 관계로 이 역에서 독립문역 출발 첫차를 이용하게 되면 뜬금없이 "회송"으로 열차위치 안내판에 뜨다가 오금행으로 바뀐다.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으로 첫차부터 오후 12시 30분~1시 30분 동안 모든 열차가 광화문역, 시청역, 경복궁역을 무정차 통과하였다.

2015년 9월경 선로쪽 벽면 타일이 뜯겨져나갔다. 리모델링 중인 듯하다.

2.1 승강장

독립문
안국
수도권 전철 3호선독립문·구파발·마두·대화 방면
수도권 전철 3호선안국·고속터미널·대청·오금 방면

3 역 주변 정보

근처에 경복궁정부서울청사가 있다. 경복궁으로 가려면 5번 출구를 이용해야 하며, 5번 출구로 나가는 지하 1층 통로에 세워진 불로문(不老門) 복제석물도 볼거리. 창덕궁 후원에 있는 걸 경복궁역에 복제해서 세워놓았다. 5번 출구는 서울메트로 미술관과 동일하게 밤 10시에 폐쇄한다. 중앙청은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지은 조선총독부 건물을 재활용하여 광복 후에도 계속 쓰고 있었다가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옛 역사를 되찾기 위해 나중에 일부만 천안 목천의 독립기념관으로 넘기고 건물을 철거하였다.

세종대로를 직접 지나지 않지만 바로 근처이기 때문에 주한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정부서울청사 등과 가까우며, 북쪽에는 경복궁국립민속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그리고 좀 떨어진 서쪽 사직터널 쪽에는 사직공원과 사직동주민센터가 있다. 또한 종로도서관, 매동초등학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도 가깝다. 티베트 난민을 지원하는 가게인 사직동, 그 가게도 있으며, 학교 근처에는 카페며 음식점 등도 많다. 대한축구협회도 이 역 근처에 있다. 별도로 청와대도 이 역의 역세권.

정확히 말하면 종로구 북쪽은 사실상 전부 지하철의 사각지대라 이 역과 불광역의 권역 안에 있다. 그리고 불광역-녹번역-홍제역종로구 북부는 북한산으로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종로구 면적의 절반인 평창동-부암동-청운효자동-사직동-삼청동이 전부 종로구 북부의 남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경복궁역이 관할하게 된다. 면적이 넓기 때문에 문제가 있긴 하지만 종로구의 적은 인구 수로 보면 사실 그렇게 불합리한 위치는 아니다. 일단 이 구간은 버스가 이상하리만치 많은 곳이라서. 신분당선이 삼송까지 연장된다면 상황은 달라질수도 있다.

오전 시간대(08:00~11:00)에 1번 출구로 나가면 연세대학교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배차간격은 학기 중 기준 대략 5분에서 12분 사이. 연세대학교 동문을 통해 학교를 진입하므로 신촌역을 통해 오는 것보다 더 낫다. 하지만, 타이밍 잘못 잡으면 가축수송을 방불케 하는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272번, 606번으로 연세대학교 정문으로 갈 수 있다. 거기에 세브란스병원 셔틀버스나 이화여자대학교 셔틀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통학 시간대는 가축수송. 연세대학교 외에도 상명대학교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이 역에서 내려 환승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상명대학교 언덕 위를 올라가주는 버스인 7016번이 경유하는 마지막 지하철역으로, 남영역, 숙대입구역, 시청, 광화문역을 지나서 오기 때문에 이전부터 사람이 미어 터진다. 따라서 조금 일찍 나와서 버스로 환승하거나. 상명대입구까지 가는 버스를 타서 종로13번 마을버스를 타길!

안국동/신촌 방향으로는 시내버스 환승이 편리하지만, 자하문 및 세검정 방면으로는 시내버스 정류장이 역에서 강남대로 수준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멀리 떨어져 있지만, 종로구 구기동과 평창동 주민들은 불광역을 포함해서 경복궁역에서도 대부분 환승한다.

그리고 청와대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이기 때문에 2008년 여름에 촛불집회가 한창일 때, 열차가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벌어졌던 적이 있어서 잠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아닌 지역 주민의 전략(?)적 해석을 붙이자면 무정차를 안 할 수가 없다. 광화문 일대의 시위시 경복궁역의 위치는 3방어선과 4방어선 사이이기 때문에 여길 이용하면 경찰은 바로 X된다. 경찰로 복무했던 사람들은 알겠지만 알다시피 진압 시즌만 되면 전국에 있는 모든 경찰이 출동하는 판에 이건 어쩔 수 없는 점. 그래도 당시 시위 진압 때문에 폐업한 주변 가게들이 은근히 많기 때문에, 지역민 입장에서는 좀 안 좋은 사건이긴 하였다.

2015년 6월 1일부터 서울맹학교 통학버스의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1호차, 2호차로 나누어 운행하였지만, 수요가 워낙 적었기 때문에 통합하였다.
노선은 다음과 같으며, 등교 시에만 운행하고 하교 시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연신내역 - 홍제역 - 광화문역 - 경복궁역 순서로 정차하며 사람을 태운다. 보다 자세한 노선정보는
[1]에 들어가서 통학버스노선을 참고하라. 새로 업데이트가 되었다면 노선이 위와 비슷할 것이다.
이 버스는 경복궁역에 오전 8시 10분에서 오전 8시 20분 사이에 도착하여 오전 8시 20분경에 출발한다. 오전 8시 15분에 출발하는 게 원래 시간표다.

버스 노선을 보면 706번과 노선이 유사하다. 광화문역까지 노선이 중복되며, 그 이후로는 1020번, 7018번 등, 경복궁역, 효자동으로 가는 노선과 완전히 중복된다.
버스 노선이 통합이 되면서 학교에 아슬아슬하게 버스가 도착한다. 8시 30분까지 등교가 완료되어야 하는데, 8시 25분에 도착을 한다. 광화문역, 경복궁역에서 지연을 가끔 먹으면 8시 반에 학교에 도착한다.
일단 8시 25분에 도착하더라도 교실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는 항상 가축수송한다.
그런데도 이 버스를 이용하면 지옥철, 콩나물버스 등의 가축수송을 안 겪어도 편하게 오는 경우가 80%이기 때문에 많은 학생과 교사들이 이용한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3호선[1]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8,965명19,672명19,843명19,735명20,768명20,049명19,690명20,121명20,293명21,267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1,466명21,819명22,616명23,281명24,639명24,641명
  1. 수송통계자료실, 서울메트로